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자, 대동여지도(영화, 201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5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includeonly>
 
<table class="Info" style="width:400px; font-size:90%; border:1px dotted #cccccc; margin: 0px 2px 15px 15px;" cellspacing="10" align="right">
 
<tr>
 
<td colspan="2" style="background:#F5B041; color:#ffffff; font-size:150%; text-align:center;"><b>{{{작품명(국문)|}}}</b></td>
 
</tr>
 
<tr>
 
<td colspan="2"> {{#if:{{{이미지}}} | [[file:{{{이미지|}}}|360px|thumb|center|{{{이미지출처|}}}]]}}</td>
 
</tr>
 
<tr>
 
<td colspan="2" style="background:#F5B041; color:#ffffff; text-align:center;"></td>
 
</tr>
 
{{#if:{{{작품명(국문)|}}}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작품명(국문)</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작품명(국문)|}}}</td>
 
</tr> }}
 
{{#if:{{{작품명(영문)|}}} | <tr>
 
<th style="text-align:center;">작품명(영문)</th>
 
<td style="text-align:center;">{{{작품명(영문)|}}}</td>
 
</tr> }}
 
{{#if:{{{제작연도|}}} | <tr>
 
<th style="text-align:center;">제작연도</th>
 
<td style="text-align:center;">{{{제작연도|}}}</td>
 
</tr> }}
 
{{#if:{{{국가|}}}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국가</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국가|}}}</td>
 
</tr> }}
 
{{#if:{{{채널|}}}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채널</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채널|}}}</td>
 
</tr> }}
 
{{#if:{{{감독|}}}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감독</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감독|}}}</td>
 
</tr> }}
 
{{#if:{{{각본|}}}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각본</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각본|}}}</td>
 
</tr> }}
 
{{#if:{{{개봉일|}}}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개봉일</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개봉일|}}}</td>
 
</tr> }}
 
{{#if:{{{방송기간|}}}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방송기간</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방송기간|}}}</td>
 
</tr> }}
 
{{#if:{{{등급|}}}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등급</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등급|}}}</td>
 
</tr> }}
 
{{#if:{{{장르|}}}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장르</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장르|}}}</td>
 
</tr> }}
 
{{#if:{{{러닝타임|}}}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러닝타임</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러닝타임|}}}</td>
 
</tr> }}
 
{{#if:{{{방송횟수|}}}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방송횟수</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방송횟수|}}}</td>
 
</tr> }}
 
{{#if:{{{관객수|}}} | <tr>
 
<th style="text-align:center; width:20%;">관객수</th>
 
<td style="text-align:center; width:40%;">{{{관객수|}}}</td>
 
</tr> }}
 
</table>
 
</includeonly>
 
  
 
<noinclude>
 
==사용법==
 
<pre>
 
 
{{영화드라마정보
 
{{영화드라마정보
|이미지=고산산포스터.jpg
+
|이미지=고산자.jpg
|이미지출처=
+
|이미지출처=[https://namu.wiki/w/%EA%B3%A0%EC%82%B0%EC%9E%90,%20%EB%8C%80%EB%8F%99%EC%97%AC%EC%A7%80%EB%8F%84 고산자], 나무위키.
|작품명(국문)=
+
|작품명(국문)=고산자, 대동여지도
|작품명(영문)=
+
|작품명(영문)=The Map Against the World
|제작연도=
+
|제작연도=2016
|국가=
+
|국가=한국
 
|채널=
 
|채널=
|감독=
+
|감독=강우석
|각본=
+
|각본=최정미
|개봉일=
+
|각색=
 +
|원작=박범신
 +
|개봉일=2016년 9월 7일
 
|방송기간=
 
|방송기간=
 
|등급=
 
|등급=
|장르=
+
|장르=역사,드라마
|러닝타임=
+
|러닝타임=129분
 
|방송횟수=
 
|방송횟수=
|관객수=
+
|관객수=974,262
 
}}
 
}}
</pre>
 
  
==예시==
+
==작품개요 및 줄거리==
{{영화드라마정보
+
지도 제작자 김정호를 주인공으로 한 박범신의 소설 《고산자》를 영화화한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이다. 강우석 감독이 연출했고 차승원이 주인공 김정호 역을, 유준상이 흥선대원군 역을 연기했다.
|이미지=남한산성포스터.jpg
+
|이미지출처=[https://namu.wiki/w/남한산성(영화) 남한산성], 나무위키.
+
|작품명(국문)=남한산성
+
|작품명(영문)=The Fortress
+
|제작연도=2017
+
|국가=한국
+
|채널=
+
|감독=황동혁
+
|각본=황동혁
+
|개봉일=2017.10.03
+
|방송기간=
+
|등급=15세 관람가
+
|장르=드라마
+
|러닝타임=139분
+
|방송횟수=
+
|관객수=
+
}}
+
  
