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멸의 이순신(드라마, 200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불멸의이순신정보 |
|이미지=불멸의이순신 포스터.png | |이미지=불멸의이순신 포스터.png | ||
− | |이미지출처=[https://program.kbs.co.kr/2tv/drama/leesoonshin/pc/index.html | + | |이미지출처=불멸의 이순신[https://program.kbs.co.kr/2tv/drama/leesoonshin/pc/index.html], 2004.09.04. |
|작품명(국문)=불멸의 이순신 | |작품명(국문)=불멸의 이순신 | ||
|작품명(영문)=Immortal Admiral Yi Sun-sin | |작품명(영문)=Immortal Admiral Yi Sun-sin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국가=대한민국 | |국가=대한민국 | ||
|채널=KBS 1TV | |채널=KBS 1TV | ||
− | | | + | |연출=이성주, 김정규, 한준서 |
− | | | + | |극본=윤선주, 윤영수, 장기창, 박영숙, 김태희(스토리텔러), 이성은(보조 작가) |
− | + | ||
|장르=대하사극 | |장르=대하사극 | ||
|방송 횟수=104부작 + 스페셜 특집 2부 | |방송 횟수=104부작 + 스페셜 특집 2부 | ||
20번째 줄: | 19번째 줄: | ||
== 줄거리 == | == 줄거리 == | ||
− | 1~4회는 에필로그, 5회 ~ 56회는 1부, 57회 ~ 93회는 2부, 94회 ~ 104회는 3부로 되어 있다. | + | 1~4회는 에필로그, 5회 ~ 56회는 1부, 57회 ~ 93회는 2부, 94회 ~ 104회는 3부로 되어 있다[https://program.kbs.co.kr/2tv/drama/leesoonshin/pc/index.html|]. |
=== 에필로그 === | === 에필로그 === | ||
+ | 도요토미가 사망하고 왜군이 철수하며 전란의 막바지에 이르던 때, 이순신은 노량으로 출정을 나선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종지부를 찍을 전투에서 이순신은 조총을 맞고 전사하지만 대부분의 왜군을 수몰시키는 데 성공한다. | ||
=== 1부 === | === 1부 === | ||
+ | 어릴 적의 이순신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임진왜란 발발 직전의 이야기로 흘러간다. | ||
=== 2부 === | === 2부 === | ||
+ | 임진왜란 발발 후 육지는 왜군에 의해 유린당하는 반면 바다는 이순신이 철저히 틀어막고 있어 왜군의 보급로가 막히게 된다. 수많은 전투에서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자기 관리를 철저히하는 이순신은 선조의 신임을 사게 된다. 그러나 선조가 이순신이 자신을 밀어낼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그를 삼도수군통제사직에서 파직하고 대신 원균을 임명한다. | ||
=== 3부 === | === 3부 === | ||
+ | 원균이 칠천량 해전에서 괴멸당한 후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를 재부임받는다. 그러나 이전 전투에서 대부분의 함선을 잃어 12척만으로 수백 척이나 되는 왜군을 상대하게 되나 대승을 거두게 된다. 명량 해전 후 수군을 재정비하고 명나라 장수 진린이 합류하게 된다. | ||
+ | == 등장인물 == | ||
+ | 자세한 등장인물 목록은 [https://namu.wiki/w/%EB%B6%88%EB%A9%B8%EC%9D%98%20%EC%9D%B4%EC%88%9C%EC%8B%A0| 해당] [https://ko.wikipedia.org/wiki/%EB%B6%88%EB%A9%B8%EC%9D%98_%EC%9D%B4%EC%88%9C%EC%8B%A0| 사이트]들을 참조. | ||
+ | === 주요 인물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파일:불멸의이순신 이순신.jpg|200픽셀]] || [[파일:불멸의이순신 류성룡.jpg|200픽셀]] || [[파일:불멸의이순신 원균.jpg|200픽셀]] || [[파일:불멸의이순신 선조.png|200픽셀]] | ||
+ | |- | ||
+ | | 이순신 || 류성룡 || 원균 || 선조 | ||
+ | |- | ||
+ | |} | ||
+ | *'''이순신''' - 김영민 역, 유승호(아역) | ||
+ | {{명대사|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요,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니,(후략) | ||
+ | |인물=이순신}} | ||
+ | 본작의 주인공. 이 드라마는 이 인물의 일생을 담아낼 정도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다. | ||
+ | *'''류성룡''' - 이재룡 역, 오승윤(아역) | ||
+ | 이순신의 오랜 친구이자 동료. | ||
+ | *'''원균''' - 최재성 역, 김학준(아역) | ||
+ | 이순신을 질투하지만 무능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인물. | ||
+ | *'''선조''' - 조민기(1~4화) / 최철호 역, 곽정욱(아역) | ||
+ | 조선의 14대 왕. | ||
+ | |||
+ | === 조선 === | ||
+ | *배설 - 황범식 역 | ||
+ | *이억기 - 최성준 역 | ||
+ | *김시민 - 정의갑 역 | ||
+ | *권율 - 김영기 역 | ||
+ | === 명 === | ||
+ | *진린 - 김하균 역 | ||
+ | === 일본 === | ||
+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이효정 역 | ||
+ | 임진왜란의 만악의 근원. | ||
+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전일범 역 | ||
+ | *고니시 유키나가 - 정승호 역 | ||
+ | *가토 기요마사 - 이정용 역 | ||
+ | |||
