"미인도(영화, 200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4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번째 줄: 3번째 줄:
  
 
{{영화드라마정보
 
{{영화드라마정보
|이미지= [[File:미인도 포스터.jpg]]
+
|이미지= 미인도 포스터.jpg |300px
|이미지출처= KMDb 한국영화데이터베이
+
|이미지출처=[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9855 KMDb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작품명(국문)= 미인도
 
|작품명(국문)= 미인도
 
|작품명(영문)= Portrait of a Beauty
 
|작품명(영문)= Portrait of a Beauty
|작품명(한문)= 美人圖
 
 
|제작연도= 2008
 
|제작연도= 2008
 
|국가= 대한민국
 
|국가= 대한민국
|장르= 조선/창작물
+
|장르= 시대극/사극, 드라마, 멜로드라마
 
|감독= 전윤수
 
|감독= 전윤수
 
|각본= 한수련
 
|각본= 한수련
|촬영= 박희주, 김태정
 
 
|개봉일= 2008.11.13
 
|개봉일= 2008.11.13
|제작사= 이룸영화사, 영화사참
 
|배급사= CJ엔터테인먼트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러닝타임= 108분
 
|러닝타임= 108분
25번째 줄: 21번째 줄:
  
  
==개요==
 
  
==포스터==
+
=='''개요'''==
<gallery>
+
<<미인도>> 는 200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File:미인도 포스터2.jpg
+
File:미인도 포스터3.jpg
+
</gallery>
+
  
==예고편==
+
감독은 전윤수. 제작사는 이룸영화사며, 배급은 CJ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
 +
 
 +
 
 +
=='''시놉시스'''==
 +
신윤복의 그림 ‘미인도’에 얽힌 남녀의 위태롭고도 치명적 사랑
 +
 
 +
조선시대 천재화가 신윤복이 여자였다는 도발적 상상력에서 출발한 영화 <미인도>는 <식객> 전윤수 감독의 차기작 이라는 점에서 한국 영화계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작품. <미인도>는 <식객> 에 이어 전윤수 감독, 이성훈 프로듀서 콤비의 두번째 작품이다. 이성훈 프로듀서는 <태극기 휘날리며>의 흥행신화를 일궈낸 한국영화의 실력파 영화인이다. <식객>이후 두 번째 기적을 이룰 <미인도>는 하늘이 내린 그림 재주를 타고났으나 여인의 몸으로 태어나 어쩔 수 없이 남장을 해야만 했던 화가 신윤복과 그녀를 둘러싼 슬프면서도 매혹적인 사랑을 담은 스토리로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상상력이 가미된 한국형 팩션 무비의 또 다른 지평을 열 예정이다.
 +
<ref> [https://m.cine21.com/movie/info/?movie_id=25218 씨네21]</ref>
 +
 
 +
 
 +
=='''포스터'''==
 +
[[File:미인도 포스터2.jpg|300px]]
 +
[[File:미인도 포스터3.jpg|300px]]
 +
 
 +
 
 +
=='''스틸컷'''==
 +
[[File:2030843__.jpg|300px]]
 +
[[File:DSKT093509_01.jpg|300px]]
 +
[[File:DSKT093508_01.jpg|300px]]
 +
[[File:DSKT093224_01.jpg|300px]]
 +
<ref>[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09855/own/image#dataHashStillDetail6 KMDB]</ref>
 +
 
 +
 
 +
=='''예고편'''==
 
<html>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xZPlhT9b4o?si=nGBhSVI0H1MHlnum"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xZPlhT9b4o?si=nGBhSVI0H1MHlnum"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등장인물==
+
 
 +
=='''OST'''==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F4FzxYSlhiM?si=VXpg5EeAxAQrPE4y"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등장인물'''==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주요 등장인물
 
|+ 주요 등장인물
 
! 배역 || 배우 || 소개
 
! 배역 || 배우 || 소개
 
|-
 
|-
|신윤복 || 김민선 || 예뻐요
+
|신윤복 || 김민선 || 주인공, 원래는 신윤정이지만, 친오빠 신윤복의 죽음으로 신윤복으로 살아가게 됨
 
