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현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같은 사용자에 의한 6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lickable button|[[2021년도 1학기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수업노트(김현승):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lickable button|[[2021년도 1학기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수업노트(김현승):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clickable button| [[정해년진찬 icon]] }}
  
<center><font size="6">궁중연향의 화려한 복식</font></center><br/>
+
<center><font size="6">궁중연향의 화려한 복식</font><br/> <font size="5">정해년 진찬 참여자 복식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font></center><br/>
  
 
<p style="text-align:right">
 
<p style="text-align:right">
8번째 줄: 9번째 줄:
 
</p>
 
</p>
  
=='''큐레이션 내용'''==
+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 잔치였던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인원과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그 옆에서 일손을 도운 궁인 및 차비, 음악을 연주한 악공, 정재무를 췄던 여령 등이 참여했다. <br/>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366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 잔치였던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인원과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그 옆에서 일손을 도운 궁인 및 차비, 음악을 연주한 악공, 정재무를 췄던 여령 등이 참여했습니다. 이 행사는 병풍으로 제작하여 전해지고 있어 이를 통해 연향에 어떤 기물이 사용되었고 행해진 정재가 어떤 모습이었는지 참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궁중기록화의 특성상 왕실인원과 내빈의 모습은 생략되고 그들의 자리만 표시되어 있어 그 모습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번 큐레이션에서는 정해년 진찬이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내진찬이었던 만큼 왕실인원의 복장과 여성의 복식을 중심으로 의궤, 반차도, 병풍, 유물 등의 자료를 소개하려 합니다. 이를 통해서 조선후기 화려했던 궁중연향의 모습이 좀 더 입체적으로 보여질 수 있길 기대합니다.
+
이 행사는 진찬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진찬 이후 참여자들에게 내린 상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은 의궤와 진찬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린 병풍이 전해지고 있다.<br/>
 +
의궤와 병풍의 비교 분석을 통해 연향에 참여한 인물들의 모습과 행사에 사용된 기물, 행해진 정재 등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참고할 수 있다. 다만 왕실인원과 내·외빈의 복장은 '예복을 착용한다'든지 '흑단령을 착용한다'는 방식으로 간략히만 표현하거나 병풍 그림에서는 인물그림 자체를 생략함으로써 그들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왕실인원과 백관, 외명부의 복장을 규정하는 다른 문헌자료를 통해 그들의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다.<br/>
 +
본고에서는 정해진찬의궤에 기록된 의복 내용과 도식, 병풍의 그림 등과 왕실인원과 백관, 외명부의 복장 규정을 다루는 상방정례 등의 자료에서 복식 관련 내용의 조각들을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디지털 세계에서 재현하고자 한다. <br/>
 +
<br/>
  
===정해진찬의궤 복식 지식관계망 설계===
+
=='''정해년 진찬 복식 지식관계망'''==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복식.lst | direction=UD}}
+
*[[R1887.lst | Text-정해년진찬의궤]]
[[분류:Network Graph Script]]
+
*[[FR1887-03-04.lst | Context-정해년진찬의궤 3권 4장 의위]]
 +
*[[FR1887-03-07.lst | Context-정해년진찬의궤 3권 7장 공령]]
 +
*[[FR1887-03-08.lst | Context-정해년진찬의궤 3권 8장 악기풍물]]
 +
*[[정해년진찬 복식 연습노트.lst | Semantic-정해년진찬 복식]]
  
 +
<html>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년진찬_복식-김현승.lst&direction=UD'">
 +
</html>
 +
{{NetworkGraph | title=정해년진찬_복식-김현승.lst | direction=UD}}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
===정해진찬의궤 지식관계망(복식, 의위)===
 
<html>
 
<html>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direction=UD'">  
+
<iframe width="96%" height="8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R1887Clothing&key=R1887"></iframe>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R1887Clothing&key=R1887'">  
 
</html>
 
</html>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 direction=UD}}
 
  
  
 +
===정해진찬의궤 복식 지식관계망 설계===
 
<html>
 
<html>
<iframe width="90%" height="7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정해진찬차비여령&key=정해년진찬"></iframe>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복식.lst&direction=UD'">  
<br/>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eung&project=정해진찬차비여령&key=정해년진찬'">  
+
 
</html>
 
</html>
 +
[[정해진찬의궤_복식.lst]]
 +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복식.lst | direction=UD}}
  
 
===온톨로지 설계 참고===
 
===온톨로지 설계 참고===
36번째 줄: 47번째 줄: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정해년진찬_복식'">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project=hanyang&key=정해년진찬_복식'">  
 
</html>
 
</html>
 +
 +
 +
===테스트===
 +
 +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
<html>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direction=UD'">
 +
</html>
 +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 direction=UD}}
  
 
=='''정해년 진찬 소개'''==
 
=='''정해년 진찬 소개'''==
86번째 줄: 107번째 줄: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정재 목록====
 
====정재 목록====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금척(金尺)
+
*금척(金尺)
**헌선도(獻仙桃)
+
*헌선도(獻仙桃)
**수연장(壽延長)
+
*수연장(壽延長)
**향령(響鈴)
+
*향령(響鈴)
**아박(牙拍)
+
*아박(牙拍)
**보상무(寶相舞)
+
*보상무(寶相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무산향(舞山香)
+
*무산향(舞山香)
**무고(舞皷)
+
*무고(舞皷)
**포구락(抛毬樂)
+
*포구락(抛毬樂)
**오양선(五羊仙)
+
*오양선(五羊仙)
**하황은(荷皇恩)
+
*하황은(荷皇恩)
**춘앵전(春鶯囀)
+
*춘앵전(春鶯囀)
**향발(響鈸)
+
*향발(響鈸)
**연화대무(蓮花臺舞)
+
*연화대무(蓮花臺舞)
**첨수무(尖袖舞)
+
*첨수무(尖袖舞)
**선유락(船遊樂)
+
*선유락(船遊樂)
**검기무(劍器舞)
+
*검기무(劍器舞)
**학무(鶴舞)
+
*학무(鶴舞)
  
 
===='향령'의 복식 관련 내용====
 
===='향령'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향령(響鈴)'''
 
*'''향령(響鈴)'''
125번째 줄: 146번째 줄:
 
===='아박'의 복식 관련 내용====
 
===='아박'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아박(牙拍)'''
 
*'''아박(牙拍)'''
135번째 줄: 156번째 줄:
 
===='가인전목단'의 복식 관련 내용====
 
===='가인전목단'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145번째 줄: 166번째 줄:
 
===='향발'의 복식 관련 내용====
 
===='향발'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향발(響鈸)'''
 
*'''향발(響鈸)'''
159번째 줄: 180번째 줄:
 
===='연화대무'의 복식 관련 내용====
 
===='연화대무'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연화대무(蓮花臺舞)'''
 
*'''연화대무(蓮花臺舞)'''
169번째 줄: 190번째 줄:
 
===='첨수무'의 복식 관련 내용====
 
===='첨수무'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첨수무(尖袖舞)'''
 
*'''첨수무(尖袖舞)'''
180번째 줄: 201번째 줄:
 
===='선유락'의 복식 관련 내용====
 
===='선유락'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선유락(船遊樂)'''
 
*'''선유락(船遊樂)'''
190번째 줄: 211번째 줄:
 
===='검기무'의 복식 관련 내용====
 
===='검기무'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검기무(劍器舞)'''
 
*'''검기무(劍器舞)'''
200번째 줄: 221번째 줄:
 
===='학무'의 복식 관련 내용====
 
===='학무'의 복식 관련 내용====
 
{{글상자
 
{{글상자
|color=#DCECEC
+
|color=#EBF7E6
 
|text=  
 
|text=  
 
*'''학무(鶴舞)'''
 
*'''학무(鶴舞)'''
356번째 줄: 377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5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5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今此進饌敎是時舞鼓女伶所著服飾當爲磨鍊<br/>
 
今此進饌敎是時舞鼓女伶所著服飾當爲磨鍊<br/>
386번째 줄: 407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今此進饌敎是時呈才女伶三十六名所著服飾當爲製造<br/>
 
今此進饌敎是時呈才女伶三十六名所著服飾當爲製造<br/>
452번째 줄: 473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呈才服飾當爲製造矣 所入物力磨鍊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br/>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呈才服飾當爲製造矣 所入物力磨鍊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br/>
506번째 줄: 527번째 줄:
 
|-
 
|-
 
|}
 
|}
 +
 +
<font color="red">☞위의 내용을 비교해보면, 병술 10월 28일에 서술한 정재여령 복식 값과 11월 초 3일에 서술한 선천여령 복식의 값이 심하게 차이난다.</font>
  
  
514번째 줄: 537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差僃服飾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上下何如稟事據依稟<br/>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差僃服飾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上下何如稟事據依稟<br/>
588번째 줄: 611번째 줄:
 
|-
 
|-
 
|}
 
|}
 +
 +
<font color="red">
 +
☞초록색 견마기 1건의 소요량은 6척, 값은 21냥이다.<br/>
 +
☞위의 자료에서 10월 28일에 서술한 정재여령의 정재복식 황색상의(4냥 2전 5푼) 보다 11월 초 3일 선천여령 견마기 값(겉감만 21냥)이 훨씬 비싸게 나타난다.
 +
</font>
  
  
593번째 줄: 621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今此進饌敎是時平壤童妓四名所著私服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br/>
 
今此進饌敎是時平壤童妓四名所著私服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br/>
618번째 줄: 646번째 줄:
  
 
腰及纓次洋木兩尺【每件五寸】價錢二兩【每尺一兩】<br/>
 
腰及纓次洋木兩尺【每件五寸】價錢二兩【每尺一兩】<br/>
허리마기와 끈은 양목 2척【매 건마다 5촌】 값 2냥【매 척마다 1냥】<br/>
+
허리말기와 끈은 양목 2척【매 건마다 5촌】 값 2냥【매 척마다 1냥】<br/>
  
 
廣袴八件【每名二件】綿紬九十六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十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br/>
 
廣袴八件【每名二件】綿紬九十六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十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br/>
739번째 줄: 767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4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4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右甘結今二十日本所始役時各處所女伶盡數待令于 右營新營是矣預先修成冊來納爲旀等待時各其掌 領付事【內醫院尙衣院工曹】<br/>
 
右甘結今二十日本所始役時各處所女伶盡數待令于 右營新營是矣預先修成冊來納爲旀等待時各其掌 領付事【內醫院尙衣院工曹】<br/>
756번째 줄: 784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3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3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右甘結今此進饌敎是時賜饌床擧行[https://hanja.dict.naver.com/word?q=床排軍 床排軍]各一百名及所靑衣靑巾各二百件…<br/>
 
