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1887-03-0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clickable button|[[ | + | {{clickable button|[[2021 102 김현승 | 정해진찬의궤 복식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권3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식 관련 내용= | =권3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식 관련 내용= | ||
| 695번째 줄: | 695번째 줄: | ||
| style="background:#FFE697" | 화선 || 대치사차비 | | style="background:#FFE697" | 화선 || 대치사차비 | ||
|} | |} | ||
| + | |||
| + | |||
| + | ==참고자료== | ||
| + | *원문 이미지 출처: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2_00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4412)] | ||
[[분류:고종정해진찬의궤 Context]] [[분류:김현승]] | [[분류:고종정해진찬의궤 Context]] [[분류:김현승]] | ||
2022년 12월 14일 (수) 02:29 기준 최신판
목차
권3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식 관련 내용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 內進饌時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 |
☞ 여관 직무에 따른 복장
| 직무 | 복식 |
|---|---|
| 계청, 전도상궁, 도집사, 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 | 어유미, 흑원삼, 남색치마, 남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 시위, 찬청승인, 전인상궁, 상식, 상사, 상찬,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 | 어유미, 초록원삼, 남색치마, 홍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 차비 여령 | 화관, 황초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
| 문외의장 봉지비자 | 가리마, 초록당의, 남색치마, 흰색한삼, 흑혜 |
만경전진찬시 대왕대비전 시위 및 각 차비
| 大王大妃殿 啓請尙儀一,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계청 | 상의 | 1 | ||
| 좌우찬례 | 상궁 | 2 | ||
| 시위 | 상궁 | 2 | ||
| 보차비 | 1 | |||
| 산선차비 | 2 | |||
| 향꽂이차비 | 2 | |||
| 노연승차비 | 2 | |||
| 수주정 겸 다정차비 | 상식 | 1 | ||
| 진휘건차비 | 상식 | 1 | 진시접 겸행 | |
| 진어찬차비 | 상식 | 2 | ||
| 진수작차비 | 상식 | 1 | ||
| 진다차비 | 상식 | 1 | 진수작차비를 겸함 | |
| 선교차비 | 1 | 계청상의 겸함 | ||
| 사주차비 | 상식 | 1 | ||
| 도 | 집사 | 1 | ||
| 부 | 집사 | 1 | 선교차비 겸함 | |
| 사찬 | 1 | 도집사 겸함 | ||
| 전찬 | 2 | |||
| 내빈반화때 창명차비 | 1 | |||
| 상침 | 1 | |||
| 치사전문함봉입차비 | 상기 | 1 | ||
| 이상 여관 각 차비 발 안에서 거행. |
| 奉揮巾差備一 【花仙】 奉御饌差備二 【洞庭月•花仙•傳捧女官】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봉휘건차비 | 1 | 화선 | ||
| 봉어찬차비 | 2 | 동정월, 화선 | 전봉여관 | |
| 창명차비 | 2 | 혜옥, 부용 | 외빈 반화시 | |
| 풍선차비 | 2 | 롱주, 소향 | ||
| 작선차비 | 2 | 월선, 기월 | ||
| 홍개차비 | 1 | 설화 | ||
| 청개차비 | 1 | 학선 | 婢子奉持傳捧女伶 비자가 전봉여령으로 봉지한다 | |
| 이상 여령 각 차비 발 밖에서 거행. |
| 陽繖差備一, 金罐子差備二,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양산차비 | 1 | |||
| 금관자차비 | 2 | |||
| 은관자차비 | 1 | |||
| 모절차비 | 1 | |||
| 정차비 | 1 | |||
| 이상 비자 각 차비 문 밖에서 봉지. | ||||
| 총 | 12 |
만경전진찬시 대전 시위 및 각 차비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 大殿 承導尙宮二,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승도 | 상궁 | 2 | ||
| 시위 | 상궁 | 2 |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계청차비 | 1 | 연심 | ||
| 전도차비 | 2 | 채봉, 봉심 | ||
| 시위 | 6 | 화향, 연홍, 행화, 금운, 선희, 난향 | ||
| 산선차비 | 2 | 금선, 춘운 | ||
| 일산차비 | 1 | 도화 | ||
| 계자차비 | 1 | 금화 | ||
| 주정겸다정차비 | 1 | 금희 | 금희가 진다를 겸행. | |
| 진휘건겸진시접진화차비 | 1 | 난향 | 난향이 시위를 겸행. | |
| 봉어찬차비 | 2 | 연심, 금희 | 연심이 계청 겸행. 금희가 주정 겸행. | |
| 진어찬차비 | 2 | 선희, 난향 | 선희, 난향이 시위 겸행. | |
| 홀기차비 | 2 | 옥진, 명희 | ||
| 동서창 | 2 | 금홍, 정희 | ||
| 집사 | 2 | 명희, 운향 | 명희가 홀기를 겸행. | |
| 대치사독전문차비 | 1 | 소월 | ||
| 전전문차비 | 2 | 연심, 금희 | 연심은 계청 겸행. 금희는 주정 겸행. | |
| 배치사전문함겸승교차비 | 1 | 소월 | 소월이 대치사를 겸행. | |
| 이상 여령 각 차비 발 밖에서 거행 |
☞만경전진찬 때 대전의 '시위 각 차비' 중에 주렴 밖에서 활동한 인물을 중심으로 직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름 | 직무 |