<pre>
+
지도가 곧 권력이자 목숨이었던 시대, 조선의 진짜 지도를 만들기 위해 두 발로 전국 팔도를 누빈 ‘고산자(古山子) 김정호’. 하나뿐인 딸 ‘순실’이 어느새 열여섯 나이가 되는지도 잊은 채 지도에 미친 사람이라는 손가락질에도 아랑곳 않고 오로지 지도에 몰두한다.
{{영화드라마정보
+
나라가 독점한 지도를 백성들과 나누고자 하는 일념 하나로 대동여지도의 완성과 목판 제작에 혼신을 다하는 김정호. 하지만 안동 김씨 문중과 대립각을 세우던 흥선대원군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손에 넣어 권력을 장악하려고 하는데…
|이미지=남한산성포스터.jpg
+
역사로 기록되지 못한 고산자 김정호의 감춰진 이야기가 시작된다. <ref> 출처:[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2499686&qvt=0&query=%EA%B3%A0%EC%82%B0%EC%9E%90%2C%20%EB%8C%80%EB%8F%99%EC%97%AC%EC%A7%80%EB%8F%84 네이버 영화]</ref>
|이미지출처=[https://namu.wiki/w/남한산성(영화) 남한산성], 나무위키.
+
 
|작품명(국문)=남한산성
+
==주요 등장인물==
|작품명(영문)=The Fortress
+
*김정호(차승원, 아역:박민상 扮) - 대동여지도를 만드는 주인공
|제작연도=2017
+
*흥선대원군 (유준상 扮) - 안동 김씨 문중과 대립각을 세우던 중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손에 넣어 권력을 장악하려 한다
|국가=한국
+
*바우 (김인권 扮) - 김정호의 조수이자 조각가
|감독=황동혁
+
*김순실 (남지현 扮) - 김정호의 딸
|각본=황동혁
+
*여주댁 (신동미 扮) - 김정호의 아내
|개봉일=2017.10.03
+
*김좌근 (남경읍 扮) - 안동 김씨 시대 후반기 당시 수장으로서 대동여지도를 노리고 김정호를 괴롭히는 악역
|방송기간=
+
*신헌 (공형진 扮) - 김정호의 조력자
|등급=15세 관람가
+
*김성일 (태인호 扮) - 김좌진의 아들
|장르=드라마
+
*김병학 (김종수 扮)
|러닝타임=139분
+
<ref>출처: [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14995/credit KMDB-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ref>
|방송횟수=
+
 
|관객수=
+
==예고편==
}}
+
<html>
</pre>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ZMNnRSbLgH8?si=mwu6bD1GO7hWIxfu"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noinclude>
+
</html>
 +
 
 +
==역사적 배경 및 작품의 역사왜곡==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gcNCsYBw6ts?si=7NylqYdby10eWAUS"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위와 같은 역사적 배경을 지니며 영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닌다. 사실상 영화가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역사적 지식은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다' 라는 사실 하나 뿐이다.
 +
 
 +
 
 +
*김정호라는 인물 자체에 대한 사실
 +
 
 +
김정호에 관한 기록은 지극히 한정적이어서 학계에서는 그에 대한 사료가 A4용지 한 장을 채우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
그가 현존하는 방대한 분량의 지리지와 지도, 세계지도 등을 제작했던 당사자임은 확실하나 아주 파편적이고 적은 기록만 남아있기 때문에 결국 김정호 개인에 대한 접근은 개연성과 추정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
심지어는 그가 개인이 아닌 몇 사람의 연합이 아닐까 하는 가설도 제기되고 있다.
 +
 
