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2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5번째 줄: 15번째 줄:
 
|경도 = 128.89
 
|경도 = 128.89
 
|사진 = 향현사.jpg
 
|사진 = 향현사.jpg
|웹사이트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5_2_1_0&ccbaCpno=2112300200000 Link]
+
|웹사이트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region=1&searchCondition=%ED%96%A5%ED%98%84%EC%82%AC&searchCondition2=&ccbaKdcd=21&ccbaAsno=00080000&ccbaCtcd=32&ccbaCpno=211320008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2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 Link]
 
}}
 
}}
  
24번째 줄: 24번째 줄:
  
 
=='''영어 / English'''==
 
=='''영어 / English'''==
Yongheunggung was the residence where King Cheoljong (r. 1849-1863), the 25th king of the Joseon dynasty, once lived.  He lived here because his family had been exiled to Ganghwa due to his brother's involvement in treason in 1844. When the preceding king, Heonjong (r. 1834-1849), died without an heir, Cheoljong, a member of the royal Yi family, was selected to become king.
+
Hyanghyeonsa Temple was built to enshrine the memorial tablet and honor the ancestral rites by selecting 12 people who could serve as an example for future generations from the people born in this area, and is located behind Myeongryun High School, 238-3 Gyo-dong, Gangneung-si.
 
+
Originally, this was a thatched-roof house. But in 1853, four years after Cheoljong ascended the throne, a local magistrate, Jeong Gi-se (1814-1884), replaced it with new tile-roof buildings and named the house complex "Yongheunggung (龍興宮)," literally meaning “Palace of a Rising Dragon.”<ref>[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EC%9A%A9%ED%9D%A5%EA%B6%81 '용흥궁', Cultural Heritage Wiki,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 인문학 연구소]</ref>
+
  
 
=='''지도 / Map'''==
 
=='''지도 / Map'''==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7.747896" lon="126.485206" type="normal"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향현사 지도.jpg
37.747896, 126.485206  [[용흥궁]]
+
</googlemap>
+
  
 
='''해설 / Commentary'''=
 
='''해설 / Commentary'''=
 
=='''향현사 / Yongheunggung'''==
 
=='''향현사 / Yongheunggung'''==
 
본격적으로 향현사를 논하기 전에 지방에는 서원(書院)·영당(影堂) 등 다양한 제향 기관이 병존하고 있었으므로, 이들과 향현사를 비교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본디 향현사(鄕賢社)란 말 자체는 비단 강릉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다. 당시의 향현사는 “한 고을의 모범이 되는 명현(名賢)을 봉안하고 있는 사당”을 가리키는 역사적 개념이었다. 현재에도 전라남도 진도군에 향현사가 있으며, 강원도 정선군에도 향현사가 있으며, 강원도 정선군에도 향현사가 있다. 보통 명사로서의 향현사를 여타 기관과 비교하자면 강학 기관과 제향 기관을 겸하고 있는 서원보다 한 단계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당(影堂)은 본래 죽은 이의 영정(影幀)을 모시는 사당인데, 영정 혹은 화상(畫像)은 고관(高官)이나 공신(功臣)에게 수여되는 특혜이므로, 향현사보다는 영당의 위격이 높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중건되기 이전의 향현사는 영당과 서원보다 그 규모가 작았다고 이해된다.
 
본격적으로 향현사를 논하기 전에 지방에는 서원(書院)·영당(影堂) 등 다양한 제향 기관이 병존하고 있었으므로, 이들과 향현사를 비교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본디 향현사(鄕賢社)란 말 자체는 비단 강릉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다. 당시의 향현사는 “한 고을의 모범이 되는 명현(名賢)을 봉안하고 있는 사당”을 가리키는 역사적 개념이었다. 현재에도 전라남도 진도군에 향현사가 있으며, 강원도 정선군에도 향현사가 있으며, 강원도 정선군에도 향현사가 있다. 보통 명사로서의 향현사를 여타 기관과 비교하자면 강학 기관과 제향 기관을 겸하고 있는 서원보다 한 단계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당(影堂)은 본래 죽은 이의 영정(影幀)을 모시는 사당인데, 영정 혹은 화상(畫像)은 고관(高官)이나 공신(功臣)에게 수여되는 특혜이므로, 향현사보다는 영당의 위격이 높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중건되기 이전의 향현사는 영당과 서원보다 그 규모가 작았다고 이해된다.
 +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3500&cid=40942&categoryId=33084 '향현사', 두산백과 향현사]</ref>
 +
<ref>[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27402&cid=46622&categoryId=46622 '향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향현사]</ref>
 +
  
