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2 김현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enter><font size=6>정해진찬 복식</font></center> 분류: 2021 고문헌 자료 정보...)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7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 |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2021년 1학기 AKS 인문정보학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 | <center><font size=6> | + | <center><font size=6>정해년 궁중연향 복식</font></center> |
+ | ==정해진찬의궤 복식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 ||
+ | 1887년에 신정왕후의 팔순 잔치가 행해졌다. 이 행사는 『정해진찬의궤』로 편찬되었으며 《정해진찬도병》으로 그려져 현전하고 있다. | ||
+ | 의궤에는 전체적인 행사 모습을 알 수 있는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총 4권으로 이루어진 『정해진찬의궤』는 앞부분의 도식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한문 텍스트로 기술되어 있으며 각 내용은 의례를 기록한 다른 의궤들과 마찬가지로 형식화된 서술방식을 가지고 있다. 의궤 내용을 살펴볼 때, 각 권,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르지만 연결되는 부분들이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
+ | 예를 들면, 진찬에서 정재무를 췄던 정재여령의 복식에 관한 내용은 '권수'에 도식으로 그려져 있고, '권1'과 '권2'에 복식 마련에 대한 질의응답이 있으며, '권3'에는 각 복식을 착용하는 착장자의 명단과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 및 가격 등이 적혀 있다. 이처럼 연결되는 지식요소들이 여러 군데에 흩어져 있어 주의깊게 읽지 않으면 중요한 부분을 놓칠 수도 있게 된다. | ||
+ | 본 연구는 『정해진찬의궤』에 나열된 개별 문자(Text) 속에서 지식요소들이 문맥(Context)에 따라 의미있게 연결될 수 있도록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ref>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Semantic Database)'의 의미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개념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맨틱 웹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7/다산정보화구상170513(김현).pdf 김현, 「다산 저작 텍스트의 전자정보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 세계사 속의 다산학』 (AKSR2016-J08)], 6쪽.)</ref> 이를 위해 온톨로지를 설계하는데, 그 방법으로 먼저 대상 자원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클래스(Class)로 범주화하고, 각 개체에 공통된 속성(Attribute)을 부여하며, 그 개체들이 다른 개체와 맺는 관계(Relation)를 설정한다.<ref>김현 외, 『디지털 인문학 입문』 , HUBOOKs, 2016, 164쪽.</ref>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한 작업 결과물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현승 | 정해진찬의궤 복식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1 version)]] | ||
+ | ==정해진찬의궤 복식 관련 활용 데이터== | ||
+ | ===Text=== | ||
+ | ※ 『정해진찬의궤』 텍스트의 디지털화 작업은 인문정보학 박사과정 [[김은숙 AKS | 김은숙]] 선생님이 수행함. | ||
+ | {| class="wikitable" | ||
+ | ! id !! 권 !! 편명 | ||
+ | |- | ||
+ | | [[R1887-00-03]] || 정해진찬의궤권수 || 圖式 | ||
+ | |- | ||
+ | | [[R1887-01-01]] || 정해진찬의궤권일 || 傳敎 | ||
+ | |- | ||
+ | | [[R1887-01-03B]] || 정해진찬의궤권일 || 樂章_정재악장 | ||
+ | |- | ||
+ | | [[R1887-01-06]] || 정해진찬의궤권일 || 儀註 | ||
+ | |- | ||
+ | | [[R1887-01-10]] || 정해진찬의궤권일 || 移文 | ||
+ | |- | ||
+ | | [[R1887-01-11]] || 정해진찬의궤권일 || 來關 | ||
+ | |- | ||
+ | | [[R1887-02-01]] || 정해진찬의궤권이 || 稟目 | ||
+ | |- | ||
+ | | [[R1887-02-02]] || 정해진찬의궤권이 || 甘結 | ||
+ | |- | ||
+ | | [[R1887-02-03C]] || 정해진찬의궤권이 || 饌品_채화 | ||
+ | |- | ||
+ | | [[R1887-02-04]] || 정해진찬의궤권이 || 器用 | ||
+ | |- | ||
+ | | [[R1887-03-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
+ | |- | ||
+ | | [[R1887-03-05]] || 정해진찬의궤권삼 || 內外賓 | ||
+ | |- | ||
+ | | [[R1887-03-07]]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
+ | |- | ||
+ | | [[R1887-03-08]]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
+ | |} | ||
+ | ===Context=== | ||
+ | {| class="wikitable" | ||
+ | ! id !! 권 !! 편명 !! 내용 | ||
+ | |- | ||
+ | | [[FR1887-03-04-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복장 | ||
+ | |- | ||
+ | | [[FR1887-03-04-02]]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정일 진찬시 시위 각 차비 | ||
+ | |- | ||
+ | | [[FR1887-03-04-03]]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정일 야진찬시 시위 각 차비 | ||
+ | |- | ||
+ | | [[FR1887-03-04-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익일 회작시 시위 각 차비 | ||