右甘結今此進饌敎是時賜饌床擧行[https://hanja.dict.naver.com/word?q=床排軍 床排軍]各一百名及所靑衣靑巾各二百件…<br/>
774번째 줄: 802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綵花」 063a, b)
 
(『(丁亥)進饌儀軌』 卷2 「綵花」 063a, b)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권화 絲圈花] 四本 長一尺二寸 以銀爲[https://hanja.dict.naver.com/hanja?q=跗 跗] 各色[https://hanja.dict.naver.com/search?query=絨絲 絨絲][https://hanja.dict.naver.com/word?q=造花 造花][https://hanja.dict.naver.com/hanja?q=葉 葉]銀銅絲爲[https://hanja.dict.naver.com/hanja?q=匡 匡]<br/>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사권화 絲圈花] 四本 長一尺二寸 以銀爲[https://hanja.dict.naver.com/hanja?q=跗 跗] 各色[https://hanja.dict.naver.com/search?query=絨絲 絨絲][https://hanja.dict.naver.com/word?q=造花 造花][https://hanja.dict.naver.com/hanja?q=葉 葉]銀銅絲爲[https://hanja.dict.naver.com/hanja?q=匡 匡]<br/>
803번째 줄: 831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絲圈花銀簇四箇【合所入[https://hanja.dict.naver.com/word?q=天銀 天銀]二兩及[https://hanja.dict.naver.com/word?q=匠料 匠料]竝錢一百二十兩】<br/>
 
絲圈花銀簇四箇【合所入[https://hanja.dict.naver.com/word?q=天銀 天銀]二兩及[https://hanja.dict.naver.com/word?q=匠料 匠料]竝錢一百二十兩】<br/>
820번째 줄: 848번째 줄: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br/>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br/>
 
{{글상자
 
{{글상자
|color=#F6EEFC
+
|color=#FAF5EA
 
|text=
 
|text=
 
廚院熟設所所用 … 軍人所著靑衣靑巾各五十件【以上[https://hanja.dict.naver.com/word?q=濟用監 濟用監]用後[https://hanja.dict.naver.com/word?q=還下 還下]】…<br/>
 
廚院熟設所所用 … 軍人所著靑衣靑巾各五十件【以上[https://hanja.dict.naver.com/word?q=濟用監 濟用監]用後[https://hanja.dict.naver.com/word?q=還下 還下]】…<br/>
831번째 줄: 859번째 줄:
  
 
===권3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5.84.80.E8.A1.9B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권3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5.84.80.E8.A1.9B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內進饌時侍衛各差備<br/>
 +
【啓請前導尙宮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br/>
 +
戴於亐味, 著黑紗圓衫·三色緣廣袖·裏藍色裳·表藍紗裳·藍色金繡帶·紅色溫鞋;<br/>
 +
계청, 전도상궁과 도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은<br/>
 +
어유미를 하고, 삼색연의 넓은 소매인 흑사원삼, 안에 남색치마, 겉에 남사상(藍紗裳)을 입고,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br/>
 +
<br/>
 +
侍衛·贊請·承引·前引尙宮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各差僃女官,<br/>
 +
戴於亐味, 著草綠圓衫·三色緣廣袖·裏藍色裳·表紅紗裳·藍色金繡帶·紅色溫鞋;<br/>
 +
시위, 찬청, 승인, 전인상궁과 상식(尙食), 상식(尙飾),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은<br/>
 +
어유미를 하고, 삼색연의 넓은 소매인 초록색 원삼, 안에 남색치마, 겉에 홍사상(紅紗裳)을 입고,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br/>
 +
<br/>
 +
各差備女伶,<br/>
 +
戴花冠, 著黃綃單衫·裏藍色裳·表紅綃裳·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草綠鞋;<br/>
 +
각 차비여령은<br/>
 +
화관을 쓰고, 황초단삼, 안에 남색치마, 겉에 홍초상(紅綃裳)을 입고, 홍단금루수대를 두르고, 오색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br/>
 +
<br/>
 +
門外儀仗奉持婢子,<br/>
 +
戴加里麻, 著草綠丹衣·藍色裳·繫白紬汗衫·黑鞋】<br/>
 +
문 밖에서 의장을 드는 비자는<br/>
 +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당의), 남색치마를 입고, 백색 주로 만든 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br/>
 +
}}
  
內進饌時侍衛各差備
+
<font color="blue"><b>☞ 여관 직무에 따른 복장</b></font>
【啓請前導尙宮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 戴於亐味, 著黑紗圓衫•三色緣廣袖•裏藍色裳•表藍紗裳•藍色金繡帶•紅色溫鞋;
+
{| class="wikitable"
 +
! 직무 !! 복식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계청, 전도상궁, 도집사, 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 || style="background:lightblue" | 어유미, 흑원삼, 남색치마, 남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
 +
| style="background:#FFC5B0" | '''시위, 찬청승인, 전인상궁, 상식, 상사, 상찬,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 || style="background:#FFC5B0" | 어유미, 초록원삼, 남색치마, 홍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
 +
| style="background:#FFE697" | '''차비 여령''' || style="background:#FFE697" | 화관, 황초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
|-
 +
| style="background:#BCE8BA" | '''문외의장 봉지비자''' || style="background:#BCE8BA" | 가리마, 초록당의, 남색치마, 흰색한삼, 흑혜
 +
|}
  
侍衛•贊請•承引•前引尙宮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各差僃女官, 戴於亐味, 著草綠圓衫•三色緣廣袖•裏藍色裳•表紅紗裳•藍色金繡帶•紅色溫鞋;
+
=====만경전진찬 때 대왕대비전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大王大妃殿<br/>
 +
啓請尙儀一, <br/>
 +
左右贊禮尙官二, <br/>
 +
侍衛尙宮二, <br/>
 +
寶差備一, <br/>
 +
繖扇差備二, <br/>
 +
香串之差備二, <br/>
 +
爐烟升差備二, <br/>
 +
壽酒亭兼茶亭差備尙食一, <br/>
 +
進揮巾差備尙食一 【進匙楪兼行】<br/>
 +
進御饌差備尙食二, <br/>
 +
進壽爵差備尙食一, <br/>
 +
進茶差備尙食一 【進壽 爵差備兼】<br/>
 +
宣敎差備一 【啓請尙儀兼】<br/>
 +
賜酒差備尙食一, 都執事一, 副執事一 【宣敎差僃兼】<br/>
 +
司贊一 【都執事兼】<br/>
 +
典贊二, <br/>
 +
內賓頒花時唱名差備一, <br/>
 +
尙寢一<br/>
 +
致詞箋文凾奉入差備尙記一, <br/>
 +
以上女官各差備二十八人 【竝簾內擧行】<br/>
 +
이상 주렴 안에서<br/>
 +
<br/>
 +
<font color="blue"><b>
 +
☞주렴 안에서 활동하는 여관 차비를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各差備[女伶 , 戴花冠, 著黃綃單衫•裏藍色裳•表紅綃裳•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草綠鞋; 門外儀仗奉持婢子, 戴加里麻, 著草綠丹衣•藍色裳•繫白紬汗衫•黑鞋】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계청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의 || 1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좌우찬례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궁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시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
 +
| 보차비 ||  || 1 ||  ||
 +
|-
 +
| 산선차비 ||  || 2 ||  ||
 +
|-
 +
| 향꽂이차비 ||  || 2 ||  ||
 +
|-
 +
| 노연승차비 ||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수주정 겸 다정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휘건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진시접 겸행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어찬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수작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다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진수작차비를 겸함
 +
|-
 +
| 선교차비 ||  || 1 ||  || 계청상의 겸함
 +
|-
 +
| style="background:#FFC5B0" | 사주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도 || style="background:lightblue" | 집사 || 1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부 || style="background:lightblue" | 집사 || 1 ||  || 선교차비 겸함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사찬 || 1 ||  || 도집사 겸함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전찬 || 2 ||  ||
 +
|-
 +
| 내빈반화때 창명차비 ||  || 1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침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치사전문함봉입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기 || 1 ||  ||
 +
|-
 +
| 총 ||  || 28 ||  || 이상 여관 각 차비 28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24 ||  || style="color:red" | ※ 3인의 겸행이 있음. 총 24인.
 +
|}
  
  
=====여관 직위에 따른 복장=====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奉揮巾差備一 【花仙】<br/>
 +
奉御饌差備二 【洞庭月•花仙•傳捧女官】<br/>
 +
外賓頒花時唱名差備二 【蕙玉•芙蓉】<br/>
 +
鳳扇差備二 【弄珠•小香】<br/>
 +
雀扇差備二 【月仙•琪月】<br/>
 +
紅蓋差備一 【雪花】<br/>
 +
靑蓋差備一 【鶴仙○婢子奉持傳捧女伶】<br/>
 +
以上女伶各差備十一名 【竝簾外擧行】<br/>
 +
이상 주렴 밖에서<br/>
 +
<br/>
 +
<font color="blue"><b>
 +
☞주렴 밖에서 활동하는 차비 여령을 아래에 표로 정리<br/>
 +
</b></font>
 +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 <br/>
 +
'''☞이를 통해 '만경전진찬' 때에 이들은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직위 !! 복식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계청, 전도상궁, 도집사, 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 || style="background:lightblue" | 어여머리, 흑사원삼, 남색치마, 남색웃치마,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 style="background:#FFE697" | 봉휘건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화선 ||
 
|-
 
|-
| style="background:#FFC5B0" | '''시위, 찬청승인, 전인상궁, 상식, 상사, 상찬,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 || style="background:#FFC5B0" | 어여머리, 초록원삼, 남색치마, 홍색웃치마,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
| style="background:#FFE697" | 봉어찬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동정월, 화선 || 전봉여관
 
|-
 
|-
| style="background:#FFE697" | '''차비 여령''' || style="background:#FFE697" | 화관, 황초삼, 남색치마, 홍색웃치마,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
| style="background:#FFE697" | 창명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혜옥, 부용 || 외빈 반화시
 
|-
 
|-
| style="background:#BCE8BA" | '''문외의장, 봉지비자''' || style="background:#BCE8BA" | 가리마, 초록당의, 남색치마, 흰색한삼, 흑혜
+
| style="background:#FFE697" | 풍선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롱주, 소향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작선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월선, 기월 ||
 +
|-
 +
| style="background:#FFE697" | 홍개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설화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청개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학선 || 婢子奉持傳捧女伶 비자가 전봉여령으로 봉지한다
 +
|-
 +
| 총 ||  || 11 ||  || 이상 여령 각 차비 11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10 ||  || style="color:red" | ※ 1인의 겸행이 있음. 총 10인.
 