 
본고에서 다루는 강릉 향현사의 연혁은 3단계로 대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초건(初建)의 시기이다. 처음에는 1645년(인조 23)에 강릉 부사 강백년(姜柏年)과 전직 관리인 김충각(金忠慤), 김성원(金聲源) 등이 논의하여 향현(鄕賢)들의 행적과 얼을 후세(後世)에 전하고자 건립하였다고 한다. 최치운(崔致雲)·최응현(崔應賢)·박수량(朴遂良)·박공달(朴公達)·최수성(崔壽城)·최운우(崔雲遇) 등 6현을 모셨다. 두 번째는 추향(追享)의 시기이다. 1682년(숙종 8), 1759년(영조 35), 1808년(순조 8)에 걸쳐 이성무(李成茂)·김윤신(金潤身)·박억추(朴億秋)·김열(金說)·김담(金譚)을 추향(追享)하게 되면서 현재의 12현을 갖추게 되었다.
 
본고에서 다루는 강릉 향현사의 연혁은 3단계로 대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초건(初建)의 시기이다. 처음에는 1645년(인조 23)에 강릉 부사 강백년(姜柏年)과 전직 관리인 김충각(金忠慤), 김성원(金聲源) 등이 논의하여 향현(鄕賢)들의 행적과 얼을 후세(後世)에 전하고자 건립하였다고 한다. 최치운(崔致雲)·최응현(崔應賢)·박수량(朴遂良)·박공달(朴公達)·최수성(崔壽城)·최운우(崔雲遇) 등 6현을 모셨다. 두 번째는 추향(追享)의 시기이다. 1682년(숙종 8), 1759년(영조 35), 1808년(순조 8)에 걸쳐 이성무(李成茂)·김윤신(金潤身)·박억추(朴億秋)·김열(金說)·김담(金譚)을 추향(追享)하게 되면서 현재의 12현을 갖추게 되었다.
  
 
세 번째는 중건(重建)과 이건(移建)의 시기이다. 1867년(고종 4) 강릉부(江陵府)에서 일어난 큰 화재로 창건 당시 건물은 불타 없어지고,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중건하지 못하다가 1921년 봄 후손들이 지금의 건물을 세웠다. 황영조 기념체육관 건립 계획에 따라 1995년 지금의 자리인 명륜고등학교 뒤로 이전하였다. 4차에 걸쳐 12명을 제향한 사례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제향인을 모신 사우라는 특징이 있다. 제향인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세 번째는 중건(重建)과 이건(移建)의 시기이다. 1867년(고종 4) 강릉부(江陵府)에서 일어난 큰 화재로 창건 당시 건물은 불타 없어지고,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중건하지 못하다가 1921년 봄 후손들이 지금의 건물을 세웠다. 황영조 기념체육관 건립 계획에 따라 1995년 지금의 자리인 명륜고등학교 뒤로 이전하였다. 4차에 걸쳐 12명을 제향한 사례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제향인을 모신 사우라는 특징이 있다. 제향인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ref>[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8c79f1df81a42775d18150b21a227875&keyword=%ED%96%A5%ED%98%84%EC%82%AC 金東燦, 「江陵 響賢祠 硏究」, 『嶺東文化』 5,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1994.]</ref>
  