|-
 
|-
|강무 || 김남길 || 러브러
+
|강무 || 김남길 || 신윤복이 사실은 여자임을 알고 사랑에 빠지는 사람
 
|-
 
|-
|김영호 || 김홍도 || 우엑
+
|김영호 || 김홍도 || 신윤복의 그림 선생, 신윤복을 마음에 품고 있음
 
|-
 
|-
|설화 || 추자현 || 예뻐요
+
|설화 || 추자현 || 홍도를 사모하는 기생
 +
|-
 +
|신한평 || 박지일 || 신윤복의 아버지, 김홍도를 증오
 
|}
 
|}
  
==줄거리==
 
4대째 이어온 화원 가문의 막내딸이자 신묘한 그림솜씨로 오빠 신윤복에게 남몰래 대신 그림을 그려주던 7살 천재 윤정. 평범하던 그녀의 삶은 어느 날 오빠의 자살로 인해 송두리째 뒤바뀐다. 그림을 위해 여자를 버리고 오빠 신윤복의 삶을 살게 된 것. 조선 최고의 화가 김홍도의 마음을 설레이게 할 만큼 빼어난 그림 실력을 가졌던 윤복은 자유롭고 과감한 사랑을 그려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을 선보인다. 하지만 그의 '속화'는 음란하고 저급하다는 질타와 시기를 받는다. 그림을 위해 남자로 살았던 윤복 앞에 어느날 강무가 나타나고 생애 처음 사랑의 감정에 빠진다. 사랑 앞에 여자이고 싶었던 윤복, 윤복을 위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그녀의 첫사랑 강무, 제자의 재능을 사랑하고 그의 전부를 사랑하게 된 김홍도, 홍도를 향한 사랑으로 질투에 사로잡힌 기녀 설화. 250년간 숨겨진 비밀을 간직한 <미인도>를 둘러싼 그들의 엇갈린 사랑과 치명적 질투는 예기치 못한 불행을 불러온다.
 
  
출처: [https://www.koreafilm.or.kr/main 한국영상자료]
+
=='''신윤복 역사적 배경'''==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신윤복 인물정보
 +
|-
 +
|성명 || 신윤복
 +
|-
 +
|호 || 혜원
 +
|-
 +
|성별 || 남성
 +
|-
 +
|본관 || 고령
 +
|-
 +
|생애 || 1758~1814(?)
 +
|-
 +
|부모 || 부친- 신한평, 모친- 전주 이씨
 +
|-
 +
|형제자매 || 6남 2녀 중 5남
 +
|-
 +
|직업 || 화가, 무관
 +
|-
 +
|왕 || 조선 영조, 정조 시기
 +
|-
 +
|작품 특징 || 양반가의 생활, 여성의 생활상, 남녀가 어울려 노는 모습을 주로 그림
 +
|}
 +
 
 +
 
 +
*'''가문의 역사'''
 +
신윤복을 고령 신씨 집안 출신이며, 신윤복의 11대조인 신말주(申末舟)의 후손이다. 신수진이 서자로 태어나 가문이 중인 계급으로 내려갔으며, 이후 여러 대에 걸쳐 화원, 역관, 율관을 배출하였다. 신시 문중을 서화에 뛰어났으며, 서맥(書脈)은 고려 말 신덕린(申德隣)에게서 기원하였다.화맥(畵脈)은 신말주의 정부인인 설총(薛聰)의 28대 손녀 순창 설씨에게 기원한다.
 +
 
 +
 
 +
*'''가족 관계'''
 +
**부친 신한평: 유명한 도화서 화원으로 도화서에서 30년 넘게 화원으로 근무하였다. 초상화(이광사)와 풍속화(<자모육아(慈母育兒)>)를 남겼으며, 정조어진과 영조어진 제작, 규장각 소장의궤 제작에 참여하였다.
 +
**형제자매: 형으로는 신인권, 신의권, 신응권, 신양권이 있다. 동생으로는 남동생 신윤도와 여동생 두이 있었다.
 +
**자녀: 신윤복은 부인이나 자녀에 대한 기록이 없다.
 +
 
 +
 
 +
*'''모호한 성별 논란'''
 +
신윤복의 성별은 어느 문헌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그의 그림에 많은 여성이 등장하고 화풍 또한 섬세하다는 점, 그리고 그의 모습이 그려진 영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들이 신윤복의 성별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
 