|---|---|
| 금선 | 산선차비 |
| 금운 | 시위 |
| 금홍 | 동서창 |
| 금화 | 계자치비 |
| 금희 | 주정겸다정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
| 난향 | 시위,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진어찬차비 |
| 도화 | 일산차비 |
| 명희 | 홀기차비, 집사 |
| 봉심 | 전도차비 |
| 선희 | 시위, 진어찬차비 |
| 소월 | 대치사독전문차비, 배치사전문함 겸 승교차비 |
| 연심 | 계청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
| 연홍 | 시위 |
| 옥진 | 홀기차비 |
| 운향 | 집사 |
| 정희 | 동서창 |
| 채봉 | 전도차비 |
| 춘운 | 산선차비 |
| 행화 | 시위 |
| 화향 | 시위 |
만경전진찬시 중궁전 시위 및 각 차비
| 中宮殿 啓請尙宮一,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계청 | 상궁 | 1 | ||
| 전도 | 상궁 | 2 | ||
| 시위 | 상궁 | 2 | ||
| 산선차비 | 2 | |||
| 양산차비 | 1 | |||
| 주정겸다정차비 | 상식 | 1 | ||
| 진어찬차비 | 상식 | 2 | ||
| 진화찬차비 | 상식 | 1 | ||
| 진휘건차비 | 상식 | 1 | 진화차비가 겸함. | |
| 진다차비 | 상식 | 1 | 진시접을 겸함. | |
| 대치사차비 | 전언 | 1 | ||
| 승교차비 | 1 | 계청상궁이 겸함. | ||
| 이상 여관 각 차비 발 안에서 거행. |
| 奉御饌差備二 【竹葉•雪花, 簾外擧行】 주렴 밖에서 거행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봉어찬차비 | 2 | 죽엽, 설화 | 발 밖에서 거행. |
만경전진찬시 세자궁 시위 및 각 차비
| 世子宮承導尙宮二, 陪衛尙宮二, 以上女官各差備四人【竝簾內擧行】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승도 | 상궁 | 2 | ||
| 배위 | 상궁 | 2 | 이상 여관 각 차비 발 안에서 거행. |
| 贊請差備一【映珠】 前導差備二【蓮心·小濤】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찬청차비 | 1 | 영주 | ||
| 전도차비 | 2 | 연심, 소도 | ||
| 배위 | 6 | 경옥, 옥향, 행화, 채운, 옥계, 화용 | ||
| 산선차비 | 1 | 학희 | ||
| 산선차비 | 1 | 계섬 | ||
| 일산차비 | 1 | 란희 | ||
| 달자차비 | 1 | 채희 | ||
| 주정겸다정차비 | 1 | 산홍 | 진다를 겸행 | |
|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 1 | 화용 | 배위를 겸행 | |
| 봉예찬차비 | 2 | 영주, 산홍 |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 |
| 진예찬차비 | 2 | 채운, 화용 | 배위를 겸행 | |
| 대치사독전문차비 | 1 | 화선 | ||
| 전전문차비 | 2 | 영주, 산홍 |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 |
| 배치사전문함 겸 승령차비 | 1 | 화선 | 대치사 겸행 | |
| 이상 여령 각 차비 발 밖에서 거행. |
만경전진찬시 세자빈궁 시위 및 각 차비
| 世子嬪宮 贊請尙宮一,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찬청 | 상궁 | 1 | ||
| 전인 | 상궁 | 2 | ||
| 배위 | 상궁 | 2 | ||
| 산선차비 | 2 | |||
| 주정겸 다정차비 | 1 | |||
| 진예찬차비 | 2 | |||
| 진화차비 | 1 | |||
| 진휘건차비 | 1 | 진화차비 겸행 | ||
| 진다차비 | 1 | 진시접 겸행 | ||
| 대치사차비 | 1 | |||
| 승령차비 | 1 | 찬청상궁 겸행 | ||
| 이상 발 안에서 거행 |
| 奉睿饌差備二 【鶴仙•月仙, 簾外擧行】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봉예찬차비 | 1 | 월선 | ||
| 봉예찬차비 | 1 | 학선 | ||
| 총 | 2 | 발 밖에서 거행 |
만경전진찬시 좌우명부 시위 및 각 차비
| 左右命婦 典賓二,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전빈 | 2 | |||
| 반화차비 | 전식 | 2 | ||
| 주탁겸선찬행주차비 | 전선 | 4 | ||
| 대치사차비 | 전언 | 2 | ||
| 배치사차비 | 2 | |||
| 이상 발 안에서 거행 |
| 饌床差備八 【洞庭月·竹葉·鶴仙·桃花·雪花·桂蟾·月仙·蘭喜】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찬상차비 | 2 | 도화, 월선 | ||
| 찬상차비 | 6 | 동정월, 죽엽, 학선, 설화, 계섬, 란희 | ||
| 8 |
만경전진찬시 종친·의빈·척신·진찬소 당낭 시위 및 각 차비
| 宗親·儀賓·戚臣·進饌堂郞 引接二 【月仙·竹葉】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인접 | 2 | 월선, 죽엽 | ||
| 외창 | 2 | 혜옥, 부용 | ||
| 반화차비 | 2 | 혜옥, 부용 | ||
| 대치사차비 | 2 | 화선, 소월 | ||
| 배치사차비 | 1 | 동정월 | ||
| 주탁겸행주차비 | 4 | 동정월, 죽엽, 월선, 학선 |
☞'여령 각 차비'의 인물별 역할을 표로 정리했다.
☞만경전진찬에서 정재여령 역할을 겸한 인물은 노란색으로 표시.
| 이름 | 역할 |
|---|---|
| 동정월 | 배치사차비, 주탁겸행주차비 |
| 죽엽 |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
| 학선 | 주탁겸행주차비 |
| 부용 | 외창, 반화차비 |
| 소월 | 대치사차비 |
| 월선 |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
| 혜옥 | 외창, 반화차비 |
| 화선 | 대치사차비 |
참고자료
- 원문 이미지 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4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