|}
 
|}
  
=====만경전진찬 때 대왕대비전 시위 및 각 차비=====
+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陽繖差備一, <br/>
 +
金罐子差備二, <br/>
 +
銀罐子差備一, <br/>
 +
旄節差備一, <br/>
 +
旌差備一, <br/>
 +
以上婢子各差備十二名 【竝門外奉持】<br/>
 +
이상 문 밖에서<br/>
 +
<br/>
 +
旌節八, 龍扇二, 鳳扇二, 雀扇二, 尾扇二, 引人杖二, 蓋四 【竝簾外, 只插儀仗機, 而女伶不爲奉持】<br/>
 +
주렴 밖에 의장을 세워두고 여령이 들지 않는다.<br/>
 +
<br/>
 +
<font color="blue"><b>
 +
☞문 밖에서 활동하는 비자 차비를 아래에 표로 정리<br/>
 +
</b></font>
 +
}}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역할 !! 지위 !! 인원 !! 비고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계청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의 || 1 ||  
+
| style="background:#BCE8BA" | 양산차비 || style="background:#BCE8BA" | || 1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좌우찬례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궁 || 2 ||  
+
| style="background:#BCE8BA" | 금관자차비 || style="background:#BCE8BA" | || 2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시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style="background:#BCE8BA" | 은관자차비 || style="background:#BCE8BA" | || 1 ||  ||  
 
|-
 
|-
| style="background:#FFC5B0" | 보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1 ||  
+
| style="background:#BCE8BA" | 모절차비 || style="background:#BCE8BA" |  || 1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산선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2 ||  
+
| style="background:#BCE8BA" | 정차비 || style="background:#BCE8BA" |  || 1 ||  ||  
 
|-
 
|-
| style="background:#FFC5B0" | 향꽂이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2 ||  
+
| || || 6 || || 이상 비자 각 차비 12인. 모두 문 밖에서 봉지.
 
|-
 
|-
| style="background:#FFC5B0" | 노연승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2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12 ||  ||  
 +
|}
 +
 
 +
=====만경전진찬 때 대전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3.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br/>
 +
<br/>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大殿<br/>
 +
承導尙宮二, <br/>
 +
侍衛尙宮二, <br/>
 +
以上女官各差備四人 【竝簾內擧行】<br/>
 +
이상 여관 각 차비는 주렴 안에서 거행<br/>
 +
<br/>
 +
啓請差備一 【蓮心】<br/>
 +
前導差備二 【彩鳳·鳳心】<br/>
 +
侍衛六 【花香·姸紅·杏花·錦雲·仙喜·蘭香】<br/>
 +
繖扇差備二 【錦仙·春雲】<br/>
 +
日傘差僃一 【桃花】<br/>
 +
啓字差備一 【錦花】<br/>
 +
酒亭兼茶亭差備一 【錦喜進茶兼行】<br/>
 +
進揮巾兼進匙楪進花差備一 【蘭香侍衛兼行】<br/>
 +
奉御饌差僃二 【蓮心, 啓請兼行; 錦喜, 酒亭兼行】<br/>
 +
進御饌差備二 【仙喜·蘭香侍衛兼行】<br/>
 +
笏記差備二 【玉眞·明喜】<br/>
 +
東西唱二 【錦紅·貞喜】<br/>
 +
執事二 【明喜笏記兼行, 雲香】<br/>
 +
代致詞讀箋文差備一 【小月】<br/>
 +
展箋文差備二 【蓮心, 啓請兼行; 錦喜, 酒亭兼行】<br/>
 +
陪致詞箋文凾兼承敎差備一 【小月, 代致詞兼行】<br/>
 +
以上女伶各差備二十九名 【竝簾外擧行】<br/>
 +
이상 여령 각 차비는 주렴 밖에서 거행<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의 표로 정리<br/>
 +
</b></font>
 +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br/>
 +
'''☞이를 통해 '만경전진찬' 때에 이들은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style="background:#FFC5B0" | 수주정 겸 다정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style="background:#FFC5B0" | 승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휘건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시접을 올리는 것을 겸행
+
| style="background:#FFC5B0" | 시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어찬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2 ||  
+
| style="background:#FFE697" | 계청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연심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수작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style="background:#FFE697" | 전도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채봉, 봉심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다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진수작차비를 겸함
+
| style="background:#FFE697" | 시위 || style="background:#FFE697" | || 6 || 화향, 연홍, 행화, 금운, 선희, 난향 ||  
 
|-
 
|-
| style="background:#FFC5B0" | 선교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1 || 계청상의 겸함
+
| style="background:#FFE697" | 산선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금선, 춘운 ||  
 
|-
 
|-
| style="background:#FFC5B0" | 사주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style="background:#FFE697" | 일산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도화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집사 || 1 ||  
+
| style="background:#FFE697" | 계자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금화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집사 || 1 || 선교차비 겸함
+
| style="background:#FFE697" | 주정겸다정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금희 || 금희가 진다를 겸행.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사찬 || 1 || 도집사 겸함
+
| style="background:#FFE697" | 진휘건겸진시접진화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난향 || 난향이 시위를 겸행.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전찬 || 2 ||  
+
| style="background:#FFE697" | 봉어찬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연심, 금희 || 연심이 계청 겸행. 금희가 주정 겸행.
 
|-
 
|-
| style="background:#FFC5B0" | 내빈반화때 창명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1 ||  
+
| style="background:#FFE697" | 진어찬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선희, 난향 || 선희, 난향이 시위 겸행.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침 || 1 ||  
+
| style="background:#FFE697" | 홀기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옥진, 명희 ||  
 
|-
 
|-
| style="background:#FFC5B0" | 치사전문함봉입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기 || 1 ||  
+
| style="background:#FFE697" | 동서창 || style="background:#FFE697" | || 2 || 금홍, 정희 ||  
 
|-
 
|-
|  ||  || 총 28 || 이상 여관 각 차비 28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br/> <font color="blue">역할을 겸하더라도 동일인물을 뜻하는 것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font>
+
| style="background:#FFE697" | 집사 || style="background:#FFE697" |  || 2 || 명희, 운향 || 명희가 홀기를 겸행.
 +
|-
 +
| style="background:#FFE697" | 대치사독전문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소월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전전문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연심, 금희 || 연심은 계청 겸행. 금희는 주정 겸행.
 +
|-
 +
|style="background:#FFE697" |  배치사전문함겸승교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소월 || 소월이 대치사를 겸행.
 +
|-
 +
| 총 ||  || 29 ||  || 이상 여령 각 차비 29명. 모두 발 밖에서 거행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24 ||  || style="color:red" | ※ 겸행이 있음. 총 24인.
 +
|}
 +
 
 +
 
 +
<font color="blue">
 +
☞만경전진찬 때 대전의 '시위 각 차비' 중에 주렴 밖에서 활동한 인물을 중심으로 직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font>
 +
{| class="wikitable"
 +
! 이름 !! 직무
 +
|-
 +
| 금선 || 산선차비
 +
|-
 +
| 금운 || 시위
 +
|-
 +
| 금홍 || 동서창
 +
|-
 +
| 금화 || 계자치비
 +
|-
 +
| 금희 || 주정겸다정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
|-
 +
| 난향 || 시위,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진어찬차비
 +
|-
 +
| 도화 || 일산차비
 +
|-
 +
| 명희 || 홀기차비, 집사
 +
|-
 +
| 봉심 || 전도차비
 +
|-
 +
| 선희 || 시위, 진어찬차비
 +
|-
 +
| 소월 || 대치사독전문차비, 배치사전문함 겸 승교차비
 +
|-
 +
| 연심 || 계청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
|-
 +
| 연홍 || 시위
 +
|-
 +
| 옥진 || 홀기차비
 +
|-
 +
| 운향 || 집사
 +
|-
 +
| 정희 || 동서창
 +
|-
 +
| 채봉 || 전도차비
 +
|-
 +
| 춘운 || 산선차비
 +
|-
 +
| 행화 || 시위
 +
|-
 +
| 화향 || 시위
 +
|}
 +
 
 +
=====만경전진찬 때 중궁전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中宮殿<br/>
 +
啓請尙宮一, <br/>
 +
前導尙宮二, <br/>
 +
侍衛尙宮二, <br/>
 +
繖扇差備二, <br/>
 +
陽繖差備一, <br/>
 +
酒亭兼茶亭差備尙食一, <br/>
 +
進御饌差備尙食二, <br/>
 +
進花差備尙飾一, <br/>
 +
進揮巾差備尙食一 【進花差備兼】<br/>
 +
進茶差備尙食一 【進匙楪兼行】<br/>
 +
代致詞差備典言一, <br/>
 +
承敎差備一 【啓請尙宮兼】<br/>
 +
以上女官各差備十六人 【竝簾內擧行】<br/>
 +
이상 모두 주렴 안에서 거행<br/>
 +
<br/>
 +
<font color="blue"><b>
 +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계청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궁 || 1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전도 || style="background:lightblue" | 상궁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시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
 +
| 산선차비 ||  || 2 ||  ||
 +
|-
 +
| 양산차비 ||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주정겸다정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어찬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화찬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휘건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진화차비'''가 겸함.
 +
|-
 +
| style="background:#FFC5B0" | 진다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상식 || 1 ||  || 진시접을 겸함.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대치사차비 || style="background:lightblue" | 전언 || 1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승교차비 || style="background:lightblue" |  || 1 ||  || '''계청상궁'''이 겸함.
 +
|-
 +
| 총 ||  || 16 ||  || 이상 여관 각 차비 16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14 ||  || style="color:red" | ※ 겸행이 있음. 총 14인.
 +
|}
 +
 
 +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奉御饌差備二 【竹葉•雪花, 簾外擧行】<br/>
 +
주렴 밖에서 거행<br/>
 +
<br/>
 +
<br/>
 +
<font color="blue"><b>
 +
☞죽엽과 설화는 왕실인원과 내외빈의 차비 역할을 하였다.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BCE8BA" | 봉어찬차비 || style="background:#BCE8BA" |  || 2 || 죽엽, 설화 || 발 밖에서 거행.
 +
|}
 +
 
