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세종(드라마, 200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영화드라마정보
 
{{영화드라마정보
 
|이미지= 대왕세종.jpg
 
|이미지= 대왕세종.jpg
|이미지출처= [https://www.themoviedb.org/tv/14085-king-sejong-the-great/images/posters?language=ko]
+
|이미지출처= [https://www.themoviedb.org/tv/14085-king-sejong-the-great/images/posters?language=ko], TMDB.
|작품명(국문)= 대왕세종
+
|작품명(국문)= 대왕세종 (大王 世宗)
 
|작품명(영문)= The Great King, Sejong
 
|작품명(영문)= The Great King, Sejong
 
|제작연도= 2008년
 
|제작연도= 2008년
9번째 줄: 9번째 줄:
 
|감독= 정영
 
|감독= 정영
 
|각본= 윤선주, 김태희
 
|각본= 윤선주, 김태희
|각색=
+
|개봉일= 2008년 1월 15
|개봉일=  
+
|방송기간= 토요일, 일요일 21:30 ~ 22:20
|방송기간=
+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등급=
+
|장르= 대하사극
|장르=
+
|러닝타임= 50분
|러닝타임=
+
|방송횟수= 86부작
|방송횟수=
+
|관객수=
+
 
}}
 
}}
 +
 +
=='''기획의도'''==
 +
드라마 '''대왕세종'''은 조선 제4대 왕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57676&cid=46622&categoryId=46622 세종]의 일대기와 조선 초 궁궐 내부의 사건들을 다룬다. 1409년, 13세의 세종이 등장하는 극 초반에는 민무구와 민무질의 숙청이, 마지막 화에서는 훈민정음 반포가 펼쳐진다. 왕으로서의 개혁과 신하들과의 대립, 인간적인 고뇌를 생생하게 그려내며, ‘모든 백성이 편안한 나라’를 향한 그의 여정을 밀도 있게 담아낸다.
 +
 +
{{명대사|이 땅에서 가장 높은 이다.
 +
또한 가장 낮은 자이기도 하지.
 +
 +
단 한 명의 백성도 그에게는 하늘이고 땅이고 우주였다.
 +
|인물=장영실
 +
}}
 +
 +
<center>
 +
{{명대사|백성이 이 나라
 +
정치의 주인이다
 +
|인물=세종
 +
}}
 +
</center>
 +
 +
=='''등장인물'''==
 +
[[파일:대왕세종_인물.jpg|300px|right]]
 +
 +
*'''왕실'''
 +
**세종대왕(김상경): 조선 제4대 왕. 학문과 개혁을 통해 조선을 부강한 나라로 만들고자 했던 성군
 +
**태종(김영철): 세종의 아버지이자 조선 제3대 왕. 강력한 왕권을 구축했으며, 세종의 즉위를 결정적으로 이끈 인물
 +
**소헌왕후(이윤지): 세종의 왕비로 지혜롭고 내조가 뛰어나며, 남편과 나라를 위해 헌신적인 인물
 +
**양녕대군(박상민): 세종의 형이자 태종의 장남. 왕세자에서 폐위된 후 방황하지만, 동생을 향한 애증을 품고 살아간 인물
 +
**효령대군(안성민): 세종의 둘째 형으로 학문과 불교에 심취한 인물
 +
*'''대립 인물'''
 +
**이숙번(김주영): 태종의 충신으로, 세종 즉위 초반 강력한 왕권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지만 점차 갈등을 겪는 인물
 +
**심온(최상훈): 소헌왕후의 아버지로, 세종 즉위 초반 세력을 형성하지만 숙청당하는 비운의 인물
 +
**김종서(이병욱): 세종의 충직한 신하로, 북방 개척과 군사 정책에 중요한 인물
 +
**최만리(이성민): 한문 우월주의를 주장하며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한 보수파 학자
 +
 +
=='''예고편'''==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rTpig31BMkY?si=HN2PfhfQfsU5smpk"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수상이력'''==
 +
*이원종 - KBS 연기대상 <주간극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
 +
*이윤지 - KBS 연기대상 <주간극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
*이현우 -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 연기자상>
 +
*김상경 - 제21회 그레미상 <남자 최우수 연기자상>
 +
 +
=='''촬영지 정보'''==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19398 문경새재도립공원]
 +
*전주한옥마을
 +
*한국가사문학관
 +
*한국민속촌
 +
 +
=='''역사적 배경'''==
 +
===세종대왕의 역사===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xiDRPKl2EWg?si=MYQg6CUmRI-rI9cv"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요 기관'''==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5081 집현전 (集賢殿)]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3379 의정부 (議政府)]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2158 육조 (六曹)]
 +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6104 사헌부 (司憲府)]
 +
 +
=='''출처'''==
 +
*[https://program.kbs.co.kr/2tv/drama/sejong/pc/index.html 대왕세종] KBS 드라마
 +
*[https://sports.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3279493 스포츠 한국]
 +
*[https://namu.wiki/w/대왕%20세종 나무위키]
 +
*[https://ko.wikipedia.org/wiki/대왕_세종 위키백과]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Time-Slip Archive]]
 +
[[분류: 김위성]]