 +
 
 +
*김정호는 전국을 답사했는가
 +
 
 +
최근 학계에서는 김정호의 지도들이 그 이전 시기의 방대한 지도들을 편집한 집대성의 성격을 가진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전국의 모든 지역을 하나하나 그려나갔을 가능성은 낮다, 김정호가 신헌의 도움으로 관부의 지도를 다량으로 열람했을 가능성을 높게 보며 일부 지역에 한해 답사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
 
 +
 
 +
*대원군에 의해 목판과 지도가 불타 버렸고 김정호는 옥사당했는가
 +
 
 +
그렇지 않다. 현재 김정호 옥사설이 일제에 의한 날조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대원군의 탄압과 지도 및 목판 몰수에 대해서는 1884년 작성된 ‘내하책자목록(內下冊子目錄)’만을 보아도 논파가 가능하다. 또한 대동여지도 완성된 해가 1861년인데, 이하응이 흥선대원군이 된 건 1863년이다. 즉, 제작과정 중 흥선대원군의 방해가 있었던 것도 완전한 허구이다.
 +
 
 +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과연 백성들의 실용을 위해 제작되었는가
 +
 
 +
이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나 대동여지도의 크기와 방대하고 자세한 정보를 미루어 보면 백성들의 실용을 위해 제작되었다는 설은 가능성이 낮다. 오히려 군사용이나 고을 수령 및 중앙정부에서 활용하기에 편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김정호가 지도는 백성의 것이라며 흥선대원군에게 맞서는 영화의 큰 틀 자체가 판타지에 가깝다.
 +
<ref> 출처: [https://history.zesmu.com/archive/view/3172 한국역사연구회]</ref>
 +
 
 +
==명대사==
 +
{{명대사|길 위에는 신분도 없고 귀천도 없다. 다만, 길을 가는 자만 있을 뿐. 길 위에서 나는 늘 자유로웠고, 그 길을 지도에 옮겨놓을 꿈에 평생 가슴이 뛰었다. 어쩌면 이루지 못한 꿈으로 끝날지라도 나는 늘 꿈꾸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
|인물=김정호}}<ref>출처:[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2499686&qvt=0&query=%EA%B3%A0%EC%82%B0%EC%9E%90%2C%20%EB%8C%80%EB%8F%99%EC%97%AC%EC%A7%80%EB%8F%84%20%EB%AA%85%EB%8C%80%EC%82%AC 네이버영화]</ref>
 +
 
 +
{{명대사|제 나라 백성을 못 믿으면 누굴 믿습니까?
 +
|인물=김정호}}<ref>출처:[https://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462048&section=sc4 브레이크뉴스 박동제 기자]</ref>
 +
 
 +
==수상이력==
 +
2017, 제 37회 황금촬영상영화제(구 황금촬영상 시상식) : 조명상(임재영)<ref>출처:[https://www.kmdb.or.kr/db/kor/detail/movie/K/14995# KMDB-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ref>
 +
 
 +
 
 +
==관람평 및 한줄평==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고산자, 대동여지도 평론가 평점>
 +
! 이름 || 평론 || 별점
 +
|-
 +
| 윤혜지||강우석식 세계관 안에서 재해석된 민중의 위인. 그의 ‘사람들’이 보인다||★★★
 +
|-
 +
| 황진미||의도는 좋지만 평면적이고 지루한 구성은 어쩔 도리가||★★★
 +
|-
 +
| 허남웅||어디로 가나 신파와 민족주의로 향하는 한국영화의 만능 지도||★★☆
 +
|-
 +
| 한동원||애족애민 멸사봉공 국토사랑의 일성대갈이 목판도 쪼갤 기세||★★★
 +
|-
 +
| 이용철||상황보다 인간을 보았으면||★★☆
 +
 
 +
|}
 +
<ref> 출처: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2499686&qvt=0&query=%EA%B3%A0%EC%82%B0%EC%9E%90%2C%20%EB%8C%80%EB%8F%99%EC%97%AC%EC%A7%80%EB%8F%84%20%EA%B4%80%EB%9E%8C%ED%8F%89 네이버영화]</ref>
 +
 