+ | |- | ||
+ | | [[FR1887-03-04-05]]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익일 야연시 시위 각 차비 | ||
+ | |- | ||
+ | | [[FR1887-03-04-06]]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재익일 회작시 시위 각 차비 | ||
+ | |- | ||
+ | | [[FR1887-03-04-07]]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재익일 야연시 시위 각 차비 | ||
+ | |- | ||
+ | | [[FR1887-03-07-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정해년진찬 악공 복장 | ||
+ | |- | ||
+ | | [[FR1887-03-07-02]]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정해년진찬 정재무 복장 | ||
+ | |- | ||
+ | | [[FR1887-03-07-03]]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정일 진찬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
+ | |- | ||
+ | | [[FR1887-03-07-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정일 야진찬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
+ | |- | ||
+ | | [[FR1887-03-07-05]]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익일 회작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
+ | |- | ||
+ | | [[FR1887-03-07-06]]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익일 야연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
+ | |- | ||
+ | | [[FR1887-03-07-07]]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재익일 회작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
+ | |- | ||
+ | | [[FR1887-03-07-08]]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재익일 야연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
+ | |- | ||
+ | | [[FR1887-03-08-03]]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향발 | ||
+ | |- | ||
+ | | [[FR1887-03-08-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향령 | ||
+ | |- | ||
+ | | [[FR1887-03-08-06]]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청학, 황학 | ||
+ | |- | ||
+ | | [[FR1887-03-08-08]]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가인전목단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09]]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선유락집사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10]]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선유락동기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11]]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무고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12]]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검기무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13]]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향령무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14]]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연화대무동기 복식 | ||
+ | |- | ||
+ | | [[FR1887-03-08-15]]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첨수무 차비 복식 | ||
+ | |- | ||
+ | | [[FR1887-03-08-16]]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전악 복식 | ||
+ | |- | ||
+ | | [[FR1887-03-08-17]]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전상공인 복식 | ||
+ | |- | ||
+ | | [[FR1887-03-08-18]]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헌가악공 복식 | ||
+ | |- | ||
+ | |} | ||
+ | ===Icon=== | ||
+ | 시맨틱 데이터 내용의 이해를 돕고 네트워크 그래프의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제작된 아이콘들을 사용하였다. |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Icons 궁중연향 복식]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대문 2020 한양도성] | ||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아이콘]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한국_기록유산_Encyves 한국 기록유산 Encyves] | ||
+ | *[[정해년진찬 icon]] | ||
+ | ==정해진찬의궤 복식 Ontology 설계== | ||
+ | ===Class 설계===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 !! Note | ||
+ | |- | ||
+ | | SemanticTopic || 연회, 정재, 복식 | ||
+ | |- | ||
+ | | Record || 정해진찬의궤, 상방정례 | ||
+ | |- | ||
+ | | Text || 정해진찬의궤-권수, 권1, 권2, 권3 | ||
+ | |- | ||
+ | | Context || 정해진찬의궤-권3-의위, 공령, 악기풍물 | ||
+ | |- | ||
+ | | List || 진찬구성, 정재무 역할 목록, 복장 및 복식 목록, 참여자 명단 | ||
