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라(드라마, 201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명대사)
 
(같은 사용자에 의한 7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pre>
 
 
{{영화드라마정보
 
{{영화드라마정보
|이미지=나의나라포스터.jpg
+
|이미지=나의나라포스터터.jpeg
|이미지출처=[https://tv.jtbc.co.kr/mynation JTBC 공식 홈페이지]
+
|이미지출처=[https://en.wikipedia.org/wiki/My_Country:_The_New_Age 나의 나라: 새로운 시대]
| 제목 = 나의 나라
+
|작품명(국문)=나의 나라
| 장르 = 사극, 액션, 로맨스
+
|작품명(영문)=My Country: The New Age
| 방송국 = [[JTBC]]
+
|제작연도=2019
| 방송 기간 = 2019년 10월 4일 ~ 2019년 11월 23일
+
|국가=대한민국
| 방송 시간 = 금, 토 밤 10시 50분 (KST)
+
|감독=김진원
| 연출 = 김진원
+
|각본=채승대
| 극본 = 채승대
+
|개봉일=
| 출연자 = [[양세종]], [[우도환]], [[김설현]], [[장혁]]
+
|방송기간=2019년 10월 4일 ~ 2019년 11월 23일
| 국가 = [[대한민국]]
+
|등급=15세 이상 관람가
| 언어 = [[한국어]]
+
|장르=사극, 액션, 로맨스
| 화수 = 16부작
+
|러닝타임=회당 약 70분
 +
|방송횟수=16부작
 +
|관객수=
 
}}
 
}}
</pre>
+
'''이것은 《나의 나라》에 대한 이야기다.''' 
</noinclude>
+
 
 +
<blockquote>
 +
역사는 시대를 이끌어간 거인들의 기록이다. 
 +
하지만 여기, 거인들의 거대한 족적에 묻힌 수많은 작은 발자국들이 있다. 
 +
 
 +
거인들은 거창한 대의를 부르짖고 고고한 명분을 내세우지만, 
 +
역사의 수면 아래는 언제나 지옥이었다. 
 +
 
 +
그 지옥은 협잡과 음모, 배신과 모략, 
 +
그리고 죽음보다 강한 삶의 욕망으로 가득했으리라. 
 +
 
 +
역사의 날선 칼날 위엔, 삶과 죽음이 모두 한순간이다. 
 +
하물며 거인들의 목숨이 이럴진대, 
 +
백성들은 또 얼마나 하찮은 취급이었을까. 
 +
 
 +
허나, 모든 백성에게도 저마다의 지켜야 할 나라가 있다. 
 +
비록 깨지고 꺾이고 부서져도 각자의 나라를 
 +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곧 삶이기에 그렇다. 
 +
 
 +
하여 이것은, 나라가 뒤집어지는 혼돈의 시대를 온몸으로 헤쳐, 
 +
저마다의 ‘나의 나라’를 지키려는 치열한 삶들의 기록이다.<ref>[https://tv.jtbc.co.kr/plan/pr10011100 JTBC '나의 나라' 공식 페이지]</ref>
 +
</blockquote>
 +
 
 +
 
 +
 
  
 
== 개요 ==
 
== 개요 ==
《'''나의 나라'''》는 2019년 [[JTBC]]에서 방영된 [[대한민국]]의 [[사극]] 드라마로, [[고려]] 말기부터 [[조선]] 건국 초기까지의 격변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역사 속 실존 인물인 [[이성계]], [[이방원]], [[남전]] 등이 등장하며, 허구의 주인공들이 조선 개국과 관련된 갈등을 겪는 과정을 그린다.
+
《'''나의 나라'''》는 2019년 [https://ko.wikipedia.org/wiki/JTBC JTBC]에서 방영된 [https://ko.wikipedia.org/wiki/대한민국 대한민국]의 [https://ko.wikipedia.org/wiki/사극 사극] 드라마로, [https://ko.wikipedia.org/wiki/고려 고려] 말기부터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 조선] 건국 초기까지의 격변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
역사 속 실존 인물인 [https://ko.wikipedia.org/wiki/이성계 이성계], [https://ko.wikipedia.org/wiki/이방원 이방원], [https://ko.wikipedia.org/wiki/남전 남전] 등이 등장하며, 허구의 주인공들이 조선 개국과 관련된 갈등을 겪는 과정을 그린다.
 +
 