 +
위와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신윤복이 여자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그가 살았던 조선시대라는 사회적 배경에서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극히 낮았기에, 여성이 도화서의 화원이 될 수는 없었다. 설령 남장 여자로 행세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도화서에서 동고동락하는 다른 화원들이 이를 간파하지 못했을 리 없다.
 +
 
 +
실제로 그가 여자였다면 시대적 여건을 고려했을 때, 신사임당처럼 뛰어난 재주를 지닌 여인으로서 문헌상에 성별이 기록되었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소설이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장 여자로서의 신윤복은 어디까지나 극적 재미를 위한 설정으로서 픽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
<ref>[https://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331794 충북일보]</ref>
 +
 
 +
 
 +
* '''신윤복 작품 목록'''
 +
<gallery>
 +
File:미인도 그림.PNG|미인도
 +
File:2030843.jpg|섬네일|단오풍정
 +
File:국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001.jpg|월하정인
 +
File:국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006.jpg|상춘야흥
 +
File:국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012.jpg|연소답청
 +
File:국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008.jpg|주사거배
 +
File:국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014.jpg|선유도
 +
File:국보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009.jpg|검무도
 +
</gallery>
 +
 
 +
 
 +
* '''김홍도, 김득신과의 비교'''
 +
신윤복은 김홍도, 김득신과 함꼐 조선 후기 대표정 풍속화가로 꼽힌다.
 +
김홍도는 서민 생활을 주로 묘사한 반면, 신윤복은 양반과 기녀의 생활을 그렸다.
 +
 
 +
 
 +
*'''회화의 특징 및 화풍'''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ZUYkoBZntmg?si=avsL31hNc1Yu9Nun"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신윤복은 도시 양반과 기녀들의 생활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기녀들의 풍류와 애정을 표현한 작품이 다수 있다.
 +
섬세한 선과 아름다운 채색이 특징이며, 복식과 생활상을 생생하게 묘사하였다.
 +
그림에 짧은 찬문이 자주 삽입된다. <전모를 쓴 여인>에는 "옛 사람들이 도달하지 못한 경지이니 기이하다고 할 수 있다(前人未發 可謂奇)"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
신윤복의 화풍을 본뜬 풍속화와 민화가 후대에 많이 제작되었다.
 +
 
 +
 
 +
=='''영화 줄거리'''==
 +
4대째 이어온 화원 가문의 막내딸이자 신묘한 그림솜씨로 오빠 신윤복에게 남몰래 대신 그림을 그려주던 7살 천재 윤정. 평범하던 그녀의 삶은 어느 날 오빠의 자살로 인해 송두리째 뒤바뀐다. 그림을 위해 여자를 버리고 오빠 신윤복의 삶을 살게 된 것.
 +
 
 +
조선 최고의 화가 김홍도의 마음을 설레이게 할 만큼 빼어난 그림 실력을 가졌던 윤복은 자유롭고 과감한 사랑을 그려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을 선보인다. 하지만 그의 '속화'는 음란하고 저급하다는 질타와 시기를 받는다.
 +
 
 +
그림을 위해 남자로 살았던 윤복 앞에 어느날 강무가 나타나고 생애 처음 사랑의 감정에 빠진다. 사랑 앞에 여자이고 싶었던 윤복, 윤복을 위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그녀의 첫사랑 강무, 제자의 재능을 사랑하고 그의 전부를 사랑하게 된 김홍도, 홍도를 향한 사랑으로 질투에 사로잡힌 기녀 설화. 250년간 숨겨진 비밀을 간직한 <미인도>를 둘러싼 그들의 엇갈린 사랑과 치명적 질투는 예기치 못한 불행을 불러온다. <ref> [https://www.koreafilm.or.kr/library/search/scenario/DCKD019015 한국영상자료]</ref>
 +
 
 +
 
 +
=='''촬영지 정보'''==
 +
*''안동 만휴정''
 +
[[File:20221012_130145.jpg|400px]]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3210.9491412575962!2d128.90722927582047!3d36.41042577236075!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6695e736dd2245%3A0x811cf1b850ed6f3a!2z66eM7Zy07KCV!5e0!3m2!1sko!2skr!4v1743270657301!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
 
 +
 
 +
*''단양 북벽''
 +
[[File:201612072111_11130923655783_1.jpg|400px]]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3182.984701411189!2d128.4915920761316!3d37.08167125178205!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63e58d0d49703d%3A0x45129bf43680c75!2z67aB67K9!5e0!3m2!1sko!2skr!4v1743270878993!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
 