+ | |- | ||
+ | | Area || 진찬시 여관과 여령 및 각 차비가 활동한 구역 | ||
+ | |- | ||
+ | | Staff || 여관, 여령, 차비 | ||
+ | |- | ||
+ | | Actor || 진찬 참여자 | ||
+ | |- | ||
+ | | Clothing || 복장, 복식 | ||
+ | |- | ||
+ | | Object || 정재무 물품 | ||
+ | |} | ||
+ | ===Attribute 설계=== | ||
+ | 정재무를 추는 여령과 동기, 무동 등이 착용한 복식과 정재무에 사용된 물품은 의궤 권3 '악기풍물'에 그 재료와 소요량, 가격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해당 복식 노드의 속성(Attribute)으로 부여하였다. | ||
+ | *예시 | ||
+ | {| class="wikitable" | ||
+ | ! id !! remark | ||
+ | |- | ||
+ | | 옥색한삼 || 수량: 8건, 겉감: 옥색화주(玉色禾紬), 소요량: 옥색화주 36척 | ||
+ | |} | ||
+ | ===Relation 설계=== | ||
+ | 각각의 지식노드가 서로 어떤 의미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그 관계성을 표현하는 서술어 총 9개를 사용하였다. | ||
+ | 서술어 종류와 사용된 예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Relation !! Note | ||
+ | |- | ||
+ | | hasPart || '정해진찬의궤(Record)'는 '권3(Text)'을 부분으로 삼는다. | ||
+ | |- | ||
+ | | hasPart || '권3(Text)'은 '의위(Text)'를 부분으로 삼는다. | ||
+ | |- | ||
+ | | hasContextData || '의위(Text)'는 'Context:의위(Context)'를 문맥요소로 삼는다. | ||
+ | |- | ||
+ | | references || '정해년진찬 복식(SemanticTopic)'는 'Context:의위(Context)'를 근거로 한다. | ||
+ | |- | ||
+ | | hasPart || 'Context:의위(Context)'는 '만경전 정일 진찬(Context)'을 부분으로 삼는다. | ||
+ | |- | ||
+ | | hasPart ||'만경전 정일 진찬(Context)'은 '대왕대비전(Area)' 구역을 부분으로 삼는다. | ||
+ | |- | ||
+ | | hasStaff || '대왕대비전(Area)'에는 '봉어찬차비(Staff)' 직원이 있다. | ||
+ | |- | ||
+ | | isRelatedTo || '봉어찬차비(Staff)'는 '화선(Actor)'과 관련이 있다. | ||
+ | |- | ||
+ | | includes || '화선(Actor)'은 '선유락-무-舞(List)' 무용수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 ||
+ | |- | ||
+ | | appearsIn || '봉어찬차비(Staff)'는 '주렴밖(Area)'에서 거행한다. | ||
+ | |- | ||
+ | | wears || '선유락-무-舞(List)' 무용수들은 '정재여령복장(Clothing)'을 입는다. | ||
+ | |- | ||
+ | | hasPart || '정재여령복장(Clothing)'은 '화관(Clothing)'을 부분으로 삼는다. | ||
+ | |- | ||
+ | | type || '무고복장(Clothing)'에는 '4가지 복색'이 소속되어 있다.(예: 청색쾌자(Clothing)) | ||
+ | |} | ||
+ | ==정해진찬의궤 복식 Semantic Database 구축== | ||
+ | 기준일시: 2021. 6. 21. 17:54 | ||
+ | ===Node=== | ||
+ | *[http://dhlab.aks.ac.kr/~hyunseung/의궤/정해년진찬/R1887ClothingData.xlsx Data 엑셀 다운로드] | ||
+ | * 지식 노드 857 개 | ||
+ | use s_seung | ||
+ | select * from R1887ClothingData ..... '''857''' | ||
+ | * Class 별 노드 건수 | ||
+ | select class, count(*) from R1887ClothingData | ||
+ | group by class order by class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class !! 범주 !! 건수 | ||
+ | |- | ||
+ | | SemanticTopic || 시맨틱주제 || 3 | ||
+ | |- | ||
+ | | Record || 기록물 || 2 | ||
+ | |- | ||
+ | | Text || 문자 || 4 | ||
+ | |- | ||
+ | | Context || 문맥 || 72 | ||
+ | |- | ||
+ | | List || 목록 || 242 | ||
+ | |- | ||
+ | | Area || 구역 || 27 | ||
+ | |- | ||
+ | | Staff || 역할 || 263 | ||
+ | |- | ||
+ | | Actor || 인물 || 52 | ||
+ | |- | ||
+ | | Clothing || 복식 || 185 | ||
+ | |- | ||
+ | | Object || 물품 || 7 | ||
+ | |} | ||
− | [[분류: 2021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 | ===Contextual Relations=== |
+ | *[http://dhlab.aks.ac.kr/~hyunseung/의궤/정해년진찬/R1887ClothingLinks.xlsx Links 엑셀 다운로드] | ||
+ | * Relation 2,491 개 | ||
+ | |||
+ | select * from R1887ClothingLinks ..... '''2,491''' | ||
+ | |||
+ | select distinct relation, count(*) from R1887ClothingLinks | ||
+ | group by relation | ||
+ | order by relation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 ! Relation !! 건수 | ||
+ | |- | ||
+ | | appearsIn || 163 | ||
+ | |- | ||
+ | | hasContextData || 3 | ||
+ | |- | ||
+ | | hasPart || 606 | ||
+ | |- | ||
+ | | hasStaff || 262 | ||
+ | |- | ||
+ | | includes || 482 | ||
+ | |- | ||
+ | | isRelatedTo || 871 | ||
+ | |- | ||
+ | | references || 11 | ||
+ | |- | ||
+ | | type || 4 | ||
+ | |- | ||
+ | | wears || 89 | ||
+ | |} | ||
+ | |||
+ | ==정해진찬의궤 복식 Semantic Network== | ||
+ | <html> |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R1887Clothing&key=정해년진찬_복식'"> | ||