+ | == 음악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위치 !! 제목 !! 영상 | ||
+ | |- | ||
+ | | 메인 테마 || '''장군이 있는 곳'''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Ba1t1eDctrI?si=b6E9V2-3jQNe3iSG"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 | 오프닝 || '''칼의 노래'''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wkUPA5PN1cQ?si=hbrGs6E1_JS18jCd"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 | 엔딩 || '''불멸의 혼'''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5vPzw75D_rM?si=dw7fA_tjyavbqJdz"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기타 == | == 기타 == | ||
+ | 드라마 방영 당시에 캐스팅[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12/0000001078], 역사적 고증[https://namu.wiki/w/%EB%B6%88%EB%A9%B8%EC%9D%98%20%EC%9D%B4%EC%88%9C%EC%8B%A0/%EC%8B%9C%EB%8C%80%20%EA%B5%AC%ED%98%84%20%EC%98%A4%EB%A5%98][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119/0000003213] 등 많은 논란이 오갔으나, 대한민국의 상당수가 존경하는[https://www.chosun.com/national/national_general/2024/06/13/XGIXUERVDVGJZH7SBO6PA2BVIM/?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를 담아낸 작품이고 김영민 배우의 연기가 일품이라 인기가 많았다. | ||
[[분류: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
+ | [[분류: Time-Slip Archive]] |
2025년 3월 31일 (월) 22:33 기준 최신판
불멸의 이순신 | |
![]() 불멸의 이순신[1], 2004.09.04. |
|
작품명(국문) | 불멸의 이순신 |
---|---|
작품명(영문) | Immortal Admiral Yi Sun-sin |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
방송 시간 | 토·일 / 21:30 |
방송 기간 |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 |
채널 | KBS 1TV |
연출 | 이성주, 김정규, 한준서 |
극본 | 윤선주, 윤영수, 장기창, 박영숙, 김태희(스토리텔러), 이성은(보조 작가) |
장르 | 대하사극 |
방송 횟수 | 104부작 + 스페셜 특집 2부 |
개요
2004년 9월 4일부터 2005년 8월 28일까지 방영된 KBS 1TV 대하드라마.
줄거리
1~4회는 에필로그, 5회 ~ 56회는 1부, 57회 ~ 93회는 2부, 94회 ~ 104회는 3부로 되어 있다[2].
에필로그
도요토미가 사망하고 왜군이 철수하며 전란의 막바지에 이르던 때, 이순신은 노량으로 출정을 나선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종지부를 찍을 전투에서 이순신은 조총을 맞고 전사하지만 대부분의 왜군을 수몰시키는 데 성공한다.
1부
어릴 적의 이순신의 이야기로 시작하여 임진왜란 발발 직전의 이야기로 흘러간다.
2부
임진왜란 발발 후 육지는 왜군에 의해 유린당하는 반면 바다는 이순신이 철저히 틀어막고 있어 왜군의 보급로가 막히게 된다. 수많은 전투에서 단 한 번도 패배하지 않고 자기 관리를 철저히하는 이순신은 선조의 신임을 사게 된다. 그러나 선조가 이순신이 자신을 밀어낼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그를 삼도수군통제사직에서 파직하고 대신 원균을 임명한다.
3부
원균이 칠천량 해전에서 괴멸당한 후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를 재부임받는다. 그러나 이전 전투에서 대부분의 함선을 잃어 12척만으로 수백 척이나 되는 왜군을 상대하게 되나 대승을 거두게 된다. 명량 해전 후 수군을 재정비하고 명나라 장수 진린이 합류하게 된다.
등장인물
주요 인물
![]() |
![]() |
![]() |
![]() |
이순신 | 류성룡 | 원균 | 선조 |
- 이순신 - 김영민 역, 유승호(아역)
![]() |
살고자 하면 죽을 것이요,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니,(후략) | ![]() |
- 이순신 |
본작의 주인공. 이 드라마는 이 인물의 일생을 담아낼 정도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다.
- 류성룡 - 이재룡 역, 오승윤(아역)
이순신의 오랜 친구이자 동료.
- 원균 - 최재성 역, 김학준(아역)
이순신을 질투하지만 무능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인물.
- 선조 - 조민기(1~4화) / 최철호 역, 곽정욱(아역)
조선의 14대 왕.
조선
- 배설 - 황범식 역
- 이억기 - 최성준 역
- 김시민 - 정의갑 역
- 권율 - 김영기 역
명
- 진린 - 김하균 역
일본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이효정 역
임진왜란의 만악의 근원.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전일범 역
- 고니시 유키나가 - 정승호 역
- 가토 기요마사 - 이정용 역
음악
위치 | 제목 | 영상 |
---|---|---|
메인 테마 | 장군이 있는 곳 | |
오프닝 | 칼의 노래 | |
엔딩 | 불멸의 혼 |
기타
드라마 방영 당시에 캐스팅[3], 역사적 고증[4][5] 등 많은 논란이 오갔으나, 대한민국의 상당수가 존경하는[6] 충무공 이순신의 일대기를 담아낸 작품이고 김영민 배우의 연기가 일품이라 인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