 +
=====만경전진찬 때 세자궁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3.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5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世子宮承導尙宮二, 陪衛尙宮二, 以上女官各差備四人【竝簾內擧行】<br/>
 +
<br/>
 +
이상 모두 주렴 안에서 거행<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FFC5B0" | 승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배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贊請差備一【映珠】<br/>
 +
前導差備二【蓮心·小濤】<br/>
 +
陪衛六【瓊玉·玉香·杏花·彩雲·玉桂·花容】<br/>
 +
繖扇差備二【桂蟾·鶴喜】<br/>
 +
日傘差備一【蘭喜】<br/>
 +
達字差備一【彩喜】<br/>
 +
酒亭兼茶亭差備一【山紅, 進茶兼行】<br/>
 +
進揮巾兼·進匙楪·進花差備一【花容, 陪衛兼行】<br/>
 +
奉睿饌差備二【映珠, 贊請兼行; 山紅, 酒亭兼行】<br/>
 +
進睿饌差備二【彩雲·花容, 陪衛兼行】<br/>
 +
代致詞·讀箋文差備一【花仙】<br/>
 +
殿箋文差僃二【映珠, 贊請兼行; 山紅, 酒亭兼行】<br/>
 +
陪致詞·箋文凾兼承令差備一【花仙, 代致詞兼行】<br/>
 +
以上女伶各差備二十三名 【竝簾外擧行】<br/>
 +
<br/>
 +
이상 모두 주렴 밖에서 거행<br/>
 +
<br/>
 +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br/>
 +
'''☞이 중에서 '만경전진찬' 때에 계선과 란희는 정재를 올리지 않았고, 나머지는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했다.'''<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FFE697" | 찬청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영주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전도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연심, 소도 ||
 +
|-
 +
| style="background:#FFE697" | 배위 || style="background:#FFE697" |  || 6 || 경옥, 옥향, 행화, 채운, 옥계, 화용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산선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학희 ||
 +
|-
 +
| 산선차비 ||  || 1 || 계섬 ||
 +
|-
 +
| 일산차비 ||  || 1 || 란희 ||
 +
|-
 +
| style="background:#FFE697" | 달자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채희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주정겸다정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산홍 || 진다를 겸행
 +
|-
 +
| style="background:#FFE697" |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화용 || 배위를 겸행
 +
|-
 +
| style="background:#FFE697" | 봉예찬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영주, 산홍 ||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
|-
 +
| style="background:#FFE697" | 진예찬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채운, 화용 || 배위를 겸행
 +
|-
 +
| style="background:#FFE697" | 대치사독전문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화선 ||
 +
|-
 +
| style="background:#FFE697" | 전전문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영주, 산홍 ||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
|-
 +
| style="background:#FFE697" | 배치사전문함 겸 승령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화선 || 대치사 겸행
 +
|-
 +
| 총 ||  || 23 ||  || 이상 여령 각 차비 23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15 ||  || style="color:red" | ※ 겸행 있음. 총 15인
 +
|}
 +
 
 +
=====만경전진찬 때 세자빈궁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4.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5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世子嬪宮<br/>
 +
贊請尙宮一, <br/>
 +
前引尙宮二, <br/>
 +
陪衛尙宮二, <br/>
 +
繖扇差備二, <br/>
 +
酒亭兼茶亭差備一, <br/>
 +
進睿饌差備二, <br/>
 +
進花差僃一, <br/>
 +
進揮巾差備一【進花差備兼】<br/>
 +
進茶差備一 【進匙楪兼行】<br/>
 +
代致詞差備一, <br/>
 +
承令差備一 【贊請尙宮兼】<br/>
 +
以上女官各差備十五人 【竝簾內擧行】<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FFC5B0" | 찬청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전인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배위 || style="background:#FFC5B0" | 상궁 || 2 ||  ||
 +
|-
 +
| 산선차비 ||  || 2 ||  ||
 +
|-
 +
| 주정겸 다정차비 ||  || 1 ||  ||
 +
|-
 +
| 진예찬차비 ||  || 2 ||  ||
 +
|-
 +
| 진화차비 ||  || 1 ||  ||
 +
|-
 +
| 진휘건차비 ||  || 1 ||  || 진화차비 겸행
 +
|-
 +
| 진다차비 ||  || 1 ||  || 진시접 겸행
 +
|-
 +
| 대치사차비 ||  || 1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승령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 1 ||  || '''찬청상궁''' 겸행
 +
|-
 +
| 총 ||  || 15 ||  || 이상 15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13 ||  || style="color:red" | ※ 겸행 있음. 총 13인
 +
|}
 +
 
 +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奉睿饌差備二 【鶴仙•月仙, 簾外擧行】<br/>
 +
<br/>
 +
<font color="blue"><b>
 +
☞월선은 정재여령도 겸하였다.<br/>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FFE697" | 봉예찬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1 || 월선 ||
 +
|-
 +
| 봉예찬차비 ||  || 1 || 학선 ||
 +
|-
 +
| 총 ||  || 2 ||  || 발 밖에서 거행
 +
|}
 +
 
 +
=====만경전진찬 때 좌우명부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6ab 의위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6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左右命婦<br/>
 +
典賓二, <br/>
 +
頒花差備典飾二, <br/>
 +
酒卓兼宣饌·行酒差備典膳四, <br/>
 +
代致詞差備·典言二, <br/>
 +
陪致詞差備二, <br/>
 +
以上女官各差備十二人 【竝簾內擧行】<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FFC5B0" | 전빈 || style="background:#FFC5B0" |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반화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전식 || 2 ||  ||
 +
|-
 +
| style="background:#FFC5B0" | 주탁겸선찬행주차비 || style="background:#FFC5B0" | 전선 || 4 ||  ||
 +
|-
 +
| style="background:lightblue" | 대치사차비 || style="background:lightblue" | 전언 || 2 ||  ||
 +
|-
 +
| 배치사차비 ||  || 2 ||  ||
 +
|-
 +
|  ||  || 12 ||  || 이상 12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
|}
 +
 
 +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饌床差備八 【洞庭月·竹葉·鶴仙·桃花·雪花·桂蟾·月仙·蘭喜】<br/>
 +
<br/>
 +
<font color="blue"><b>
 +
☞도화, 월선은 정재여령도 겸하였다.<br/>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style="background:#FFE697" | 찬상차비 || style="background:#FFE697" |  || 2 || 도화, 월선 ||
 +
|-
 +
| 찬상차비 ||  || 6 || 동정월, 죽엽, 학선, 설화, 계섬, 란희 ||
 +
|-
 +
|  ||  || 8 ||  ||
 +
|}
 +
 
 +
=====만경전진찬 때 종친·의빈·척신·진찬소 당낭 시위 및 각 차비=====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16ab 의위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6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宗親·儀賓·戚臣·進饌堂郞<br/>
 +
引接二 【月仙·竹葉】<br/>
 +
外唱二 【蕙玉·芙蓉】<br/>
 +
頒花差備二 【蕙玉·芙蓉】<br/>
 +
代致詞差僃二 【花仙·小月】<br/>
 +
陪致詞差備一 【洞庭月】<br/>
 +
酒卓兼行酒差備四 【洞庭月·竹葉·月仙·鶴仙】<br/>
 +
以上女伶各差備十三名<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역할 !! 직위 !! 인원 !! 인명 !! 비고
 +
|-
 +
| 인접 ||  || 2 || 월선, 죽엽 ||
 +
|-
 +
| 외창 ||  || 2 || 혜옥, 부용 ||
 +
|-
 +
| 반화차비 ||  || 2 || 혜옥, 부용 ||
 +
|-
 +
| 대치사차비 ||  || 2 || 화선, 소월 ||
 +
|-
 +
| 배치사차비 ||  || 1 || 동정월 ||
 +
|-
 +
| 주탁겸행주차비 ||  || 4 || 동정월, 죽엽, 월선, 학선 ||
 +
|-
 +
| 총 ||  || 13 ||  || 이상 여령 각 차비 13인
 +
|-
 +
| style="color:red" | 총 ||  || style="color:red" | 8 ||  || style="color:red" | ※ 겸행 있음. 총 8인
 +
|}
 +
 
 +
 
 +
<font color="blue"><b>
 +
☞'여령 각 차비'의 인물별 역할을 표로 정리했다.<br/>
 +
☞만경전진찬에서 정재여령 역할을 겸한 인물은 노란색으로 표시.
 +
</b></font>
 +
{| class="wikitable"
 +
! 이름 !! 역할
 +
|-
 +
| 동정월 || 배치사차비, 주탁겸행주차비
 +
|-
 +
| 죽엽 ||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
|-
 +
| 학선 || 주탁겸행주차비
 +
|-
 +
| style="background:#FFE697" | 부용 || 외창, 반화차비
 +
|-
 +
| style="background:#FFE697" | 소월 || 대치사차비
 +
|-
 +
| style="background:#FFE697" | 월선 ||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
|-
 +
| style="background:#FFE697" | 혜옥 || 외창, 반화차비
 +
|-
 +
| style="background:#FFE697" | 화선 || 대치사차비
 
|}
 
|}
  
907번째 줄: 1,567번째 줄:
  
 
===권3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5.B7.A5.E4.BC.B6 공령(工伶)]'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권3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5.B7.A5.E4.BC.B6 공령(工伶)]'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進饌時, 軒架執事•樂師, 戴紗帽, 蓍黑團領, 隨品帶•黑靴;
 
執拍典樂, 戴冒羅幞頭[2], 著綠綃衫, 裏藍紬也帶•黑靴;
 
樂工戴畵花幞頭, 著紅紬衣•烏鞓帶;
 
殿上執事•樂師•執拍典樂•隊伍典樂•權著典樂•樂工服色, 竝同軒架樂師•典樂•樂工而樂工, 內著藍紬衣;
 
各舞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 裏藍色裳, 表紅綃裳•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草綠鞋;
 
響鈴舞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繫紅汗衫.
 
佳人剪牧丹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繫玉色汗衫,
 
舞山香呈才女伶, 戴花冠, 著藍紬內拱紅甲紗窄袖, 衣金訶子紅綃裳•綠甲紗掛子•擊五色汗衫•藍戰帶•眞紅緞鞋.
 
舞皷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又各著靑•赤•白柳綠掛子.
 
春鶯囀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紅綃裳•草綠霞帔紅緞金縷繡帶•繋五色汗衫•紅錦繡韝•眞紅緞鞋.
 
蓮花臺舞呈才童妓, 戴蛤笠, 懸銅鈴, 垂流蘇, 插黃紅薔薇花, 著草綠丹衣•紅綃襪裙•紅羅裳, 金花紅羅帶•繫玉色汗衫•眞紅緞鞋.
 
尖袖舞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又繫紅緞尖袖.
 
船遊樂執事女伶, 戴朱笠, 插虎鬚蜜花貝纓, 著藍紗天翼•眞紅廣帶, 佣筒箇具劍, 執朱漆藤鞭•黑緞水靴.
 
童妓, 戴花冠, 著草綠甲紗唐衣•紅紗裳•紅紬襪裙•紅緞繡帶•紅緞繡草鞋.
 