 +
 
 +
==흥행==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30%;"
 +
|+<흥행지표>
 +
! 누적 관객 수 || 누적 매출액
 +
|-
 +
| 974,262명||7,801,007,258원
 +
|} <ref> 출처: [https://www.kobis.or.kr/kobis/business/mast/mvie/searchMovieList.do?dtTp=movie&dtCd=20159648 KOFIC]</ref>
 +
 
 +
개봉 전 밀정과 함께 기대작으로 불렸으나 기대와는 달리 초반 개봉일부터 밀정에 크게 밀려버리는 상황이 이루어졌다. 개봉 첫 주 동안 관객 수는 30만에 불과했고 손익분기점인 320만의 1/10도 채우지 못하는 불상사를 맞게 됐다,
 +
이후 추석 연휴를 맞아 반등할 것을 기대해 보았으나 기대를 이루지 못하고 결국 전국 관객 97만으로 막을 내리며 100만조차 채우지 못한 채 실패로 막을 내렸다.
 +
 
 +
이 영화의 실패로 인해 강우석 감독 본인도 사실상 은퇴 선언을 하였다. <ref> 참고: [https://namu.wiki/w/%EA%B3%A0%EC%82%B0%EC%9E%90%2C%20%EB%8C%80%EB%8F%99%EC%97%AC%EC%A7%80%EB%8F%84 나무위키]</ref>
 +
 
 +
==출처 및 부록==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references/>
 +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Time-Slip Archive]]
 +
[[분류:KU권혁빈]]

2025년 3월 31일 (월) 20:58 기준 최신판


고산자, 대동여지도
고산자, 나무위키.
작품명(국문) 고산자, 대동여지도
작품명(영문) The Map Against the World
제작연도 2016
국가 한국
감독 강우석
각본 최정미
원작 박범신
개봉일 2016년 9월 7일
장르 역사,드라마
러닝타임 129분
관객수 974,262



작품개요 및 줄거리

지도 제작자 김정호를 주인공으로 한 박범신의 소설 《고산자》를 영화화한 대한민국의 역사 드라마 영화이다. 강우석 감독이 연출했고 차승원이 주인공 김정호 역을, 유준상이 흥선대원군 역을 연기했다.

지도가 곧 권력이자 목숨이었던 시대, 조선의 진짜 지도를 만들기 위해 두 발로 전국 팔도를 누빈 ‘고산자(古山子) 김정호’. 하나뿐인 딸 ‘순실’이 어느새 열여섯 나이가 되는지도 잊은 채 지도에 미친 사람이라는 손가락질에도 아랑곳 않고 오로지 지도에 몰두한다. 나라가 독점한 지도를 백성들과 나누고자 하는 일념 하나로 대동여지도의 완성과 목판 제작에 혼신을 다하는 김정호. 하지만 안동 김씨 문중과 대립각을 세우던 흥선대원군은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손에 넣어 권력을 장악하려고 하는데… 역사로 기록되지 못한 고산자 김정호의 감춰진 이야기가 시작된다. [1]

주요 등장인물

  • 김정호(차승원, 아역:박민상 扮) - 대동여지도를 만드는 주인공
  • 흥선대원군 (유준상 扮) - 안동 김씨 문중과 대립각을 세우던 중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손에 넣어 권력을 장악하려 한다
  • 바우 (김인권 扮) - 김정호의 조수이자 조각가
  • 김순실 (남지현 扮) - 김정호의 딸
  • 여주댁 (신동미 扮) - 김정호의 아내
  • 김좌근 (남경읍 扮) - 안동 김씨 시대 후반기 당시 수장으로서 대동여지도를 노리고 김정호를 괴롭히는 악역
  • 신헌 (공형진 扮) - 김정호의 조력자
  • 김성일 (태인호 扮) - 김좌진의 아들
  • 김병학 (김종수 扮)

[2]

예고편

역사적 배경 및 작품의 역사왜곡

위와 같은 역사적 배경을 지니며 영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닌다. 사실상 영화가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역사적 지식은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만들었다' 라는 사실 하나 뿐이다.


  • 김정호라는 인물 자체에 대한 사실

김정호에 관한 기록은 지극히 한정적이어서 학계에서는 그에 대한 사료가 A4용지 한 장을 채우기가 어렵다고 말한다. 그가 현존하는 방대한 분량의 지리지와 지도, 세계지도 등을 제작했던 당사자임은 확실하나 아주 파편적이고 적은 기록만 남아있기 때문에 결국 김정호 개인에 대한 접근은 개연성과 추정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심지어는 그가 개인이 아닌 몇 사람의 연합이 아닐까 하는 가설도 제기되고 있다.