 +
 
 +
 
 +
=== 인물관계도 ===
 +
[[파일:나의나라인물.png|400px]]<ref>[https://tv.jtbc.co.kr/cast/PR10011100 JTBC공식사이트 '나의 나라' 등장인물 페이지]</ref>
  
 
== 역사적 배경 ==
 
== 역사적 배경 ==
《나의 나라》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이어지는 격변기를 배경으로 하며, 주요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이 등장한다.
+
《나의 나라》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이어지는 격변기를 배경으로 하며, 주요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이 등장한다.
 +
 
  
 
=== 고려 말기와 조선 건국 ===
 
=== 고려 말기와 조선 건국 ===
14세기 후반, 고려는 내부적으로 권문세족의 횡포와 외부적으로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이때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1388년)을 단행하며 정권을 장악하고, 이후 [[조선]]을 건국하게 된다.
+
14세기 후반, 고려는 내부적으로 [https://ko.wikipedia.org/wiki/권문세족 권문세족]의 횡포와 외부적으로 [https://ko.wikipedia.org/wiki/홍건적 홍건적]과 [https://ko.wikipedia.org/wiki/왜구 왜구]의 침입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
이러한 혼란 속에서 고려는 개혁과 개방을 주장하는 신진사대부와 보수적인 기득권 세력인 권문세족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
이성계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군사적 입지를 다지며 점차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 '''위화도 회군 (1388년)''' - [[최영]]과 [[이성계]]가 [[요동 정벌]]을 추진했으나, 이성계가 군을 돌려 개경으로 회군하며 고려 정권을 뒤흔든 사건.
+
* '''[https://ko.wikipedia.org/wiki/위화도_회군 위화도 회군 (1388년)]''' - [https://ko.wikipedia.org/wiki/최영 최영]과 [[이성계]]가 [https://ko.wikipedia.org/wiki/요동_정벌 요동 정벌]을 추진했으나, [[이성계]]가 군을 돌려 개경으로 회군하며 고려 정권을 뒤흔든 사건.<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12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화도 회군]</ref>
* '''정몽주의 죽음 (1392년)''' - [[이방원]]이 고려의 충신 정몽주를 [[선죽교]]에서 암살하며 조선 개국의 결정적 계기를 마련함.
+
* '''정몽주의 죽음 (1392년)''' - 고려 왕조를 끝까지 지키려 했던 [https://ko.wikipedia.org/wiki/정몽주 정몽주]가 [[이방원]]에 의해 [https://ko.wikipedia.org/wiki/선죽교 선죽교]에서 암살됨.
* '''조선 개국 (1392년)''' -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
+
* '''조선 건국 (1392년)''' -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며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 조선]을 건국하고 개경에서 [https://ko.wikipedia.org/wiki/한양 한양]으로 천도.
  
=== 이방원의 왕위 계승 ===
+
=== 조선 왕권 확립 과정 ===
드라마 속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이방원]](후일 [[태종]])의 왕위 계승을 둘러싼 형제 간의 갈등이다.
+
조선 건국 이후에도 왕권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었으며, 특히 [[이방원]]의 행보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이방원]]은 조선 초 권력의 실세였던 정도전과 갈등을 겪으며,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정치적 숙청을 단행하였다.
  
* '''제1차 왕자의 난 (1398년)''' - 이성계의 아들들 간의 왕위 다툼. [[이방원]]이 이복형 [[이방우]]와 이복동생 [[이방번]], [[이방석]]을 제거하며 권력을 장악.
+
* '''[https://ko.wikipedia.org/wiki/제1차_왕자의_난 제1차 왕자의 난 (1398년)]''' - [[이방원]]이 이복형 [https://ko.wikipedia.org/wiki/이방우 이방우]와 이복동생 [https://ko.wikipedia.org/wiki/이방번 이방번], [https://ko.wikipedia.org/wiki/이방석 이방석]을 제거하며 권력을 장악.<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38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1차 왕자의 난]</ref>
* '''제2차 왕자의 난 (1400년)''' - 이방원이 정권을 안정시키기 위해 [[이방간]]과 대립하여 승리하고, 이후 태종으로 즉위.
+
* '''정도전 숙청 (1398년)''' - 조선 개국 공신이자 개혁가였던 정도전이 [[이방원]]에 의해 제거됨.
 +
* '''[https://ko.wikipedia.org/wiki/제2차_왕자의_난 제2차 왕자의 난 (1400년)]''' - [[이방원]]이 [https://ko.wikipedia.org/wiki/이방간 이방간]과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하고, 결국 조선의 3대 왕인 태종으로 즉위.<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37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2차 왕자의 난]</ref>
 +
 