劍器舞呈才女伶, 戴戰笠, 著紅綃裳, 鴉靑甲紗掛子•藍戰帶•草綠鞋•鶴舞呈才舞童, 著靑黃袴襪】
 
  
 +
====진찬시 악사와 악공의 복장====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22ab 공령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022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進饌時, <br/>
 +
軒架執事樂師, 戴紗帽, 蓍黑團領, 隨品帶, 黑靴, <br/>
 +
헌가집사악사, 사모, 흑단령, 품대, 흑화<br/>
 +
<br/>
 +
執拍典樂, 戴冒羅幞頭, 著綠綃衫, 裏藍紬, 也帶, 黑靴,<br/>
 +
집박전악, 모라복두, 녹초삼, 안 남색 주, 야대, 흑화<br/>
 +
<br/>
 +
樂工, 戴畵花幞頭, 著紅紬衣, 烏鞓帶, <br/>
 +
악공, 화화복두, 홍주의, 오정대<br/>
 +
<br/>
 +
殿上執事樂師, 執拍典樂, 隊伍典樂, 權著典樂, 樂工服色, 竝同軒架樂師, 典樂樂工而樂工, 內著藍紬衣, <br/>
 +
전상집사전악, 집박전악, 대오전악, 권저전악, 악공의 복색은 모두 헌가악사, 전악, 악공과 같은데, 악공은 안에 남색주를 입는다.<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구분 !! 인물 !! 쓰개 !! 옷 !! 허리띠 !! 신발
 +
|-
 +
| 헌가 || 집사악사 || 사모 || 흑단령 || 품대 || 흑화
 +
|-
 +
| 헌가 || 집박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
 +
| 헌가 || 악공 || 화화복두 || 홍주의 || 오정대 || 흑화
 +
|-
 +
| 전상 || 집사악사 || 사모 || 흑단령 || 품대 || 흑화
 +
|-
 +
| 전상 || 집박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
 +
| 전상 || 대오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
 +
| 전상 || 권저전악 || 모라복두 || 녹초삼(안 남색주) || 야대 || 흑화
 +
|-
 +
| 전상 || 악공 || 화화복두 || 홍주의(안 남색주) || 오정대 || 흑화
 +
|}
 +
 +
====진찬시 정재여령, 동기, 무동의 복장====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22ab 공령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022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各舞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 裏藍色裳, 表紅綃裳, 紅緞金縷繡帶, 繫五色汗衫, 草綠鞋, <br/>
 +
각 무 정재여령, 화관, 황초단삼, 안 남색상, 겉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br/>
 +
<br/>
 +
響鈴舞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繫紅汗衫, <br/>
 +
향령무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홍색한삼을 맨다.<br/>
 +
<br/>
 +
佳人剪牧丹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繫玉色汗衫,<br/>
 +
가인전목단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옥색한삼을 맨다.<br/>
 +
<br/>
 +
舞山香呈才女伶, 戴花冠, 著藍紬內拱紅甲紗窄袖衣, 金訶子, 紅綃裳, 綠甲紗掛子, 擊五色汗衫, 藍戰帶, 眞紅緞鞋, <br/>
 +
무산향 정재여령, 화관, 남색주 내공 홍색갑사 착수의, 금가자, 홍초상, 녹갑사쾌자, 오색한삼, 남색전대, 진홍단혜 <br/>
 +
<br/>
 +
舞皷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又各著靑·赤·白·柳綠掛子, <br/>
 +
무고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각자 청색·적색·백색·유록색쾌자를 입는다.<br/>
 +
<br/>
 +
春鶯囀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 紅綃裳, 草綠霞帔, 紅緞金縷繡帶, 繋五色汗衫, 紅錦繡韝, 眞紅緞鞋, <br/>
 +
춘앵전 정재여령, 화관, 황초단삼, 홍초상, 초록하피,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홍금수구, 진홍단혜 <br/>
 +
<br/>
 +
蓮花臺舞呈才童妓, 戴蛤笠, 懸銅鈴, 垂流蘇, 插黃紅薔薇花, 著草綠丹衣, 紅綃襪裙, 紅羅裳, 金花紅羅帶, 繫玉色汗衫, 眞紅緞鞋.<br/>
 +
연화대무 정재동기, 합립을 쓰고, 동령(동으로 만든 방울)을 달고, 유소를 드리우며, 황색·홍색 장미를 꽂는다. 초록단의, 홍색말군, 홍라상, 금화홍라대, 옥색한삼, 진홍단혜 <br/>
 +
<br/>
 +
尖袖舞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又繫紅緞尖袖, <br/>
 +
첨수무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홍단첨수를 맨다.<br/>
 +
<br/>
 +
船遊樂執事女伶, 戴朱笠, 插虎鬚, 蜜花, 貝纓, 著藍紗天翼, 眞紅廣帶, 佣筒箇具劍, 執朱漆藤鞭, 黑緞水靴, <br/>
 +
선유락 집사여령, 주립을 쓰고, [https://hanja.dict.naver.com/word?q=虎鬚 호수]를 꽂고, 밀화로 만든 갓끈을 단다. 남사철릭, 진홍광대, [https://hanja.dict.naver.com/word?q=筒箇 통개], 검, [https://hanja.dict.naver.com/word?q=朱漆 주칠][https://hanja.dict.naver.com/word?q=藤鞭 등편], 흑단수화자 <br/>
 +
<br/>
 +
童妓, 戴花冠, 著草綠甲紗唐衣, 紅紗裳, 紅紬襪裙, 紅緞繡帶, 紅緞繡草鞋 <br/>
 +
동기, 화관, 초록감사당의, 홍사상, 홍주[https://hanja.dict.naver.com/word?q=襪裙 말군], 홍단수대, 홍단수초혜<br/>
 +
<br/>
 +
劍器舞呈才女伶, 戴戰笠, 著紅綃裳, 鴉靑甲紗掛子, 藍戰帶, 草綠鞋, <br/>
 +
검기무 정재여령, 전립, 홍초상, 아청갑사쾌자, 남전대, 초록혜, <br/>
 +
<br/>
 +
鶴舞呈才舞童, 著靑黃袴襪】<br/>
 +
학무정재무동, 청색·황색 바지와 버선】<br/>
 +
<br/>
 +
<font color="blue"><b>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권1 '도식'과 권3 '악기풍물' 부분 함께 참고)
 +
</b></font>
 +
}}
 +
 +
{| class="wikitable"
 +
! 구분 !! 쓰개 !! 상의 !! 안치마 !! 겉치마 !! 허리띠 !! 신발 !! 기타
 +
|-
 +
| 기본 정재여령 복장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오색한삼
 +
|-
 +
| 향령무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홍색한삼
 +
|-
 +
| 가인전목단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옥색한삼
 +
|-
 +
| 무산향 || 화관-무산향 || 홍갑사착수의, <br/>녹갑사쾌자 || 남색치마 || 홍초상 || 남색전대 || 진홍단혜 || 오색한삼, <br/>금가자
 +
|-
 +
| 무고 || 화관-여령 || 황초단삼, <br/>청색·적색·백색·유록색쾌자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오색한삼
 +
|-
 +
| 춘앵전 || 화관-춘앵전 || 황초단삼-춘앵전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진홍단혜 || 오색한삼, <br/>홍금수구, <br/>초록하피
 +
|-
 +
| 첨수무 || 화관-여령 || 황초단삼 || 남색치마 || 홍초상 || 홍단금루수대 || 초록혜 || 오색한삼, <br/>홍단첨수
 +
|-
 +
| 검기무 || 산홍모전립 || 금화협수, <br/>아청색전복 || 남색치마 || 홍초상 || 남색전대 || 초록혜 || 무도(무용 검)
 +
|-
 +
| 선유락집사 || 주립<br/>(호수, 밀화갓끈) || 남사철릭 || 남색치마 || 홍초상 || 진홍광대 || 흑단수화자 || 통개, 검, <br/>주칠등편
 +
|-
 +
| 선유락동기 || 화관-선유락동기 || 초록갑사단의 || 홍주말군 || 홍사상 || 홍단수대 || 홍단수초혜<br/>(연화대무 동기와 같다) ||
 +
|-
 +
| 연화대무 동기 || 합립<br/>(동령, 유소, <br/>황색·홍색 장미) || 초록단의 || 홍색말군 || 홍라상 || 금화홍라대 || 홍단수초혜 || 옥색한삼
 +
|-
 +
| 학무 || 청학, 백학 || 학의 ||  ||  ||  || 학말(학 버선) || 청색·황색 바지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8.90.AC.E6.85.B6.E6.AE.BF.E9.80.B2.E9.A5.8C.E6.99.82.2C_.E6.AE.BF.E5.BA.AD.E8.BB.92.E6.9E.B6.E6.A8.82.E5.B7.A5.E2.80.A2.E5.85.A7.E5.90.B9.E5.8F.8A.E6.AE.BF.E4.B8.8A.E6.A8.82.E5.B7.A5.E2.80.A2.E5.91.88.E6.89.8D.E5.A5.B3.E4.BC.B6.E5.90.84.E5.B7.AE.E5.82.99 만경전진찬시 전상악차비 및 정재여령 각 차비]====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이름 !! 역할
 +
|-
 +
| 부용-芙蓉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
 +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
 +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
|-
 +
| 동정월-洞庭月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휘건 차비
 +
|-
 +
| 기월-琪月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작선 차비
 +
|-
 +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작선 차비
 +
|-
 +
| 부용-芙蓉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창명 차비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창명 차비
 +
|-
 +
| 학선-鶴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청개 차비
 +
|-
 +
| 롱주-弄珠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풍선 차비
 +
|-
 +
| 소향-小香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풍선 차비
 +
|-
 +
| 설화-雪花 ||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홍개 차비
 +
|-
 +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계자 차비
 +
|-
 +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계청 차비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대치사독전문 차비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동서창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동서창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배치사전문함겸승교 차비
 +
|-
 +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
 +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
 +
| 금선-錦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산선 차비
 +
|-
 +
| 춘운-春雲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산선 차비
 +
|-
 +
| 금운-錦雲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
 +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
 +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
 +
| 연홍-姸紅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일산 차비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도 차비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도 차비
 +
|-
 +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
 +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
 +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주정겸다정 차비
 +
|-
 +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어찬 차비
 +
|-
 +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어찬 차비
 +
|-
 +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휘건겸진시접진화 차비
 +
|-
 +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집사
 +
|-
 +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집사
 +
|-
 +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홀기 차비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홀기 차비
 +
|-
 +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금척 여령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족자 여령
 +
|-
 +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죽간자 여령
 +
|-
 +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죽간자 여령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황개 여령
 +
|-
 +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
 +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