  • 김정호는 전국을 답사했는가

최근 학계에서는 김정호의 지도들이 그 이전 시기의 방대한 지도들을 편집한 집대성의 성격을 가진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전국의 모든 지역을 하나하나 그려나갔을 가능성은 낮다, 김정호가 신헌의 도움으로 관부의 지도를 다량으로 열람했을 가능성을 높게 보며 일부 지역에 한해 답사했다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다.


  • 대원군에 의해 목판과 지도가 불타 버렸고 김정호는 옥사당했는가

그렇지 않다. 현재 김정호 옥사설이 일제에 의한 날조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대원군의 탄압과 지도 및 목판 몰수에 대해서는 1884년 작성된 ‘내하책자목록(內下冊子目錄)’만을 보아도 논파가 가능하다. 또한 대동여지도 완성된 해가 1861년인데, 이하응이 흥선대원군이 된 건 1863년이다. 즉, 제작과정 중 흥선대원군의 방해가 있었던 것도 완전한 허구이다.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과연 백성들의 실용을 위해 제작되었는가

이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나 대동여지도의 크기와 방대하고 자세한 정보를 미루어 보면 백성들의 실용을 위해 제작되었다는 설은 가능성이 낮다. 오히려 군사용이나 고을 수령 및 중앙정부에서 활용하기에 편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김정호가 지도는 백성의 것이라며 흥선대원군에게 맞서는 영화의 큰 틀 자체가 판타지에 가깝다. [3]

명대사

Quote-left.png 길 위에는 신분도 없고 귀천도 없다. 다만, 길을 가는 자만 있을 뿐. 길 위에서 나는 늘 자유로웠고, 그 길을 지도에 옮겨놓을 꿈에 평생 가슴이 뛰었다. 어쩌면 이루지 못한 꿈으로 끝날지라도 나는 늘 꿈꾸는 것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Quote-right.png
- 김정호


[4]


Quote-left.png 제 나라 백성을 못 믿으면 누굴 믿습니까? Quote-right.png
- 김정호


[5]

수상이력

2017, 제 37회 황금촬영상영화제(구 황금촬영상 시상식) : 조명상(임재영)[6]


관람평 및 한줄평

<고산자, 대동여지도 평론가 평점>
이름 평론 별점
윤혜지 강우석식 세계관 안에서 재해석된 민중의 위인. 그의 ‘사람들’이 보인다 ★★★
황진미 의도는 좋지만 평면적이고 지루한 구성은 어쩔 도리가 ★★★
허남웅 어디로 가나 신파와 민족주의로 향하는 한국영화의 만능 지도 ★★☆
한동원 애족애민 멸사봉공 국토사랑의 일성대갈이 목판도 쪼갤 기세 ★★★
이용철 상황보다 인간을 보았으면 ★★☆

[7]


흥행

<흥행지표>
누적 관객 수 누적 매출액
974,262명 7,801,007,258원
[8]

개봉 전 밀정과 함께 기대작으로 불렸으나 기대와는 달리 초반 개봉일부터 밀정에 크게 밀려버리는 상황이 이루어졌다. 개봉 첫 주 동안 관객 수는 30만에 불과했고 손익분기점인 320만의 1/10도 채우지 못하는 불상사를 맞게 됐다, 이후 추석 연휴를 맞아 반등할 것을 기대해 보았으나 기대를 이루지 못하고 결국 전국 관객 97만으로 막을 내리며 100만조차 채우지 못한 채 실패로 막을 내렸다.

이 영화의 실패로 인해 강우석 감독 본인도 사실상 은퇴 선언을 하였다. [9]

출처 및 부록

  1. 이동 출처:네이버 영화
  2. 이동 출처: KMDB-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3. 이동 출처: 한국역사연구회
  4. 이동 출처:네이버영화
  5. 이동 출처:브레이크뉴스 박동제 기자
  6. 이동 출처:KMDB-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7. 이동 출처: 네이버영화
  8. 이동 출처: KOFIC
  9. 이동 참고: 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