 +
=== 태종 [[이방원]]의 정치 개혁 ===
 +
이방원은 즉위 후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며 조선의 기틀을 마련했다. 
 +
 
 +
* '''사병 혁파 (1400년)''' - 개국 공신들이 사적으로 거느리던 사병(군사 조직)을 혁파하여 왕권을 강화.
 +
* '''6조 직계제 (1400년)''' - 국가의 중요한 행정 업무를 왕이 직접 통제하는 체제.
 +
* '''신문고 제도 (1401년)''' - 백성들이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도록 신문고를 설치.<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294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문고]</ref>
 +
 
 +
 
 +
이러한 개혁을 통해 조선의 중앙집권 체제가 강화되었고, 이후 태종의 아들인 세종 대에 이르러 조선은 안정된 국가 체제를 확립하게 된다.
  
 
== 등장 인물 및 역사적 실존 인물 ==
 
== 등장 인물 및 역사적 실존 인물 ==
43번째 줄: 89번째 줄:
 
! 드라마 캐릭터 !! 배우 !! 실제 역사적 인물 여부 !! 설명
 
! 드라마 캐릭터 !! 배우 !! 실제 역사적 인물 여부 !! 설명
 
|-
 
|-
| 서휘 || [[양세종]] || 허구 || 무사 집안 출신으로, 정의를 위해 싸우는 주인공
+
| 서휘 || [https://ko.wikipedia.org/wiki/양세종 양세종] || 허구 || 무사 집안 출신으로, 정의를 위해 싸우는 주인공
 
|-
 
|-
| 남선호 || [[우도환]] || 허구 || 권문세족 가문의 자제이지만 신분 차별을 겪는 인물
+
| 남선호 || [https://ko.wikipedia.org/wiki/우도환 우도환] || 허구 || 권문세족 가문의 자제이지만 신분 차별을 겪는 인물
 
|-
 
|-
| 한희재 || [[김설현]] || 허구 || 고려 말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녀 출신
+
| 한희재 || [https://ko.wikipedia.org/wiki/김설현 김설현] || 허구 || 고려 말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녀 출신
 
|-
 
|-
| 이방원 || [[장혁]] || 실존 || [[조선 태종]], 조선 개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
| [[이방원]] || [https://ko.wikipedia.org/wiki/장혁 장혁] || 실존 ||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_태종 조선 태종], 조선 개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
 
|-
| 이성계 || [[김영철]] || 실존 || [[조선]]을 건국한 [[조선 태조]]
+
| [[이성계]] || [https://ko.wikipedia.org/wiki/김영철_(배우) 김영철] || 실존 ||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 조선]을 건국한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_태조 조선 태조]
 