 +
 
 +
*''안동군자마을''
 +
[[File:2023-04-30.jpg|300px]]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3200.0402953628945!2d128.80000037611651!3d36.67353217482913!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66ae14515a0d27%3A0xf58fe36c67fd5b4f!2z7JWI64-Z6rWw7J6Q66eI7J2E!5e0!3m2!1sko!2skr!4v1743270932290!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
 
 +
 
 +
=='''평가'''==
 +
=== '''네티즌 평가'''===
 +
*네티즌 평점
 +
6.39/10 (4,296명 참여)
 +
 
 +
{|class="wikitable sotable" style="width:90%;"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ref>[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1787373&qvt=0&query=%EC%98%81%ED%99%94%20%EB%AF%B8%EC%9D%B8%EB%8F%84%20%EA%B4%80%EB%9E%8C%ED%8F%89 네이버 영화 '미인' 관람평] </ref>
 +
!style="width:13%"|닉네임|| style="width:17%"|평점|| style="width:60%"|한줄평||공감수
 +
|-
 +
|spah****|| ★★★★★|| 대체 왜 평점이 낮은지 도무지 이해가 안간다. 장면 하나하나가 다 아름다웠다.||좋아요 424
 +
|-
 +
|hyde****|| ★★☆|| 캐릭터들의 연관성이모호했음 김홍도가 갑자기 제자인 신윤복을 여자로 느껴 겁탈하려하는장면이나 신윤복이 갇혀있던삶에서 여성성을찾는 극적인장면도 공감을 끌기엔 부족했다.. 솔직히 천재김홍도를 그런 파렴치한의 캐릭으로 만들어서 불편했던것도 사실.. || 좋아요 42
 +
|-
 +
|went****|| ★★★★☆|| 베드신보다 김홍도가 신윤복과 그림을 그리며 가지말라고했던 장면과...아름답게 지켜주지못해서 한이된다고 말하던 부분이 더 기억에 남는다. 정말 재밋게봤고 앞의 내용이 있었기에 마지막 미인도를 흘려보내는 부분이 가장 슬픈 장면이었던것같다. || 좋아요 205
 +
|}
 +
 
 +
 
 +
==='''평론가 한줄평'''===
 +
{|class="wikitable sotable" style="width:90%;"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ref>[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1787373&qvt=0&query=%EC%98%81%ED%99%94%20%EB%AF%B8%EC%9D%B8%EB%8F%84%20%EA%B4%80%EB%9E%8C%ED%8F%89 네이버 영화 '미인' 관람평] </ref>
 +
!style="width:13%"|이름|| style="width:17%"|평점|| style="width:60%"|한줄평
 +
|-
 +
|달시 파켓|| ★★☆|| 그래서, 대체 이 영화의 포인트가 뭐지?
 +
|-
 +
|박평식|| ★★|| 치정에 녹아버린 풍자
 +
|-
 +
|문석|| ★★☆||벗었다, 고로 이 영화는 존재한다
 +
|}
 +
 
 +
 
 +
==='''수상'''===
 +
* 제 46회 '대종상영화제' 촬영상 수상 <ref> [https://www.starnewskorea.com/stview.php?no=2009110620210666339 스타뉴]</ref>
 +
 
 +
* 2008 '웹어드 코리아' 영화예부문 공동 우수상 수상 <ref>[https://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55020 CNBNEWS]</ref>
 +
 
  
==평가==
+
=='''출처'''==
 +
<references/>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 Time-Slip Archive]]
 
[[분류: Time-Slip Archive]]
 +
[[분류: KU최연우]]

2025년 4월 1일 (화) 13:32 기준 최신판



미인도
작품명(국문) 미인도
작품명(영문) Portrait of a Beauty
제작연도 2008
국가 대한민국
감독 전윤수
각본 한수련
개봉일 2008.11.13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장르 시대극/사극, 드라마, 멜로드라마
러닝타임 108분
관객수 2,342,579명





개요

<<미인도>> 는 2008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감독은 전윤수. 제작사는 이룸영화사며, 배급은 CJ엔터테인먼트가 맡았다.