위의 표에서 특기할 점은 생몰년과 제향 년도가 순차적으로 대응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선정된 기준은 학문과 효행으로 대표되는 성리학적 사회 질서 확립에 기여한 인물로 보인다. 아울러 지역 유림의 합의로 제향된 만큼 그 지역을 대표하는 거성(巨姓) 출신이 대부분이다. 오늘날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향현사의 핵심 기능은 제향이다. 본래 강릉 향현사의 제향은 매년 중춘추(仲春秋) 중정일(中丁日)에 시행했으나, 1921년 이건(移建) 뒤에는 중추(仲秋) 중정일(中丁日)에만 제향한다고 한다. 제향 절차는 다른 사원 및 사우와 비슷하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white; width:100%"
 +
! 한글성명 || 한자성명 || 생몰년대 || 제향년도 || 字 || 號 || 본관 || 관직 ||
 +
|-
 +
| [[최치운]] || 崔致雲 || 1390~1440 || 1645년|| 伯卿 || 釣隱|| 江陵 ||參判||
 +
|-
 +
| [[이성무]] || 李成茂 || 1370~1436?|| 1759년|| 聖始|| 訥齋 || 嶺海|| 司憲 ||
 +
|-
 +
| [[최응현]] || 崔應賢|| 1428~1507|| 1645년|| 寶臣 || 睡軒 || 江陵 || 縣監 ||
 +
|-
 +
| [[최수]] || 崔洙 || 1443~1472|| 1682년|| 道源 || 春軒|| 江陵 || 牧使 ||
 +
|-
 +
| [[김윤신]] || 金潤身 || 1444~1472|| 1808년|| 德叟 || 槐堂 || 江陵 || 佐郞 ||
 +
|-
 +
| [[박공달]] || 朴公達|| 1470~?|| 1645년|| 大觀|| 四休堂 || 江陵|| 縣監 ||
 +
|-
 +
| [[박수량]] ||朴遂良 || 1475~1521|| 1645년|| 君擧 || 三可堂|| 江陵 ||  ||
 +
|-
 +
| [[최수성]] || 崔壽峸|| 1487~1521|| 1645년|| 可鎭 || 猿亭|| 江陵 ||  ||
 +
|-
 +
| [[김열]] || 金說|| 1506~?|| 1808년|| 說之 || 臨鏡堂|| 江陵 ||  ||
 +
|-
 +
| [[김담]] || 金譚|| 1522~1605|| 1759년|| 譚之 || 葆眞齋 || 江陵 || 府使 ||
 +
|-
 +
| [[박억추]] || 朴億秋|| 1523~1590|| 1759년|| 德叟 || 聾軒 || 江陵 || 縣監 ||
 +
|-
 +
| [[최운우]] || 崔雲遇|| 1532~1605|| 1645년|| 時中 || 蹈景 || 江陵 ||  ||
 +
|}
  
  
 
+
위의 표에서 특기할 점은 생몰년과 제향 년도가 순차적으로 대응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선정된 기준은 학문과 효행으로 대표되는 성리학적 사회 질서 확립에 기여한 인물로 보인다. 아울러 지역 유림의 합의로 제향된 만큼 지역을 대표하는 거성(巨姓) 출신이 대부분이다. 오늘날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향현사의 핵심 기능은 제향이다. 본래 강릉 향현사의 제향은 매년 중춘추(仲春秋) 중정일(中丁日)에 시행했으나, 1921년 이건(移建) 뒤에는 중추(仲秋) 중정일(中丁日)에만 제향한다고 한다. 제향 절차는 다른 사원 및 사우와 비슷하다.
 
+
<ref>[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1a0202e37d52c72d&control_no=8fb216cfc529ed1cb7998d826d417196&keyword=%ED%96%A5%ED%98%84%EC%82%AC 장동표, 「朝鮮과 明의 鄕賢 추숭과 鄕賢祠 건립 비교 연구」, 『효원사학회』 52, 역사와 세계, 2017.]</ref>
용흥궁은 철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고,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으로 내전은 정면 7칸, 측면 5칸이며, 별전은 정면 6칸, 측면 2칸인 ㄱ자형 집이다. 용흥궁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창덕궁&ridx=0&tot=82 창덕궁]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연경당&ridx=0&tot=2438 연경당],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낙선재&ridx=0&tot=18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을 따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경내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 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다.<ref>[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tour/tourInfoDetail.do?tour_seq=69 '용흥궁',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문화관광]</ref><br/>
+
 
+
철종은 어렸을 때 이름이 원범(元範)이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정조&ridx=1&tot=835 정조(正祖)]의 아우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은언군&ridx=0&tot=4 은언군(恩彦君)]의 손자이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전계대원군&ridx=0&tot=300 전계대원군(全溪大院君)]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https://ko.wikipedia.org/wiki/용성부대부인 용성부대부인(龍城府大夫人) 염씨(廉氏)]이다. 1844년(헌종 10) [http://people.aks.ac.kr/front/tabCon/ppl/pplView.aks?pplId=PPL_6JOc_A1827_1_0019475 회평군(懷平君)]의 옥사에 연루되어 가족과 함께 강화도에 유배되어 학문과는 거리가 먼 농부로 살았다. 당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영조&ridx=1&tot=981 영조(英祖)]의 혈손으로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헌종&ridx=1&tot=181 헌종(憲宗)]과 원범 두 사람뿐이었다. 1849년 헌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대왕대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순원왕후&ridx=0&tot=7 순원왕후(純元王后)]의 명으로 19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
 