|}
 
|}
 +
 +
== 수상 내역 ==
 +
《나의 나라》는 방영 당시 탄탄한 서사와 배우들의 연기로 호평을 받았으며, 여러 시상식에서 후보에 오르거나 수상했다.
 +
 +
* '''2019년 JTBC 연기대상''' - 최우수 연기상 (장혁) 
 +
* '''2020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인기상 (양세종, 김설현) 
 +
* '''2020년 한국방송대상''' - 우수 드라마상 후보 
 +
 +
 +
== 명대사 ==
 +
 +
{{명대사|'''왕이 신하의 피를 두려워한다면 그 피는 백성이 흘린다.'''
 +
|인물=이방원}}
 +
 +
{{명대사|'''세상에 그저 죽어도 되는 목숨 같은 건 없소.'''
 +
|인물=서휘}}
 +
 +
{{명대사|'''나라는 비록 칼로 세워지나 칼로 다스려선 안 된다.'''
 +
|인물=이성계}}
 +
 +
{{명대사|'''우리 모두에겐 저마다 지켜야 할 나라가 있다. 비록 깨지고, 꺾이고 부서져도 각자의 나라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곧 삶이기에 그렇다.'''
 +
|인물=남선호}}
 +
 +
== 영상 자료 == 
 +
 +
=== 주요 장면 모음 ===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nbwq3-4Kmd4?si=vAuIWxXJI4xBO7rE"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vtICXZv656o?si=yt_amq-0oBxmZnsy"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
=== 제작발표회 인터뷰 ===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b2M_E5GQ6yI?si=iWOILU2tq-L5U51Y"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
== 촬영지 ==
 +
《나의 나라》는 여러 역사적 명소에서 촬영되었으며, 아름다운 배경과 웅장한 전투 장면이 특징이다.
 +
 +
* '''[https://ko.wikipedia.org/wiki/문경새재도립공원 문경새재]''' - 전투 장면 촬영지 
 +
* '''[https://ko.wikipedia.org/wiki/전주한옥마을 전주 한옥마을]''' - 고려 시대 배경 촬영 
 +
* '''[https://ko.wikipedia.org/wiki/부여군 부여군 궁남지]''' - 이방원의 거처 및 주요 장면 
 +
 +
  
 
== 평가 및 반응 ==
 
== 평가 및 반응 ==
 
드라마는 화려한 액션과 강렬한 서사로 주목받았으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적절히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드라마는 화려한 액션과 강렬한 서사로 주목받았으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적절히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참고 문헌 ==
+
=== 시청률 ===
 +
{| class="wikitable"
 +
|+ 나의 나라 시청률
 +
|-
 +
! 회차 !! 방영일 !! 부제 !! 시청률
 +
|-
 +
| 1회 || 2019.10.04 || 서면 그저 땅일 뿐이나 걸으면 길이 된다, 길을 내 보아라 || 3.5%
 +
|-
 +
| 2회 || 2019.10.05 || 죽을 힘을 다할 거다, 상대가 아무리 너라고 해도 || 3.8%
 +
|-
 +
| 3회 || 2019.10.11 || 세상에 그저 죽어도 되는 목숨 같은 건 없소 || 3.8%
 +
|-
 +
| 4회 || 2019.10.12 || 제 곁에 서세요.. 감히 앞에 서려 하지 말고 || 4.8%
 +
|-
 +
| 5회 || 2019.10.18 || 누군가는 피를 흘릴 것이나, 우리는 아닐 것이다 || 4.2%
 +
|-
 +
| 6회 || 2019.10.19 || 네가 사는 세상으로 내가 갈게 || 5.0%
 +
|-
 +
| 7회 || 2019.10.25 || 널 살리려 했던 걸 후회한다 진심으로 || 4.7%
 +
|-
 +
| 8회 || 2019.10.26 || 저는 가질 때까지 물러서지도 포기하지도 않습니다! || 4.9%
 +
|-
 +
| 9회 || 2019.11.01 || 우리 다신 이렇게 보지 말자 || 4.6%
 +
|-
 +
| 10회 || 2019.11.02 || 오라비 조금만 더 있다 갈게 || 4.9%
 +
|-
 +
| 11회 || 2019.11.08 || 난, 남전만 부숴버리면 그뿐이요 || 4.4%
 +
|-
 +
| 12회 || 2019.11.09 || 우리들의 끝, 여기인 것 같다 || 4.8%
 +
|-
 +
| 13회 || 2019.11.15 || 네 세상만은 내가 죽여야겠다 || 3.6%
 +
|-
 +
| 14회 || 2019.11.16 || 이건 방간의 난이라 해야겠구나 || 4.3%
 +
|-
 +
| 15회 || 2019.11.22 || 지켜줘서 고맙다 || 3.9%
 +
|-
 +
| 16회 || 2019.11.23 || || 4.0%
 +
|}<ref>[https://namu.wiki/w/%EB%82%98%EC%9D%98%20%EB%82%98%EB%9D%BC#s-4 나무위키 '나의 나라' 페이지 시청률표 (닐슨미디어 기준)]</ref>
 +
 
