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읍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초안) |
(→사진)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지정번호 = 사적 | |지정번호 = 사적 | ||
|지정일 = 1965년 4월 1일 | |지정일 = 1965년 4월 1일 | ||
− | |지정명칭 = | + | |지정명칭 = 고창읍성 (高敞邑城) |
− | |한자명칭 = | + | |한자명칭 = 高敞邑城 |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최근 보수공사를 하여 원형에 가깝도록 복구하였다. 성 둘레는 1,684m이며, 동·서·북문과 옹성이 3개소, 장대지 6개소와 해자들로 된 전략적 요충시설이 갖춰져 있다. 성 안에는 동헌·객사를 비롯하여 22동의 관아건물들로 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손실되었다.<br/>
|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최근 보수공사를 하여 원형에 가깝도록 복구하였다. 성 둘레는 1,684m이며, 동·서·북문과 옹성이 3개소, 장대지 6개소와 해자들로 된 전략적 요충시설이 갖춰져 있다. 성 안에는 동헌·객사를 비롯하여 22동의 관아건물들로 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손실되었다.<br/>
| ||
이 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樓門)을 가지고 있어, 평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문,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강화읍성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과 비교되어 성곽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의 성벽 밟기 풍습으로 유명한데, 한 해의 재앙과 질병을 쫓고 복을 비는 의식의 하나로 좋은 민속자료가 된다.<br/> | 이 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樓門)을 가지고 있어, 평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문,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강화읍성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과 비교되어 성곽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의 성벽 밟기 풍습으로 유명한데, 한 해의 재앙과 질병을 쫓고 복을 비는 의식의 하나로 좋은 민속자료가 된다.<br/> | ||
+ | |||
+ | ==='''사진'''=== | ||
+ | {|class="wikitable" | ||
+ | ||[[파일:고창읍성지도.png|200px]] <br />'''고창읍성 전경 지도''' | ||
+ | ||[[파일:고창읍성전경.jpg|200px]] <br />'''고창읍성 전경''' | ||
+ | ||[[파일:고창읍성성곽배치도.jpg|200px]] <br />'''고창읍성 성곽 배치도''' | ||
+ | |} | ||
+ | |||
+ | {|class="wikitable" | ||
+ | ||[[파일:고창읍성고창객사모양지관.jpg|200px]] <br />'''고창읍성 고창객사 모양지관''' | ||
+ | ||[[파일:고창읍성입구.jpg|200px]] <br />'''고창읍성 입구''' | ||
+ | ||[[파일:고창읍성공북루와성곽.jpg|200px]] <br />'''고창읍성 공북루와 성곽''' | ||
+ | ||[[파일:고창읍성풍화루.jpg|200px]] <br />'''고창읍성 풍화루''' | ||
+ | |} | ||
<ref>출처: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고창읍성&searchCondition2=&ccbaKdcd=13&ccbaAsno=01450000&ccbaCtcd=35&ccbaCpno=133350145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ref><br/> | <ref>출처: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고창읍성&searchCondition2=&ccbaKdcd=13&ccbaAsno=01450000&ccbaCtcd=35&ccbaCpno=133350145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ref><br/> |
2024년 4월 2일 (화) 01:44 기준 최신판
고창읍성 | |
---|---|
[[파일:|380px]] | |
지정 번호 | 사적 |
지정일 | 1965년 4월 1일 |
지정 명칭 | 고창읍성 (高敞邑城) |
한자 명칭 | 高敞邑城 |
영문 명칭 |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지 |
건립·제작 | |
주소 |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126번지 |
위도 | 35° 25’ 55.7” |
경도 | 126° 42′ 10.4″ |
웹사이트 |
개관
옛 고창 고을의 읍성으로 모양성(牟陽城)이라고도 하는데, 백제 때 고창지역을 모량부리로 불렀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나주진관, 입암산성 등과 더불어 호남내륙을 방어하는 요충지로, 단종 원년(1453)에 세워진 것이라고도 하고 숙종 때 완성되었다고도 하나 확실하지 않다.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데 최근 보수공사를 하여 원형에 가깝도록 복구하였다. 성 둘레는 1,684m이며, 동·서·북문과 옹성이 3개소, 장대지 6개소와 해자들로 된 전략적 요충시설이 갖춰져 있다. 성 안에는 동헌·객사를 비롯하여 22동의 관아건물들로 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손실되었다.
이 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에서 흔히 보기 어려운 주초와 문짝을 달던 홈이 파인 누문(樓門)을 가지고 있어, 평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문, 보은의 삼년산성이나 강화읍성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과 비교되어 성곽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여성들의 성벽 밟기 풍습으로 유명한데, 한 해의 재앙과 질병을 쫓고 복을 비는 의식의 하나로 좋은 민속자료가 된다.
사진
고창읍성 전경 지도 |
고창읍성 전경 |
고창읍성 성곽 배치도 |
고창읍성 고창객사 모양지관 |
고창읍성 입구 |
고창읍성 공북루와 성곽 |
고창읍성 풍화루 |
기여
역할 | 이름 | 전공 |
정리 | 조경민 | 인문정보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