+
=='''철종 / King Cheoljong'''==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철종&ridx=0&tot=221 철종](哲宗, 1831∼1863)은 조선 제25대 왕이다.
+
 
+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이름은 이변(李昪)이다. 초명은 이원범(李元範)이다. 자는 도승(道升), 호는 대용재(大勇齋)이다. 전계대원군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용성부대부인 염씨이다.
+
 
+
1849년 6월 6일 헌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대왕대비 순원왕후의 명으로 정조의 손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순조&ridx=0&tot=447 순조(純祖)]의 아들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 때 나이 19세였다.
+
 
+
학문과는 거리가 먼 농부로서, 1844년(헌종 10) 형 회평군의 옥사로 가족과 함께 강화도에 유배되어 있었다. 그런데 별안간 명을 받아 봉영의식(奉迎儀式)을 행한 뒤 6월 8일 덕완군(德完君)에 봉해졌다. 이어 이튿날인 6월 9일 창덕궁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희정당&ridx=0&tot=6 희정당(熙政堂)]에서 관례(冠禮)를 행한 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인정문&ridx=0&tot=2419 인정문(仁政門)]에서 즉위하였다.
+
 
+
나이가 어리고 농사짓다가 갑자기 왕이 되었으므로 처음에는 대왕대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1851년(철종 2) 9월에는 대왕대비의 근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김문근&ridx=0&tot=5 김문근(金汶根)]의 딸을 왕비로 맞았다. 그 뒤 김문근이 영은부원군(永恩府院君)이 되어 왕비의 아버지로서 왕을 돕게 되니 순조 때부터 시작된 안동김씨의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0901 세도정치]가 또다시 계속된 셈이었다.
+
 
+
철종은 1852년부터 친정하였다. 정치의 실권은 안동김씨의 일족이 좌우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삼정(三政: 田政·軍政·還穀)의 문란이 더욱 심해지고 탐관오리가 횡행하여 백성들의 생활이 도탄에 빠지게 되었다. 마침내 농민들은 1862년 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6934 진주민란]을 시발로 해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삼남지방&ridx=0&tot=2803 삼남지방]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서 민란을 일으켰다.
+
 
+
이에 철종은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삼정이정청&ridx=0&tot=27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이라는 임시 특별기구를 설치해, 민란의 원인이 된 삼정의 폐해를 바로잡기 위한 정책을 세워 시행하게 하였다. 그리고 모든 관료에게는 그 방책을 강구해 올리게 하는 등 민란 수습에 힘썼다. 그러나 뿌리 깊은 세도의 굴레에 얽매여 제대로 정치를 펴 나갈 수 없었다.
+
 
+
1863년 12월 8일 재위 14년 만에 33세를 일기로 승하하였다. 수용(睟容: 임금의 畵像) 4본이 [https://hanja.dict.naver.com/word?q=天漢殿&cp_code=1&sound_id=1 천한전(天漢殿)]봉안되었다.
+
 
+
혈육으로는 궁인 범씨(范氏) 소생의 [https://ko.wikipedia.org/wiki/영혜옹주 영혜옹주(永惠翁主)]가 있어 금릉위(錦陵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박영효&ridx=0&tot=23 박영효(朴泳孝)]에게 출가했을 뿐 후사가 없었다. 시호는 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熙倫正極粹德純聖文顯武成獻仁英孝)이다. 묘호는 철종(哲宗)이다. 능호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예릉&ridx=0&tot=6 예릉(睿陵)]으로, 경기도 고양시 원당읍 원당리에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B2%A0%EC%A2%85&ridx=3&tot=2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철종(哲宗)]</ref>
+
 
+
==='''철종어진 / Portrait of King Cheoljong'''===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400px>
+
파일:철종어진.jpg|철종 어진<ref>[http://www.gogung.go.kr 국립고궁박물관]</ref>
+
</gallery>
+
철종의 31세 초상으로 1861년(철종 12)에 도사(圖寫)된 작품이다.  
+
조선 후기 1861년, 이한철 작으로, 1954년 화재로 일부 소실되었다.  
+
 
