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가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전북대학교 석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12)  | *전북대학교 석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12)  | ||
*전북대학교 박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18)  | *전북대학교 박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18)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과정 재학(인문정보학과/2022)  |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연구교수(2023.06 ~)  | ||
===전공 분야===  | ===전공 분야===  | ||
| 14번째 줄: | 16번째 줄: | ||
*18~19세기 한중 문인 문화교유 지도(시각화)  | *18~19세기 한중 문인 문화교유 지도(시각화)  | ||
*중국 고전시와 관련된 모든 연구  | *중국 고전시와 관련된 모든 연구  | ||
| + | |||
| + | [[파일:소동파.jpg|120px|섬네일|left|소동파]]  | ||
<html>  | <html>  | ||
| 19번째 줄: | 23번째 줄: | ||
</html>  | </html>  | ||
| − | |||
| − | |||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 ||
| − | !style="width:10%"| 왕조 || style="width:10%"| 서기 || style="width:10%"| 연령 || style="width:  | + | |+ 표1. 추사 김정희 행력  | 
| + | !style="width:10%"| 왕조 || style="width:10%"| 서기 || style="width:10%"| 연령 || style="width:50%"| 기사  | ||
|-  | |-  | ||
|정조 10년 || 1786 || 1 || 6월 3일, 충청도 禮山에서 태어나다.  | |정조 10년 || 1786 || 1 || 6월 3일, 충청도 禮山에서 태어나다.  | ||
2024년 2월 4일 (일) 12:36 기준 최신판
WHO AM I
- 전북대학교 학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09)
 - 전북대학교 석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12)
 - 전북대학교 박사 졸업(중어중문학과/2018)
 -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과정 재학(인문정보학과/2022)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연구교수(2023.06 ~)
 
전공 분야
- 중국고대시학
- 석사학위논문: 蘇門四學士 含意 硏究 -黃庭堅의 경우를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秋史 金正喜 詩論 硏究 -淸代 乾嘉時期 詩論의 受容과 變容을 중심으로-
 
 
하고 싶은 공부
- 디지털 한중 인문고전 교육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 18~19세기 한중 문인 문화교유 지도(시각화)
 - 중국 고전시와 관련된 모든 연구
 
| 왕조 | 서기 | 연령 | 기사 | 
|---|---|---|---|
| 정조 10년 | 1786 | 1 | 6월 3일, 충청도 禮山에서 태어나다. | 
| 순조 9년 | 1809 | 24 | 12월, 冬至 兼 謝恩副使로 떠나는 생부 金魯敬을 따라 燕京에 가다. | 
| 순조 10년 | 1810 | 25 | 1월, 연경에서 阮元과 翁方綱을 만나 師弟의 의리를 맺다. | 
| 헌종 6년 | 1840 | 55 | 9월, 尹尙度가 올린 凶疏의 배후 인물로 지목되어 濟州 大靜縣에 위리안치되다. | 
| 헌종 10년 | 1844 | 59 | 李尙迪에게 歲寒圖를 그려 주다. | 
| 헌종 14년 | 1848 | 63 | 12월, 李穆淵, 趙秉鉉과 함께 濟州 流配에서 풀려나다. | 
| 철종 2년 | 1851 | 66 | 7월, 眞宗祧遷禮論의 배후 발설자로 지목되어 北靑에 유배되다. | 
| 철종 3년 | 1852 | 67 | 8월, 북청의 유배에서 풀려나다. | 
| 철종 7년 | 1856 | 71 | 8월, 10월 10일, 졸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