 +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무산향 무 여령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보상무 봉필 여령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보상무 봉화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
|-
 +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
|-
 +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
|-
 +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거범 여령
 +
|-
 +
| 기월-琪月 || 만경전진찬 선유락 거정 여령
 +
|-
 +
| 경옥-瓊玉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금운-錦雲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금희-錦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부용-芙蓉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선희-仙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소도-小濤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연홍-姸紅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
|-
 +
| 금선-錦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
 +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
 +
| 옥계-玉桂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
 +
| 춘운-春雲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
 +
| 학희-鶴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
 +
| 향매-香梅 ||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
|-
 +
| 기월-琪月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노 여령
 +
|-
 +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노 여령
 +
|-
 +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사 여령
 +
|-
 +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사 여령
 +
|-
 +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달자 차비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대치사독전문 차비
 +
|-
 +
| 경옥-瓊玉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
 +
| 옥계-玉桂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
 +
| 옥향-玉香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
 +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
 +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치사전문함겸승령 차비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
 +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
 +
| 계섬-桂蟾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산선 차비
 +
|-
 +
| 학희-鶴喜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산선 차비
 +
|-
 +
| 란희-蘭喜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일산 차비
 +
|-
 +
| 소도-小濤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도 차비
 +
|-
 +
| 연심-蓮心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도 차비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
 +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전문 차비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주정겸다정 차비
 +
|-
 +
| 채운-彩雲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예찬 차비
 +
|-
 +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예찬 차비
 +
|-
 +
| 화용-花容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휘건겸진시접진화 차비
 +
|-
 +
| 영주-映珠 ||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찬청 차비
 +
|-
 +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세자빈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
 +
| 학선-鶴仙 || 만경전진찬 세자빈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수연장 봉죽간자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수연장 봉죽간자 여령
 +
|-
 +
| 명희-明喜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아박 우무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아박 우무 여령
 +
|-
 +
| 난향-蘭香 || 만경전진찬 아박 좌무 여령
 +
|-
 +
| 소도-小濤 || 만경전진찬 아박 좌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봉죽간자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봉죽간자 여령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선모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우무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우무 여령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좌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좌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봉죽간자 여령
 +
|-
 +
| 행화-杏花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봉죽간자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선모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우무 여령
 +
|-
 +
| 혜옥-蕙玉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우무 여령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좌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좌무 여령
 +
|-
 +
| 향매-香梅 || 만경전진찬 전상 거휘 차비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전상 선창악장 차비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전상 선창악장 차비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전상 어혁장 차비
 +
|-
 +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전상 어혁장 차비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전상 집박 차비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전상 후창악장 차비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전상 후창악장 차비
 +
|-
 +
| 소월-小月 || 외빈 대치사 차비
 +
|-
 +
| 화선-花仙 || 외빈 대치사 차비
 +
|-
 +
| 부용-芙蓉 || 외빈 반화 차비
 +
|-
 +
| 혜옥-蕙玉 || 외빈 반화 차비
 +
|-
 +
| 동정월-洞庭月 || 외빈 배치사 차비
 +
|-
 +
| 부용-芙蓉 || 외빈 외창
 +
|-
 +
| 혜옥-蕙玉 || 외빈 외창
 +
|-
 +
| 월선-月仙 || 외빈 인접
 +
|-
 +
| 죽엽-竹葉 || 외빈 인접
 +
|-
 +
| 동정월-洞庭月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
 +
| 월선-月仙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
 +
| 죽엽-竹葉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
 +
| 학선-鶴仙 ||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
|-
 +
| 계섬-桂蟾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동정월-洞庭月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란희-蘭喜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설화-雪花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월선-月仙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죽엽-竹葉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학선-鶴仙 ||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
|-
 +
| 설화-雪花 || 만경전진찬 중궁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
 +
| 죽엽-竹葉 || 만경전진찬 중궁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
|-
 +
| 채봉-彩鳳 || 만경전진찬 첨수무 우무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첨수무 우무 여령
 +
|-
 +
| 금홍-錦紅 || 만경전진찬 첨수무 좌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첨수무 좌무 여령
 +
|-
 +
| 정희-貞喜 || 만경전진찬 향령무 우무 여령
 +
|-
 +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향령무 우무 여령
 +
|-
 +
| 운향-雲香 || 만경전진찬 향령무 전무 여령
 +
|-
 +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향령무 좌무 여령
 +
|-
 +
| 소월-小月 || 만경전진찬 향령무 좌무 여령
 +
|-
 +
| 산홍-山紅 || 만경전진찬 향령무 후무 여령
 +
|-
 +
| 연화-蓮花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반 여령
 +
|-
 +
| 금화-錦花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죽간자 여령
 +
|-
 +
| 채희-彩喜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죽간자 여령
 +
|-
 +
| 봉심-鳳心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탁 여령
 +
|-
 +
| 화향-花香 ||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탁 여령
 +
|-
 +
| 도화-桃花 || 만경전진찬 헌선도 선모 여령
 +
|-
 +
| 화선-花仙 || 만경전진찬 헌선도 우무 여령
 +
|-
 +
| 옥진-玉眞 || 만경전진찬 헌선도 좌무 여령
 +
|}
 +
 +
 +
<br/>
 +
萬慶殿進饌時, 殿庭軒架樂工·內吹及殿上樂工·呈才女伶各差備<br/>
 +
殿上…<br/>
 +
擧麾差備一 【香梅】<br/>
 +
執拍差備一 【桃花】<br/>
 +
於赫章差備二 【雲香·小月】<br/>
 +
先唱樂章差備二 【小月·山紅】<br/>
 +
後唱樂章差備二 【小月·山紅】<br/>
 +
○長生寶宴之舞呈才女伶奉竹竿子二 【蓮花·杏花】<br/>
 +
左舞二 【玉眞·桃花】<br/>
 +
右舞二 【蕙玉·山紅】<br/>
 +
仙母一 【錦紅】<br/>
 +
○夢金尺呈才女伶奉竹竿子二 【錦花·彩喜】<br/>
 +
左舞六 【錦紅·玉眞·蕙玉·桃花·彩鳳·玉香】<br/>
 +
右舞六 【明喜·花仙·小月·山紅·貞喜·蓮花】<br/>
 +
奉簇子一 【花香】<br/>
 +
奉金尺一 【雲香】<br/>
 +
奉黃蓋一 【鳳心】<br/>
 +
○獻仙桃呈才女伶奉竹竿子二 【錦花·彩喜】<br/>
 +
左舞一 【玉眞】<br/>
 +
右舞一 【花仙】<br/>
 +
仙母一 【桃花】<br/>
 +
奉卓二 【鳳心·花香】<br/>
 +
奉盤一 【蓮花】<br/>
 +
○壽延長呈才女伶奉竹竿子二 【蓮花·杏花】<br/>
 +
左舞四 【錦紅·玉眞·蕙玉·山紅】<br/>
 +
右舞四 【明喜·貞喜·小月·花仙】<br/>
 +
○響鈴舞呈才女伶前舞一 【雲香】<br/>
 +
後舞一 【山紅】<br/>
 +
左舞二 【小月·錦花】<br/>
 +
右舞二 【貞喜·彩喜】<br/>
 +
○牙拍呈才女伶左舞二 【小濤·蘭香】<br/>
 +
右舞二 【蓮花·杏花】<br/>
 +
○寶相舞呈才女伶左舞三 【彩鳳·山紅·錦花】<br/>
 +
右舞三 【貞喜·花仙·彩喜】<br/>
 +
奉花一 【花香】<br/>
 +
奉筆一 【鳳心】<br/>
 +
○佳人剪牡丹呈才女伶左舞六 【小月·桃花·貞喜·仙喜·鳳心·彩雲】<br/>
 +
右舞六 【蕙玉·彩鳳·花香·芙蓉·杏花·蓮花】<br/>
 +
○演百福之舞呈才女伶奉竹竿子二 【蓮花·杏花】<br/>
 +
左舞二 【花仙·小月】<br/>
 +
右舞二 【貞喜·山紅】<br/>
 +
仙母一 【蕙玉】<br/>
 +
○尖袖舞呈才女伶左舞二 【錦紅·玉眞】<br/>
 +
右舞二 【花仙·彩鳳】<br/>
 +
○舞山香呈才女伶舞一 【錦紅】<br/>
 +
○船遊樂呈才女伶執事二 【雲香·明喜】<br/>
 +
執櫓二 【月仙·琪月】<br/>
 +
擧帆一 【月仙】<br/>
 +
擧碇一 【琪月】<br/>
 +
曳船六 【錦仙·映珠·玉桂·香梅·春雲·鶴喜】<br/>
 +
舞二十八 【錦紅·玉眞·花仙·蕙玉·小月·錦花·桃花·山紅·彩鳳·貞喜·彩喜·玉香·蓮花·花香·鳳心·姸紅·杏花·小濤·錦雲·芙蓉·蘭香·錦喜·瓊玉·杏花·仙喜·蓮心·彩雲·花容】<br/>
 +
○舞鼓呈才女伶元舞四 【錦紅·玉眞·彩鳳·花仙】<br/>
 +
挾舞四 【花香·鳳心·蓮花·玉香】<br/>
  