+
보물 제1492호. 족자, 비단에 채색. 세로 202.3 x 가로 107.2 cm
+
 
+
 
+
* 철종어진 속 복장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99%95%EC%9D%98_%EA%B5%B0%EB%B3%B5 왕의 군복]을 입고 있다.
+
 
+
왕의 군복 구성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A0%84%EB%A6%BD 전립],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A0%84%EB%B3%B5 전복],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B%8F%99%EB%8B%A4%EB%A6%AC 동다리],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A%B4%91%EB%8C%80 광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C%A0%84%EB%8C%80 전대],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D%99%94 화]로 이루어진다.
+
 
+
='''시각자료 / Visual Materials'''=
+
=='''사진 / Pictures'''==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
파일:용흥궁.jpg|용흥궁 전경<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2 용흥궁 전경-문화재청 2.jpg|용흥궁 전경<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3 용흥궁 출입문-문화재청.JPG|용흥궁 출입문<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4 용흥궁 편액-문화재청.JPG|용흥궁 편액<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5 용흥궁 사랑채-강화문화관광.jpg|용흥궁 사랑채<ref>[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tour/tourInfoDetail.do?tour_seq=69 '용흥궁',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문화관광]</ref>
+
파일:006 용흥궁 사랑채-문화재청.JPG|용흥궁 사랑채<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7 용흥궁 안채-문화재청.JPG|용흥궁 안채<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8 용흥궁 우물터-문화재청.JPG|용흥궁 우물터<ref>[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C%9A%A9%ED%9D%A5%EA%B6%81&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21&ccbaAsno=00200000&ccbaCtcd=23&ccbaCpno=211230020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sCond=%EC%9A%A9%ED%9D%A5%EA%B6%81# '용흥궁', 문화재청, 문화유산정보]</ref>
+
파일:009 용흥궁 잠저비각-강화문화관광.jpg|용흥궁 잠저비각<ref>[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tour/tourInfoDetail.do?tour_seq=69 '용흥궁',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문화관광]</ref>
+
</gallery>
+
 
+
=='''가상현실 / Virtual Tour'''==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9/Pavilions/tour2019-1/Yongheunggung/Yongheunggung.htm" frameborder="1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digerati.aks.ac.kr/DhLab/2019/Pavilions/tour2019-1/Yongheunggung/Yongheunggung.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출처 / Sources'''=
 
='''출처 / Sources'''=
113번째 줄: 82번째 줄:
 
|일자 || 역할|| 이름 || 전공
 
|일자 || 역할|| 이름 || 전공
 
|-
 
|-
| 2019년 4월 || 편집 및 정리 || [[김현승]] || 인문정보학
+
| 2022년 10월 || 편집 및 정리 || [[한태빈]] || 한국사학
 
|-
 
|-
 
|}
 
|}

2022년 10월 7일 (금) 18:24 기준 최신판

Project Home



개관 / Overview

한국어 / Korean

향현사는 이 지역이 낳은 인물 중에서 후세의 모범이 될만한 사람 12명을 뽑아 위패를 봉안하고 제향을 올리기 위해 건립한 사당으로 강릉시 교동 238-3번지 명륜고등학교 뒷편에 있다. [1]

영어 / English

Hyanghyeonsa Temple was built to enshrine the memorial tablet and honor the ancestral rites by selecting 12 people who could serve as an example for future generations from the people born in this area, and is located behind Myeongryun High School, 238-3 Gyo-dong, Gangneung-si.

지도 / Map

향현사 지도.jpg

해설 / Commentary

향현사 / Yongheunggung

본격적으로 향현사를 논하기 전에 지방에는 서원(書院)·영당(影堂) 등 다양한 제향 기관이 병존하고 있었으므로, 이들과 향현사를 비교하고 넘어가고자 한다. 본디 향현사(鄕賢社)란 말 자체는 비단 강릉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었다. 당시의 향현사는 “한 고을의 모범이 되는 명현(名賢)을 봉안하고 있는 사당”을 가리키는 역사적 개념이었다. 현재에도 전라남도 진도군에 향현사가 있으며, 강원도 정선군에도 향현사가 있으며, 강원도 정선군에도 향현사가 있다. 보통 명사로서의 향현사를 여타 기관과 비교하자면 강학 기관과 제향 기관을 겸하고 있는 서원보다 한 단계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영당(影堂)은 본래 죽은 이의 영정(影幀)을 모시는 사당인데, 영정 혹은 화상(畫像)은 고관(高官)이나 공신(功臣)에게 수여되는 특혜이므로, 향현사보다는 영당의 위격이 높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중건되기 이전의 향현사는 영당과 서원보다 그 규모가 작았다고 이해된다. [2] [3]