 +
=== 관련 링크 ===
 +
* [https://www.imdb.com/title/tt10850888?ref_=mv_close/ IMDb - 나의 나라]
 +
* [https://pedia.watcha.com/ko-KR/contents/tPrzAzW 와챠피디아 - 나의 나라]
 +
 
 +
 
 +
=='''출처'''==
 
<references/>
 
<references/>
  
== 외부 링크 ==
 
* [https://tv.jtbc.co.kr/mynation JTBC 공식 홈페이지]
 
* [https://ko.wikipedia.org/wiki/조선_건국 조선 건국 - 위키백과]
 
* [https://ko.wikipedia.org/wiki/태종_(조선) 조선 태종 - 위키백과]
 
  
[[분류:JTBC 금토드라마]]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분류:Time-Slip Archive]] [[분류: KU이준호]]
[[분류:2019년 드라마]]
+
[[분류:대한민국의 사극 드라마]]
+
[[분류: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
+

2025년 3월 31일 (월) 01:31 기준 최신판

나의 나라
작품명(국문) 나의 나라
작품명(영문) My Country: The New Age
제작연도 2019
국가 대한민국
감독 김진원
각본 채승대
방송기간 2019년 10월 4일 ~ 2019년 11월 23일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
장르 사극, 액션, 로맨스
러닝타임 회당 약 70분
방송횟수 16부작



이것은 《나의 나라》에 대한 이야기다.

역사는 시대를 이끌어간 거인들의 기록이다. 하지만 여기, 거인들의 거대한 족적에 묻힌 수많은 작은 발자국들이 있다.

거인들은 거창한 대의를 부르짖고 고고한 명분을 내세우지만, 역사의 수면 아래는 언제나 지옥이었다.

그 지옥은 협잡과 음모, 배신과 모략, 그리고 죽음보다 강한 삶의 욕망으로 가득했으리라.

역사의 날선 칼날 위엔, 삶과 죽음이 모두 한순간이다. 하물며 거인들의 목숨이 이럴진대, 백성들은 또 얼마나 하찮은 취급이었을까.

허나, 모든 백성에게도 저마다의 지켜야 할 나라가 있다. 비록 깨지고 꺾이고 부서져도 각자의 나라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곧 삶이기에 그렇다.

하여 이것은, 나라가 뒤집어지는 혼돈의 시대를 온몸으로 헤쳐, 저마다의 ‘나의 나라’를 지키려는 치열한 삶들의 기록이다.[1]



개요

나의 나라》는 2019년 JTBC에서 방영된 대한민국사극 드라마로, 고려 말기부터 조선 건국 초기까지의 격변하는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역사 속 실존 인물인 이성계, 이방원, 남전 등이 등장하며, 허구의 주인공들이 조선 개국과 관련된 갈등을 겪는 과정을 그린다.


인물관계도

나의나라인물.png[2]

역사적 배경

《나의 나라》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로 이어지는 격변기를 배경으로 하며, 주요 역사적 사건과 인물들이 등장한다.


고려 말기와 조선 건국

14세기 후반, 고려는 내부적으로 권문세족의 횡포와 외부적으로 홍건적왜구의 침입으로 쇠퇴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고려는 개혁과 개방을 주장하는 신진사대부와 보수적인 기득권 세력인 권문세족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성계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군사적 입지를 다지며 점차 정권을 장악하게 된다.

조선 왕권 확립 과정

조선 건국 이후에도 왕권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었으며, 특히 이방원의 행보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이방원은 조선 초 권력의 실세였던 정도전과 갈등을 겪으며, 자신의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여러 정치적 숙청을 단행하였다.

태종 이방원의 정치 개혁

이방원은 즉위 후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며 조선의 기틀을 마련했다.

  • 사병 혁파 (1400년) - 개국 공신들이 사적으로 거느리던 사병(군사 조직)을 혁파하여 왕권을 강화.
  • 6조 직계제 (1400년) - 국가의 중요한 행정 업무를 왕이 직접 통제하는 체제.
  • 신문고 제도 (1401년) - 백성들이 억울함을 호소할 수 있도록 신문고를 설치.[6]


이러한 개혁을 통해 조선의 중앙집권 체제가 강화되었고, 이후 태종의 아들인 세종 대에 이르러 조선은 안정된 국가 체제를 확립하게 된다.