 
===권3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6.A8.82.E5.99.A8.E9.A2.A8.E7.89.A9 악기풍물(樂器風物)]'에 쓰여진 복식의 소요량===
 
===권3 '[http://dh.aks.ac.kr/Edu/wiki/index.php/고종정해진찬의궤_권삼#.E6.A8.82.E5.99.A8.E9.A2.A8.E7.89.A9 악기풍물(樂器風物)]'에 쓰여진 복식의 소요량===
佳人剪牧丹差備所著汗衫八件所入 玉色禾紬三十六尺貿用牧丹花 一百枝一朶 貿用木樽一坐 前排仍用 ○實入玉色禾紬三十六 尺價錢一百二十六兩 每尺三兩五錢牧丹花一百枝一朶價錢一 百兩以上折錢二百二十六兩
 
  
 +
====향발, 향령, 청학, 황학====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1ab 악기풍물.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1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響鈸四雙【前排仍用】<br/>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정해진찬의궤_데이터_아카이브_편찬_계획-김현승#.27.ED.96.A5.EB.B0.9C.27.EC.9D.98_.EB.B3.B5.EC.8B.9D_.EA.B4.80.EB.A0.A8_.EB.82.B4.EC.9A.A9 향발] 4쌍【이전에 쓰던 것을 그대로 쓴다】<br/>
 +
<br/>
 +
流蘇八件所入【五色眞絲十二[https://hanja.dict.naver.com/word?q=兩重 兩重][https://hanja.dict.naver.com/word?q=貿用 貿用]】<br/>
 +
[https://hanja.dict.naver.com/word?q=流蘇 유소] 8건 소입【오색진사 12냥중을 사서 쓴다.】<br/>
 +
<br/>
 +
○實入五色眞絲十二兩重價錢七十二兩【每兩重六兩】<br/>
 +
[https://hanja.dict.naver.com/word?q=實入 실입] 오색진사 12냥중 가격은 72냥이다【매 냥중 6냥】<br/>
 +
<br/>
 +
[https://hanja.dict.naver.com/word?q=多繪匠 多繪匠][https://hanja.dict.naver.com/word?q=工錢 工錢]八兩<br/>
 +
다회장 공전 8냥 <br/>
 +
<br/>
 +
以上 [https://hanja.dict.naver.com/word?q=折錢 折錢] 八十兩<br/>
 +
이상 80냥이다.<br/>
 +
<font color="blue"><b>
 +
☞향발무에 사용되는 향발 4쌍은 이전에 사용하던 것을 재사용<br/>
 +
☞오색진사로 만든 유소 8건 사용
 +
</b></font>
 +
<br/>
 +
<br/>
 +
[響鈴六雙【前排仍用】<br/>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정해진찬의궤_데이터_아카이브_편찬_계획-김현승#.27.ED.96.A5.EB.A0.B9.27.EC.9D.98_.EB.B3.B5.EC.8B.9D_.EA.B4.80.EB.A0.A8_.EB.82.B4.EC.9A.A9 향령] 6쌍【이전에 쓰던 것을 그대로 쓴다】<br/>
 +
<br/>
 +
流蘇十二件所入【五色眞絲二十四兩重貿用】<br/>
 +
유소 12건 소입【오색진사 24냥중을 사서 쓴다】<br/>
 +
<br/>
 +
○實入五色眞絲二十四兩重價錢一百四十四兩【每兩重六兩】<br/>
 +
실입 오색진사 24냥중 값은 144냥【매 냥중 6냥】<br/>
 +
<br/>
 +
多繪匠工錢 十六兩<br/>
 +
다회장 공전 16냥<br/>
 +
<br/>
 +
以上折錢一百六十兩<br/>
 +
이상 160냥이다.<br/>
 +
<font color="blue"><b>
 +
☞향령무에 사용되는 향령 6쌍은 이전에 사용하던 것을 재사용<br/>
 +
☞오색진사로 만든 유소 12건 사용
 +
</b></font>
 +
<br/>
 +
<br/>
 +
靑黃鶴一雙 [https://hanja.dict.naver.com/word?q=新造 新造][https://hanja.dict.naver.com/word?q=都給 都給]價錢二百兩<br/>
 +
청학·황학 1쌍을 새로 만드는 값 200냥 <br/>
 +
<font color="blue"><b>
 +
☞학무에 사용되는 청학, 황학 1쌍을 새로 만들었고 소요된 값은 200냥이다.
 +
</b></font>
 +
}}
  
船遊樂執事差備所著服飾二件所入朱笠二立銀笠飾 二件虎鬚二件 筩具造蜜花貝纓二件 銀纓子具水靴子二部 以上 貿用 環刀二部鞭二箇, 天翼二件挾袖二件 以上前排仍用紅廣多繪 帶二件 貿用鞭手巾二件次 草綠衣庫紬七尺貿用鞭纓二件 前排仍用裹次 黃木四幅袱一件 黃木十一尺貿用 ○實入朱笠二立價錢四十兩 每立二十兩銀笠飾二件價錢四十兩 每件二十兩虎鬚二件價錢二十 兩 每件十兩造蜜花貝纓二件價錢十五兩 每件七兩五錢銀纓子二件 價錢七兩四錢 每件三兩七錢水靴子二部價錢三十兩 每部十五兩紅廣 多繪帶二件價錢六十兩 每件三十兩草綠衣庫紬七尺價錢二 十四兩五錢 每尺三兩五錢黃木十一尺價錢五兩 每尺四錢六分】以上折錢 二百四十一兩九錢
 
  
  
童妓所著服飾二件所入花冠二件接只二件 銀蛙簪二箇, 具唐只 四件次 紫的禾紬一尺五寸豆錫花簪二箇, 繡鞋二部 以上貿用首拱花四 枝 內下丹衣二件次 外拱草綠花紋甲紗九尺內拱黃生綃九尺團領及袖口色同次紅花紋甲紗三尺六寸同領次白花紋甲紗一尺 八寸竝貿用 裳二件次 紅花紋甲紗四尺五寸上端次草綠花紋甲紗半骨一尺九寸垂纓次紅花紋甲紗草綠花紋甲紗各六片每片長一尺五寸 廣四寸腰纓次紅花紋甲紗三尺金花紋次金箔八貼竝貿用 襪裙二件次 紅禾紬二十尺腰纓次白禾紬三尺一寸竝貿用繡帶 二件次 紅貢緞二片各長六尺廣四寸金箔四貼貿用裹次 黃木十兩尺貿用 ○實入花冠二件價 錢三十兩 每件十五兩接只二件價錢三十兩 每件十五兩銀蛙簪二箇, 價錢十兩 每箇, 五兩紫的禾紬一尺五寸價錢五兩二錢五分】
+
 
每尺三兩五錢豆錫花簪二箇, 價錢十四兩五錢 每箇, 七兩二錢五分】
+
====가인전목단 차비의 복식 및 소품====
繡鞋二部 價錢二十四兩 每部十二兩草綠花紋甲紗十兩尺三寸七分】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3ab 악기풍물 1.jpg|500px]]<br/>
價 錢一百四十八兩二錢 每尺十二兩黃生綃九尺價錢十三兩五 錢 每尺一兩五錢紅花紋甲紗十三尺五寸二分】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3a, b)<br/>
價錢一百八十九 兩二錢 每尺十四兩白花紋甲紗一尺八寸價錢二十一兩六錢 每尺十二兩紅禾紬二十尺價錢七十兩 每尺三兩五錢白禾紬三尺一寸 價錢十兩八錢五分】
+
{{글상자
每尺三兩五錢紅貢緞二片各長六尺廣四寸 價錢七十五兩金箔一束二貼價錢二十四兩 每張二錢針工 錢五十兩黃木十兩尺價錢五兩 每尺四錢二分】
+
|color=#F6F2F8
以上折錢七百二 十一兩一錢 舞鼔差備所著服飾四件所入掛子四件次 靑紅柳緣白花紋甲紗各四尺五寸 紅生銷六尺五寸藍生綃半骨六尺五寸竝貿用 戰帶四件次 藍鱗紋甲紗八尺貿用 ○實入四色花 紋甲紗十八尺價錢二百十二兩 每尺十一兩七錢八分】
+
|text=
紅生綃六尺 五寸價錢九兩七錢五分】
+
佳人剪牧丹差備 所著汗衫八件 所入玉色禾紬 三十六尺 貿用 <br/>
每尺一兩五錢藍鱗紋甲紗八尺價錢九 十六兩 每尺十二兩藍生綃半骨六尺五寸價錢四兩八錢七分】
+
가인전목단 차비가 착용하는 한삼 8건에는 옥색화주 36척을 사서 쓴다.<br/>
每尺一兩五錢針工錢十五兩以上折錢三百三十七兩六錢二分】
+
<br/>
劍器舞差僃所著服飾四件所入散紅毛戰笠四立 內拱次藍雲紋 緞三尺 象毛四件孔雀羽四件紅氈徵道里四件造蜜花耳 錢四件銀頂子四件銀纓子四件紫的甲紗纓子四件 上以 貿用 挾袖四件次 黃花紋甲紗四十四尺同領次白花紋甲紗八寸袖口次紅鱗紋甲紗三尺竝貿用戰服四件次 二件前排仍用二件所入外拱鴉靑鱗紋甲紗十三尺內拱紅鱗紋甲紗十三尺竝貿用舞刀八柄 修補所入物力匠料都給 ○實 入散紅毛戰笠四立價錢十兩 每立二兩五錢藍雲紋緞三尺價錢 六十六兩 每尺二十二兩象毛四件價錢四十兩 每件十兩孔雀羽四件 價錢八十兩 每件二十兩紅氈徵道里四件價錢二十兩 每件五兩造 蜜花耳錢四件價錢六兩 每件一兩五錢銀頂子四件價錢六十兩 每件十五兩銀纓子四件價錢十四兩八錢 每件三兩七錢紫的甲紗纓子 四件價錢三十兩 每件七兩五錢黃花紋甲紗四十四尺價錢五百 二十八兩 每尺十二兩白花紋甲紗八寸價錢九兩六錢紅鱗紋 甲紗十六尺價錢二百二十四兩 每尺十四兩鴉靑鱗紋甲紗十 三尺價錢一百五十六兩 每尺十二兩舞刀八柄修補都給錢四 十兩針工錢二十四兩以上折錢一千三百八兩四錢 響鈴舞差備所著汗衫六件所入 紅禾紬二十五尺貿用 ○實入紅禾 紬二十五尺價錢八十六兩五錢 每尺三兩四錢六分】
+
牧丹花 一百枝一朶 貿用 <br/>
針工錢一兩以 上折錢八十七兩五錢 蓮花臺舞童妓所著服飾二件所入丹衣二件次 外拱草綠生綃九尺 內拱紅生綃九尺領次紅生綃一尺八寸袖口色同次紅生綃一尺八寸白生綃一尺八寸竝貿用 裳二件次 紅生綃四尺五寸草綠生綃一尺九 寸垂纓次紅生綃草綠生綃各六片每片長一尺五寸廣四寸腰纓次紅生綃三尺竝貿用 襪裙二件次 紅生綃二十尺腰纓次白生綃三尺 五寸竝貿用 繡帶二件次 紅貢緞二片各長六尺廣四寸金箔一束二貼竝貿用花簪二箇, 繡鞋二 部蛤笠二立 以上貿用裹次 黃木十兩尺貿用 ○實入紅白草綠生綃六 十三尺九寸價錢九十五兩八錢五分】
+
木樽一坐 前排仍用 <br/>
每尺一兩五錢紅貢緞二片 各長六尺廣四寸價錢七十五兩金箔一束二貼價錢二 十四兩 每張二錢花簪二箇, 價錢十四兩五錢 每箇, 七兩二錢五分】
+
<br/>
繡鞋二 部價錢二十四兩 每部十二兩蛤笠二立價錢三十兩 每立十五兩黃木 十兩尺價錢五兩 每尺四錢二分】
+
○實入玉色禾紬三十六尺 價錢一百二十六兩 每尺三兩五錢 <br/>
針工錢五十兩以上折錢三百十 八兩三錢五分】
+
실입 옥색화주 36척은 126냥이 든다. 매 척 2냥 5전이다.<br/>
尖袖舞差備所著尖袖四雙所入紅佛手緞兩尺價錢三 十兩六錢 每尺十五兩三錢以上所入錢內下 典樂所著服飾六件所入帽羅幞頭六件纓子六件也字 帶六件 以上物力匠料都給綠綃衫六件所入 外拱草綠生綃一百八十尺內拱藍綿紬二百十尺竝貿用 ○ 實入帽羅幞頭六件價錢三十六兩 每件六兩纓子六件價錢 十二兩 每件二兩也字帶六件價錢三十六兩 每件六兩草綠生綃 一百八十尺價錢二百七十兩 每尺一兩五錢藍綿紬二百十尺價 錢一百六十八兩 每尺八錢針工錢四十八兩以上折錢五百 七十兩 殿上工人所著服飾五十件所入畫花幞頭五十件纓子 五十件 以上貿用紅團領五十件所入 外拱紅綿紬一千七百五十尺內拱藍綿紬一千五百尺竝貿用 ○實入畫花幞頭五十件價錢一百七十五兩 每件三兩五錢纓子 五十件價錢五十兩 每件一兩紅綿紬一千七百五十尺價錢 一千七百五十兩 每尺一兩藍綿紬一千五百尺價錢一千二 百兩 每尺八錢針工錢四百十五兩以上折錢三千五百九十 兩 軒架樂工所著服飾四十件所入畫花幞頭四十件纓子 四十件 以上貿用紅團領四十件所入 紅綿紬一千四百尺貿用 ○實入畫花 幞頭四十件價錢一百四十兩 每件三兩五錢纓子四十件價錢四 十兩 每件一兩紅綿紬一千四百尺價錢一千四百兩 每尺一兩針 工錢二百六十兩以上折錢一千八百四十兩以上所入 錢自戶曹上下 樽花一雙所入樽花二朶 貿用內下唐假花三百枝添插唐彩花樽二坐 內下維 結次 紅絨絲三甲所一艮衣尙方紅藍禾紬各二疋本所樽所盛 白米一石司䆃寺床二坐 尙方
+
<br/>
 +
牧丹花一百枝一朶價錢一 百兩以上折錢二百二十六兩 <br/>
 +
<br/>
 +
<font color="blue"><b>
 +
☞가인전목단 옥색한삼은 옥색화주로 만든다. 화주의 값은 1척에 2냥 5전.
 +
</b></font>
 +
}}
 +
 