+ | </html> | ||
+ | {{SemanticQuery | db=s_seung | project=R1887Clothing | key=복식}} | ||
+ | |||
+ | |||
+ | ===정해년 진찬 복식=== | ||
+ | 정해년 진찬에는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인원과 궁중연향에 초대된 내외빈, 진찬소 당랑, 여관 및 각 차비 여령, 악사와 악공 등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각자의 지위와 역할에 맞는 복장을 갖추었다.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100%" | ||
+ | | <html><iframe width="95%" height="40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복식.lst&direction=UD | ||
+ | "></iframe><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복식.lst&direction=UD'"></html> | ||
+ | || <html><iframe width="95%" height="40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년진찬_복식-김현승.lst&direction=UD"></iframe><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년진찬_복식-김현승.lst&direction=UD'"></html> | ||
+ | |} | ||
+ | |||
+ | ===정해년 진찬시 여관 및 각 차비 여령=== | ||
+ | 정해년 진찬에 배치된 여관 및 각 차비 여령은 그 역할에 따른 위치를 달리 하였다. |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100%" | ||
+ | | <html><iframe width="95%" height="40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FR1887-03-04.lst&direction=UD | ||
+ | "></iframe><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FR1887-03-04.lst&direction=UD'"></html> | ||
+ | || <html><iframe width="95%" height="40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direction=UD"></iframe><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direction=UD'"></html> | ||
+ | |} | ||
+ | |||
+ | ===정해년 진찬시 정재여령과 복장===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width:100%" | ||
+ | | <html><iframe width="95%" height="40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FR1887-03-07.lst&direction=UD | ||
+ | "></iframe><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FR1887-03-07.lst&direction=UD'"></html> | ||
+ | || <html><iframe width="95%" height="400px" src="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FR1887-03-08.lst&direction=UD"></iframe><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FR1887-03-08.lst&direction=UD'"></html> | ||
+ | |} | ||
+ | |||
+ | ==참고== | ||
+ | <references/> | ||
+ | ---- | ||
+ | '''온톨로지 설계 참고자료''' |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Ontology:Class 2020 한양도성 타임머신 클래스 설계] | ||
+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Ontology:Relation 2020 한양도성 타임머신 관계성 설계] | ||
+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EKC_Data_Model-Draft_1.1 한국문화 엔사이브 온톨로지] | ||
+ | |||
+ | [[분류: 2021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분류: 김현승]] |
2022년 12월 14일 (수) 02:28 기준 최신판
목차
정해진찬의궤 복식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1887년에 신정왕후의 팔순 잔치가 행해졌다. 이 행사는 『정해진찬의궤』로 편찬되었으며 《정해진찬도병》으로 그려져 현전하고 있다.
의궤에는 전체적인 행사 모습을 알 수 있는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다. 총 4권으로 이루어진 『정해진찬의궤』는 앞부분의 도식을 제외하면 대부분은 한문 텍스트로 기술되어 있으며 각 내용은 의례를 기록한 다른 의궤들과 마찬가지로 형식화된 서술방식을 가지고 있다. 의궤 내용을 살펴볼 때, 각 권,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다르지만 연결되는 부분들이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진찬에서 정재무를 췄던 정재여령의 복식에 관한 내용은 '권수'에 도식으로 그려져 있고, '권1'과 '권2'에 복식 마련에 대한 질의응답이 있으며, '권3'에는 각 복식을 착용하는 착장자의 명단과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 및 가격 등이 적혀 있다. 이처럼 연결되는 지식요소들이 여러 군데에 흩어져 있어 주의깊게 읽지 않으면 중요한 부분을 놓칠 수도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정해진찬의궤』에 나열된 개별 문자(Text) 속에서 지식요소들이 문맥(Context)에 따라 의미있게 연결될 수 있도록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1] 이를 위해 온톨로지를 설계하는데, 그 방법으로 먼저 대상 자원을 탐색하고 분석하여 클래스(Class)로 범주화하고, 각 개체에 공통된 속성(Attribute)을 부여하며, 그 개체들이 다른 개체와 맺는 관계(Relation)를 설정한다.[2]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한 작업 결과물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정해진찬의궤 복식 관련 활용 데이터
Text
※ 『정해진찬의궤』 텍스트의 디지털화 작업은 인문정보학 박사과정 김은숙 선생님이 수행함.