시놉시스

신윤복의 그림 ‘미인도’에 얽힌 남녀의 위태롭고도 치명적 사랑

조선시대 천재화가 신윤복이 여자였다는 도발적 상상력에서 출발한 영화 <미인도>는 <식객> 전윤수 감독의 차기작 이라는 점에서 한국 영화계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작품. <미인도>는 <식객> 에 이어 전윤수 감독, 이성훈 프로듀서 콤비의 두번째 작품이다. 이성훈 프로듀서는 <태극기 휘날리며>의 흥행신화를 일궈낸 한국영화의 실력파 영화인이다. <식객>이후 두 번째 기적을 이룰 <미인도>는 하늘이 내린 그림 재주를 타고났으나 여인의 몸으로 태어나 어쩔 수 없이 남장을 해야만 했던 화가 신윤복과 그녀를 둘러싼 슬프면서도 매혹적인 사랑을 담은 스토리로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상상력이 가미된 한국형 팩션 무비의 또 다른 지평을 열 예정이다. [1]


포스터

미인도 포스터2.jpg 미인도 포스터3.jpg


스틸컷

2030843 .jpg DSKT093509 01.jpg DSKT093508 01.jpg DSKT093224 01.jpg [2]


예고편


OST


등장인물

주요 등장인물
배역 배우 소개
신윤복 김민선 주인공, 원래는 신윤정이지만, 친오빠 신윤복의 죽음으로 신윤복으로 살아가게 됨
강무 김남길 신윤복이 사실은 여자임을 알고 사랑에 빠지는 사람
김영호 김홍도 신윤복의 그림 선생, 신윤복을 마음에 품고 있음
설화 추자현 홍도를 사모하는 기생
신한평 박지일 신윤복의 아버지, 김홍도를 증오


신윤복 역사적 배경

신윤복 인물정보
성명 신윤복
혜원
성별 남성
본관 고령
생애 1758~1814(?)
부모 부친- 신한평, 모친- 전주 이씨
형제자매 6남 2녀 중 5남
직업 화가, 무관
조선 영조, 정조 시기
작품 특징 양반가의 생활, 여성의 생활상, 남녀가 어울려 노는 모습을 주로 그림


  • 가문의 역사

신윤복을 고령 신씨 집안 출신이며, 신윤복의 11대조인 신말주(申末舟)의 후손이다. 신수진이 서자로 태어나 가문이 중인 계급으로 내려갔으며, 이후 여러 대에 걸쳐 화원, 역관, 율관을 배출하였다. 신시 문중을 서화에 뛰어났으며, 서맥(書脈)은 고려 말 신덕린(申德隣)에게서 기원하였다.화맥(畵脈)은 신말주의 정부인인 설총(薛聰)의 28대 손녀 순창 설씨에게 기원한다.


  • 가족 관계
    • 부친 신한평: 유명한 도화서 화원으로 도화서에서 30년 넘게 화원으로 근무하였다. 초상화(이광사)와 풍속화(<자모육아(慈母育兒)>)를 남겼으며, 정조어진과 영조어진 제작, 규장각 소장의궤 제작에 참여하였다.
    • 형제자매: 형으로는 신인권, 신의권, 신응권, 신양권이 있다. 동생으로는 남동생 신윤도와 여동생 두이 있었다.
    • 자녀: 신윤복은 부인이나 자녀에 대한 기록이 없다.


  • 모호한 성별 논란

신윤복의 성별은 어느 문헌에도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그의 그림에 많은 여성이 등장하고 화풍 또한 섬세하다는 점, 그리고 그의 모습이 그려진 영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들이 신윤복의 성별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위와 같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신윤복이 여자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그가 살았던 조선시대라는 사회적 배경에서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극히 낮았기에, 여성이 도화서의 화원이 될 수는 없었다. 설령 남장 여자로 행세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도화서에서 동고동락하는 다른 화원들이 이를 간파하지 못했을 리 없다.

실제로 그가 여자였다면 시대적 여건을 고려했을 때, 신사임당처럼 뛰어난 재주를 지닌 여인으로서 문헌상에 성별이 기록되었을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소설이나 드라마에 등장하는 남장 여자로서의 신윤복은 어디까지나 극적 재미를 위한 설정으로서 픽션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


  • 신윤복 작품 목록


  • 김홍도, 김득신과의 비교

신윤복은 김홍도, 김득신과 함꼐 조선 후기 대표정 풍속화가로 꼽힌다. 김홍도는 서민 생활을 주로 묘사한 반면, 신윤복은 양반과 기녀의 생활을 그렸다.