2025년 3월 31일 (월) 21:10 기준 최신판

대왕세종 (大王 世宗)
[1], TMDB.
작품명(국문) 대왕세종 (大王 世宗)
작품명(영문) The Great King, Sejong
제작연도 2008년
국가 대한민국
채널 KBS
감독 정영
각본 윤선주, 김태희
개봉일 2008년 1월 15
방송기간 토요일, 일요일 21:30 ~ 22:20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장르 대하사극
러닝타임 50분
방송횟수 86부작



기획의도

드라마 대왕세종은 조선 제4대 왕 세종의 일대기와 조선 초 궁궐 내부의 사건들을 다룬다. 1409년, 13세의 세종이 등장하는 극 초반에는 민무구와 민무질의 숙청이, 마지막 화에서는 훈민정음 반포가 펼쳐진다. 왕으로서의 개혁과 신하들과의 대립, 인간적인 고뇌를 생생하게 그려내며, ‘모든 백성이 편안한 나라’를 향한 그의 여정을 밀도 있게 담아낸다.


Quote-left.png 이 땅에서 가장 높은 이다.

또한 가장 낮은 자이기도 하지.

단 한 명의 백성도 그에게는 하늘이고 땅이고 우주였다.

Quote-right.png
- 장영실



Quote-left.png 백성이 이 나라

정치의 주인이다

Quote-right.png
- 세종


등장인물

대왕세종 인물.jpg
  • 왕실
    • 세종대왕(김상경): 조선 제4대 왕. 학문과 개혁을 통해 조선을 부강한 나라로 만들고자 했던 성군
    • 태종(김영철): 세종의 아버지이자 조선 제3대 왕. 강력한 왕권을 구축했으며, 세종의 즉위를 결정적으로 이끈 인물
    • 소헌왕후(이윤지): 세종의 왕비로 지혜롭고 내조가 뛰어나며, 남편과 나라를 위해 헌신적인 인물
    • 양녕대군(박상민): 세종의 형이자 태종의 장남. 왕세자에서 폐위된 후 방황하지만, 동생을 향한 애증을 품고 살아간 인물
    • 효령대군(안성민): 세종의 둘째 형으로 학문과 불교에 심취한 인물
  • 대립 인물
    • 이숙번(김주영): 태종의 충신으로, 세종 즉위 초반 강력한 왕권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지만 점차 갈등을 겪는 인물
    • 심온(최상훈): 소헌왕후의 아버지로, 세종 즉위 초반 세력을 형성하지만 숙청당하는 비운의 인물
    • 김종서(이병욱): 세종의 충직한 신하로, 북방 개척과 군사 정책에 중요한 인물
    • 최만리(이성민): 한문 우월주의를 주장하며 훈민정음 창제에 반대한 보수파 학자

예고편

수상이력

  • 이원종 - KBS 연기대상 <주간극 부문 남자 우수 연기상>
  • 이윤지 - KBS 연기대상 <주간극 부문 여자 우수 연기상>
  • 이현우 -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 연기자상>
  • 김상경 - 제21회 그레미상 <남자 최우수 연기자상>

촬영지 정보

역사적 배경

세종대왕의 역사

주요 기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