id | 권 | 편명 |
---|---|---|
R1887-00-03 | 정해진찬의궤권수 | 圖式 |
R1887-01-01 | 정해진찬의궤권일 | 傳敎 |
R1887-01-03B | 정해진찬의궤권일 | 樂章_정재악장 |
R1887-01-06 | 정해진찬의궤권일 | 儀註 |
R1887-01-10 | 정해진찬의궤권일 | 移文 |
R1887-01-11 | 정해진찬의궤권일 | 來關 |
R1887-02-01 | 정해진찬의궤권이 | 稟目 |
R1887-02-02 | 정해진찬의궤권이 | 甘結 |
R1887-02-03C | 정해진찬의궤권이 | 饌品_채화 |
R1887-02-04 | 정해진찬의궤권이 | 器用 |
R1887-03-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R1887-03-05 | 정해진찬의궤권삼 | 內外賓 |
R1887-03-07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R1887-03-08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Context
id | 권 | 편명 | 내용 |
---|---|---|---|
FR1887-03-04-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복장 |
FR1887-03-04-02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정일 진찬시 시위 각 차비 |
FR1887-03-04-03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정일 야진찬시 시위 각 차비 |
FR1887-03-04-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익일 회작시 시위 각 차비 |
FR1887-03-04-05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익일 야연시 시위 각 차비 |
FR1887-03-04-06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재익일 회작시 시위 각 차비 |
FR1887-03-04-07 | 정해진찬의궤권삼 | 儀衛 | 만경전 재익일 야연시 시위 각 차비 |
FR1887-03-07-01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정해년진찬 악공 복장 |
FR1887-03-07-02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정해년진찬 정재무 복장 |
FR1887-03-07-03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정일 진찬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FR1887-03-07-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정일 야진찬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FR1887-03-07-05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익일 회작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FR1887-03-07-06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익일 야연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FR1887-03-07-07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재익일 회작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FR1887-03-07-08 | 정해진찬의궤권삼 | 工伶 | 만경전 재익일 야연시 악장차비 및 정재여령 |
FR1887-03-08-03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향발 |
FR1887-03-08-04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향령 |
FR1887-03-08-06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청학, 황학 |
FR1887-03-08-08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가인전목단 차비 복식 |
FR1887-03-08-09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선유락집사 차비 복식 |
FR1887-03-08-10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선유락동기 차비 복식 |
FR1887-03-08-11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무고 차비 복식 |
FR1887-03-08-12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검기무 차비 복식 |
FR1887-03-08-13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향령무 차비 복식 |
FR1887-03-08-14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연화대무동기 복식 |
FR1887-03-08-15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첨수무 차비 복식 |
FR1887-03-08-16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전악 복식 |
FR1887-03-08-17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전상공인 복식 |
FR1887-03-08-18 | 정해진찬의궤권삼 | 樂器風物 | 헌가악공 복식 |
Icon
시맨틱 데이터 내용의 이해를 돕고 네트워크 그래프의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제작된 아이콘들을 사용하였다.
정해진찬의궤 복식 Ontology 설계
Class 설계
Class | Note |
---|---|
SemanticTopic | 연회, 정재, 복식 |
Record | 정해진찬의궤, 상방정례 |
Text | 정해진찬의궤-권수, 권1, 권2, 권3 |
Context | 정해진찬의궤-권3-의위, 공령, 악기풍물 |
List | 진찬구성, 정재무 역할 목록, 복장 및 복식 목록, 참여자 명단 |
Area | 진찬시 여관과 여령 및 각 차비가 활동한 구역 |
Staff | 여관, 여령, 차비 |
Actor | 진찬 참여자 |
Clothing | 복장, 복식 |
Object | 정재무 물품 |
Attribute 설계
정재무를 추는 여령과 동기, 무동 등이 착용한 복식과 정재무에 사용된 물품은 의궤 권3 '악기풍물'에 그 재료와 소요량, 가격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를 해당 복식 노드의 속성(Attribute)으로 부여하였다.