  • 회화의 특징 및 화풍

신윤복은 도시 양반과 기녀들의 생활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기녀들의 풍류와 애정을 표현한 작품이 다수 있다. 섬세한 선과 아름다운 채색이 특징이며, 복식과 생활상을 생생하게 묘사하였다. 그림에 짧은 찬문이 자주 삽입된다. <전모를 쓴 여인>에는 "옛 사람들이 도달하지 못한 경지이니 기이하다고 할 수 있다(前人未發 可謂奇)"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신윤복의 화풍을 본뜬 풍속화와 민화가 후대에 많이 제작되었다.


영화 줄거리

4대째 이어온 화원 가문의 막내딸이자 신묘한 그림솜씨로 오빠 신윤복에게 남몰래 대신 그림을 그려주던 7살 천재 윤정. 평범하던 그녀의 삶은 어느 날 오빠의 자살로 인해 송두리째 뒤바뀐다. 그림을 위해 여자를 버리고 오빠 신윤복의 삶을 살게 된 것.

조선 최고의 화가 김홍도의 마음을 설레이게 할 만큼 빼어난 그림 실력을 가졌던 윤복은 자유롭고 과감한 사랑을 그려 조선 최초의 에로티시즘을 선보인다. 하지만 그의 '속화'는 음란하고 저급하다는 질타와 시기를 받는다.

그림을 위해 남자로 살았던 윤복 앞에 어느날 강무가 나타나고 생애 처음 사랑의 감정에 빠진다. 사랑 앞에 여자이고 싶었던 윤복, 윤복을 위해 목숨도 바칠 수 있는 그녀의 첫사랑 강무, 제자의 재능을 사랑하고 그의 전부를 사랑하게 된 김홍도, 홍도를 향한 사랑으로 질투에 사로잡힌 기녀 설화. 250년간 숨겨진 비밀을 간직한 <미인도>를 둘러싼 그들의 엇갈린 사랑과 치명적 질투는 예기치 못한 불행을 불러온다. [4]


촬영지 정보

  • 안동 만휴정

20221012 130145.jpg


  • 단양 북벽

201612072111 11130923655783 1.jpg


  • 안동군자마을

2023-04-30.jpg


평가

네티즌 평가

  • 네티즌 평점

6.39/10 (4,296명 참여)

출처:[5]
닉네임 평점 한줄평 공감수
spah**** ★★★★★ 대체 왜 평점이 낮은지 도무지 이해가 안간다. 장면 하나하나가 다 아름다웠다. 좋아요 424
hyde**** ★★☆ 캐릭터들의 연관성이모호했음 김홍도가 갑자기 제자인 신윤복을 여자로 느껴 겁탈하려하는장면이나 신윤복이 갇혀있던삶에서 여성성을찾는 극적인장면도 공감을 끌기엔 부족했다.. 솔직히 천재김홍도를 그런 파렴치한의 캐릭으로 만들어서 불편했던것도 사실.. 좋아요 42
went**** ★★★★☆ 베드신보다 김홍도가 신윤복과 그림을 그리며 가지말라고했던 장면과...아름답게 지켜주지못해서 한이된다고 말하던 부분이 더 기억에 남는다. 정말 재밋게봤고 앞의 내용이 있었기에 마지막 미인도를 흘려보내는 부분이 가장 슬픈 장면이었던것같다. 좋아요 205


평론가 한줄평

출처:[6]
이름 평점 한줄평
달시 파켓 ★★☆ 그래서, 대체 이 영화의 포인트가 뭐지?
박평식 ★★ 치정에 녹아버린 풍자
문석 ★★☆ 벗었다, 고로 이 영화는 존재한다


수상

  • 제 46회 '대종상영화제' 촬영상 수상 [7]
  • 2008 '웹어드 코리아' 영화예부문 공동 우수상 수상 [8]


출처

  1. 이동 씨네21
  2. 이동 KMDB
  3. 이동 충북일보
  4. 이동 한국영상자료
  5. 이동 네이버 영화 '미인' 관람평
  6. 이동 네이버 영화 '미인' 관람평
  7. 이동 스타뉴
  8. 이동 CNB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