등장 인물 및 역사적 실존 인물

드라마 등장 인물과 실제 역사적 인물 비교
드라마 캐릭터 배우 실제 역사적 인물 여부 설명
서휘 양세종 허구 무사 집안 출신으로, 정의를 위해 싸우는 주인공
남선호 우도환 허구 권문세족 가문의 자제이지만 신분 차별을 겪는 인물
한희재 김설현 허구 고려 말기의 정보를 수집하는 기녀 출신
이방원 장혁 실존 조선 태종, 조선 개국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이성계 김영철 실존 조선을 건국한 조선 태조

수상 내역

《나의 나라》는 방영 당시 탄탄한 서사와 배우들의 연기로 호평을 받았으며, 여러 시상식에서 후보에 오르거나 수상했다.

  • 2019년 JTBC 연기대상 - 최우수 연기상 (장혁)
  • 2020년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인기상 (양세종, 김설현)
  • 2020년 한국방송대상 - 우수 드라마상 후보


명대사

Quote-left.png 왕이 신하의 피를 두려워한다면 그 피는 백성이 흘린다. Quote-right.png
- 이방원



Quote-left.png 세상에 그저 죽어도 되는 목숨 같은 건 없소. Quote-right.png
- 서휘



Quote-left.png 나라는 비록 칼로 세워지나 칼로 다스려선 안 된다. Quote-right.png
- 이성계



Quote-left.png 우리 모두에겐 저마다 지켜야 할 나라가 있다. 비록 깨지고, 꺾이고 부서져도 각자의 나라를 포기할 수 없는 이유는 그것이 곧 삶이기에 그렇다. Quote-right.png
- 남선호



영상 자료

주요 장면 모음


제작발표회 인터뷰


촬영지

《나의 나라》는 여러 역사적 명소에서 촬영되었으며, 아름다운 배경과 웅장한 전투 장면이 특징이다.


평가 및 반응

드라마는 화려한 액션과 강렬한 서사로 주목받았으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적 요소를 적절히 결합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일부 역사적 사건의 재구성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시청률

나의 나라 시청률
회차 방영일 부제 시청률
1회 2019.10.04 서면 그저 땅일 뿐이나 걸으면 길이 된다, 길을 내 보아라 3.5%
2회 2019.10.05 죽을 힘을 다할 거다, 상대가 아무리 너라고 해도 3.8%
3회 2019.10.11 세상에 그저 죽어도 되는 목숨 같은 건 없소 3.8%
4회 2019.10.12 제 곁에 서세요.. 감히 앞에 서려 하지 말고 4.8%
5회 2019.10.18 누군가는 피를 흘릴 것이나, 우리는 아닐 것이다 4.2%
6회 2019.10.19 네가 사는 세상으로 내가 갈게 5.0%
7회 2019.10.25 널 살리려 했던 걸 후회한다 진심으로 4.7%
8회 2019.10.26 저는 가질 때까지 물러서지도 포기하지도 않습니다! 4.9%
9회 2019.11.01 우리 다신 이렇게 보지 말자 4.6%
10회 2019.11.02 오라비 조금만 더 있다 갈게 4.9%
11회 2019.11.08 난, 남전만 부숴버리면 그뿐이요 4.4%
12회 2019.11.09 우리들의 끝, 여기인 것 같다 4.8%
13회 2019.11.15 네 세상만은 내가 죽여야겠다 3.6%
14회 2019.11.16 이건 방간의 난이라 해야겠구나 4.3%
15회 2019.11.22 지켜줘서 고맙다 3.9%
16회 2019.11.23 4.0%
[7]

관련 링크


출처

  1. 이동 JTBC '나의 나라' 공식 페이지
  2. 이동 JTBC공식사이트 '나의 나라' 등장인물 페이지
  3. 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화도 회군
  4. 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1차 왕자의 난
  5. 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2차 왕자의 난
  6. 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문고
  7. 이동 나무위키 '나의 나라' 페이지 시청률표 (닐슨미디어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