본고에서 다루는 강릉 향현사의 연혁은 3단계로 대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초건(初建)의 시기이다. 처음에는 1645년(인조 23)에 강릉 부사 강백년(姜柏年)과 전직 관리인 김충각(金忠慤), 김성원(金聲源) 등이 논의하여 향현(鄕賢)들의 행적과 얼을 후세(後世)에 전하고자 건립하였다고 한다. 최치운(崔致雲)·최응현(崔應賢)·박수량(朴遂良)·박공달(朴公達)·최수성(崔壽城)·최운우(崔雲遇) 등 6현을 모셨다. 두 번째는 추향(追享)의 시기이다. 1682년(숙종 8), 1759년(영조 35), 1808년(순조 8)에 걸쳐 이성무(李成茂)·김윤신(金潤身)·박억추(朴億秋)·김열(金說)·김담(金譚)을 추향(追享)하게 되면서 현재의 12현을 갖추게 되었다.

세 번째는 중건(重建)과 이건(移建)의 시기이다. 1867년(고종 4) 강릉부(江陵府)에서 일어난 큰 화재로 창건 당시 건물은 불타 없어지고,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중건하지 못하다가 1921년 봄 후손들이 지금의 건물을 세웠다. 황영조 기념체육관 건립 계획에 따라 1995년 지금의 자리인 명륜고등학교 뒤로 이전하였다. 4차에 걸쳐 12명을 제향한 사례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제향인을 모신 사우라는 특징이 있다. 제향인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4]


한글성명 한자성명 생몰년대 제향년도 본관 관직
최치운 崔致雲 1390~1440 1645년 伯卿 釣隱 江陵 參判
이성무 李成茂 1370~1436? 1759년 聖始 訥齋 嶺海 司憲
최응현 崔應賢 1428~1507 1645년 寶臣 睡軒 江陵 縣監
최수 崔洙 1443~1472 1682년 道源 春軒 江陵 牧使
김윤신 金潤身 1444~1472 1808년 德叟 槐堂 江陵 佐郞
박공달 朴公達 1470~? 1645년 大觀 四休堂 江陵 縣監
박수량 朴遂良 1475~1521 1645년 君擧 三可堂 江陵
최수성 崔壽峸 1487~1521 1645년 可鎭 猿亭 江陵
김열 金說 1506~? 1808년 說之 臨鏡堂 江陵
김담 金譚 1522~1605 1759년 譚之 葆眞齋 江陵 府使
박억추 朴億秋 1523~1590 1759년 德叟 聾軒 江陵 縣監
최운우 崔雲遇 1532~1605 1645년 時中 蹈景 江陵


위의 표에서 특기할 점은 생몰년과 제향 년도가 순차적으로 대응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선정된 기준은 학문과 효행으로 대표되는 성리학적 사회 질서 확립에 기여한 인물로 보인다. 아울러 지역 유림의 합의로 제향된 만큼 그 지역을 대표하는 거성(巨姓) 출신이 대부분이다. 오늘날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향현사의 핵심 기능은 제향이다. 본래 강릉 향현사의 제향은 매년 중춘추(仲春秋) 중정일(中丁日)에 시행했으나, 1921년 이건(移建) 뒤에는 중추(仲秋) 중정일(中丁日)에만 제향한다고 한다. 제향 절차는 다른 사원 및 사우와 비슷하다. [5]

출처 / Sources

  1. '향현사', 솔향강릉 향현사 제향
  2. '향현사', 두산백과 향현사
  3. '향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향현사
  4. 金東燦, 「江陵 響賢祠 硏究」, 『嶺東文化』 5, 관동대학교 영동문화연구소, 1994.
  5. 장동표, 「朝鮮과 明의 鄕賢 추숭과 鄕賢祠 건립 비교 연구」, 『효원사학회』 52, 역사와 세계, 2017.


기여 / Contributors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22년 10월 편집 및 정리 한태빈 한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