- 예시
id | remark |
---|---|
옥색한삼 | 수량: 8건, 겉감: 옥색화주(玉色禾紬), 소요량: 옥색화주 36척 |
Relation 설계
각각의 지식노드가 서로 어떤 의미적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그 관계성을 표현하는 서술어 총 9개를 사용하였다. 서술어 종류와 사용된 예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Relation | Note |
---|---|
hasPart | '정해진찬의궤(Record)'는 '권3(Text)'을 부분으로 삼는다. |
hasPart | '권3(Text)'은 '의위(Text)'를 부분으로 삼는다. |
hasContextData | '의위(Text)'는 'Context:의위(Context)'를 문맥요소로 삼는다. |
references | '정해년진찬 복식(SemanticTopic)'는 'Context:의위(Context)'를 근거로 한다. |
hasPart | 'Context:의위(Context)'는 '만경전 정일 진찬(Context)'을 부분으로 삼는다. |
hasPart | '만경전 정일 진찬(Context)'은 '대왕대비전(Area)' 구역을 부분으로 삼는다. |
hasStaff | '대왕대비전(Area)'에는 '봉어찬차비(Staff)' 직원이 있다. |
isRelatedTo | '봉어찬차비(Staff)'는 '화선(Actor)'과 관련이 있다. |
includes | '화선(Actor)'은 '선유락-무-舞(List)' 무용수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
appearsIn | '봉어찬차비(Staff)'는 '주렴밖(Area)'에서 거행한다. |
wears | '선유락-무-舞(List)' 무용수들은 '정재여령복장(Clothing)'을 입는다. |
hasPart | '정재여령복장(Clothing)'은 '화관(Clothing)'을 부분으로 삼는다. |
type | '무고복장(Clothing)'에는 '4가지 복색'이 소속되어 있다.(예: 청색쾌자(Clothing)) |
정해진찬의궤 복식 Semantic Database 구축
기준일시: 2021. 6. 21. 17:54
Node
- Data 엑셀 다운로드
- 지식 노드 857 개
use s_seung select * from R1887ClothingData ..... 857
- Class 별 노드 건수
select class, count(*) from R1887ClothingData group by class order by class
class | 범주 | 건수 |
---|---|---|
SemanticTopic | 시맨틱주제 | 3 |
Record | 기록물 | 2 |
Text | 문자 | 4 |
Context | 문맥 | 72 |
List | 목록 | 242 |
Area | 구역 | 27 |
Staff | 역할 | 263 |
Actor | 인물 | 52 |
Clothing | 복식 | 185 |
Object | 물품 | 7 |
Contextual Relations
- Links 엑셀 다운로드
- Relation 2,491 개
select * from R1887ClothingLinks ..... 2,491
select distinct relation, count(*) from R1887ClothingLinks group by relation order by relation
Relation | 건수 |
---|---|
appearsIn | 163 |
hasContextData | 3 |
hasPart | 606 |
hasStaff | 262 |
includes | 482 |
isRelatedTo | 871 |
references | 11 |
type | 4 |
wears | 89 |
정해진찬의궤 복식 Semantic Network
정해년 진찬 복식
정해년 진찬에는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인원과 궁중연향에 초대된 내외빈, 진찬소 당랑, 여관 및 각 차비 여령, 악사와 악공 등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각자의 지위와 역할에 맞는 복장을 갖추었다.
|
|
정해년 진찬시 여관 및 각 차비 여령
정해년 진찬에 배치된 여관 및 각 차비 여령은 그 역할에 따른 위치를 달리 하였다.
|
|
정해년 진찬시 정재여령과 복장
|
|
참고
- ↑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Semantic Database)'의 의미는 '시맨틱 웹(Semantic Web) 개념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시맨틱 웹의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김현, 「다산 저작 텍스트의 전자정보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 『고전자료의 현대화 연구: 세계사 속의 다산학』 (AKSR2016-J08), 6쪽.)
- ↑ 김현 외, 『디지털 인문학 입문』 , HUBOOKs, 2016, 164쪽.
온톨로지 설계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