 +
====선유락 집사차비의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3ab 악기풍물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3a, b)<br/>
 +
<br/>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4ab 악기풍물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4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船遊樂執事差備 所著服飾二件 所入 <br/>
 +
선유락 집사차비가 착용하는 복식 2건의 소입으로 <br/>
 +
<br/>
 +
朱笠 二立 <br/>
 +
銀笠飾 二件 <br/>
 +
虎鬚 二件【[https://hanja.dict.naver.com/hanja?q=筩 筩]具】<br/>
 +
[https://hanja.dict.naver.com/word?q=造蜜花 造蜜花]貝纓 二件【銀纓子具】<br/>
 +
水靴子 二部 <br/>
 +
【以上 貿用】 <br/>
 +
주립 2립, 은입식 2건, 호수 2건【통을 갖춘다】, 인공 밀화로 만든 갓끈 2건【은영자를 갖춘다】, 수화자 2부<br/>
 +
이상은 사서 사용한다.<br/>
 +
<br/>
 +
<br/>
 +
環刀 二部 鞭 二箇 <br/>
 +
天翼 二件 挾袖 二件 <br/>
 +
【以上 前排[https://hanja.dict.naver.com/word?q=仍用 仍用] 】<br/>
 +
환도 2부, 편 2개, 철릭 2건, 협수 2건<br/>
 +
이상은 이전의 물건을 그대로 사용한다.<br/>
 +
<br/>
 +
<br/>
 +
紅廣多繪帶 二件【貿用】<br/>
 +
鞭手巾 二件 次【草綠衣庫紬 七尺 貿用】<br/>
 +
鞭纓 二件【前排仍用】<br/>
 +
裹次 黃木 四幅 袱 一件【黃木十一尺 貿用】<br/>
 +
홍광다회대 2건【사서 사용】, 편수건 2건【초록색 의고주 7척을 사서 사용】, 편영 2건【이전의 것을 그대로 사용】, 포장(과)은 황목(무명) 4폭 보자기 1건【황목(무명) 11척을 사서 사용】 <br/>
 +
<br/>
 +
<br/>
 +
○實入 <br/>
 +
朱笠 二立 價錢 四十兩【每立 二十兩】<br/>
 +
銀笠飾 二件 價錢 四十兩【每件 二十兩】<br/>
 +
虎鬚 二件 價錢 二十兩【每件 十兩】<br/>
 +
造蜜花貝纓 二件 價錢 十五兩【每件 七兩五錢】<br/>
 +
銀纓子 二件 價錢 七兩四錢【每件 三兩七錢】<br/>
 +
水靴子 二部 價錢 三十兩【每部 十五兩】<br/>
 +
紅廣多繪帶 二件 價錢 六十兩【每件 三十兩】<br/>
 +
草綠衣庫紬 七尺 價錢 二十四兩五錢【每尺 三兩五錢】<br/>
 +
黃木 十一尺 價錢 五兩【每尺 四錢六分】<br/>
 +
以上 折錢 二百四十一兩九錢<br/>
 +
실입<br/>
 +
주립 2립 값 40냥【매 립 20냥】<br/>
 +
은입식 2건 값 40냥【매 건 20냥】<br/>
 +
호수 2건 값 20냥【매 건 10냥】<br/>
 +
조밀화끈 2건 값 15냥【매 건 7냥 5전】<br/>
 +
은영자 2건 값 7냥 4전【매 건 3냥 7전】<br/>
 +
수화자 2부 값 30냥【매 부 15냥】<br/>
 +
홍광다회대 2건 값 60냥【매 건 30냥】<br/>
 +
초록색 의고주 7척 값 24냥 5전【매 척 3냥 5전】<br/>
 +
황색 무명 11척 값 5냥【매 척 4전 6분】<br/>
 +
이상 합이 241냥 9전이다.<br/>
 +
<br/>
 +
<font color="blue"><b>
 +
☞선유락 집사의 복식은 주립(은입식, 호수, 조밀화영, 은영자), 철릭, 협수, 홍광다회, 환도, 등편(편수건, 편영), 수화자로 구성된다.
 +
</b></font>
 +
'''☞권1 '도식'과 권3 '공령'을 참고하면 여기에 <font color="blue"><b>'통개'</b></font>를 더한다.'''
 +
}}
 +
 
 +
====선유락 동기의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4ab 악기풍물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4a, b)<br/>
 +
<br/>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5ab 악기풍물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童妓所著服飾 二件 所入<br/>
 +
동기 복식 2건 소입<br/>
 +
<br/>
 +
花冠 二件<br/>
 +
[https://hanja.dict.naver.com/word?q=接只 接只] 二件【銀蛙簪 二箇 具】
 +
唐只 四件 次【紫的[https://hanja.dict.naver.com/word?q=禾紬 禾紬] 一尺五寸】<br/>
 +
[https://hanja.dict.naver.com/word?q=豆錫 豆錫][https://hanja.dict.naver.com/word?q=花簪 花簪] 二箇<br/>
 +
繡鞋 二部【以上 貿用】<br/>
 +
首拱花 四枝【[https://hanja.dict.naver.com/word?q=內下 內下]】<br/>
 +
화관 2건, 첩지 2건【은개구리비녀 2개】, 댕기 4건【자적화주 1척 5촌】, 두석화잠 2개, <br/>
 +
수혜 2부【이상 사서 사용】<br/>
 +
수공화 4지【내하】<br/>
 +
<br/>
 +
丹衣 二件 次<br/>
 +
【外拱 草綠花紋甲紗 九尺 <br/>
 +
內拱 黃生綃 九尺<br/>
 +
團領 及 袖口色同 次 紅花紋甲紗 三尺六寸 <br/>
 +
同領 次 白花紋甲紗 一尺八寸 竝 貿用】 <br/>
 +
단의 2건【외공 초록화문갑사 9척, 내공 황생초 9척, 단령과 수구색동 홍화문갑사 3척 6촌, 동령(동정) 백화문갑사 1척 8촌 모두 사서 사용한다】<br/>
 +
<br/>
 +
裳 二件 次<br/>
 +
【紅花紋甲紗 四尺五寸 <br/>
 +
上端 次 草綠花紋甲紗 半骨一尺九寸 <br/>
 +
垂纓 次 紅花紋甲紗 草綠花紋甲紗 各 六片 每片 長一尺五寸 廣四寸 <br/>
 +
腰纓 次 紅花紋甲紗 三尺 <br/>
 +
金花紋 次 金箔 八貼 竝貿用 <br/>
 +
치마 2건【홍화문갑사 4척 5촌, 상단 초록화문갑사 반골 1척 9촌, 늘어뜨리는 끈은 홍화문갑사와 초록화문갑사 각 6편으로 하고 한 편당 길이 1척 5촌, 너비 4촌이다. 허리끈 홍화문갑사 3척, 금화문은 금박 8첩으로 한다. 모두 사서 사용한다.】 <br/>
 +
<br/>
 +
襪裙 二件 次 <br/>
 +
【紅禾紬 二十尺 <br/>
 +
腰纓 次 白禾紬 三尺一寸 竝貿用】<br/>
 +
말군 2건【홍화주 20척, 허리끈 백화주 3척 1촌. 모두 사서 사용한다.】<br/>
 +
<br/>
 +
繡帶 二件 次 <br/>
 +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br/>
 +
金箔 四貼 貿用】 <br/>
 +
수대 2건【홍공단 2편은 각 길이 6척, 너비 4촌으로 하고, 금박 4첩. 사서 사용한다.】<br/>
 +
<br/>
 +
裹 次 【黃木 十兩尺 貿用】 <br/>
 +
포장【황색 무명 12척. 모두 사서 사용한다.】<br/>
 +
<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花冠 二件 價錢 三十兩【每件 十五兩】<br/>
 +
接只 二件 價錢 三十兩【每件 十五兩】<br/>
 +
銀蛙簪 二箇 價錢 十兩【每箇 五兩】<br/>
 +
紫的禾紬 一尺五寸 價錢 五兩二錢五分【每尺 三兩五錢】<br/>
 +
豆錫花簪 二箇 價錢 十四兩五錢【每箇 七兩二錢五分】<br/>
 +
繡鞋 二部 價錢 二十四兩【每部 十二兩】<br/>
 +
草綠花紋甲紗 十兩尺三寸七分 價錢 一百四十八兩二錢【每尺 十二兩】<br/>
 +
黃生綃 九尺 價錢 十三兩五錢【每尺 一兩五錢】<br/>
 +
紅花紋甲紗 十三尺五寸二分 價錢 一百八十九兩二錢【每尺 十四兩】<br/>
 +
白花紋甲紗 一尺八寸 價錢 二十一兩六錢【每尺 十二兩】<br/>
 +
紅禾紬 二十尺 價錢 七十兩【每尺 三兩五錢】<br/>
 +
白禾紬 三尺一寸 價錢 十兩八錢五分【每尺 三兩五錢】<br/>
 +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價錢 七十五兩 <br/>
 +
金箔 一束二貼 價錢 二十四兩【每張 二錢】<br/>
 +
針工錢 五十兩<br/>
 +
黃木 十兩尺 價錢 五兩【每尺四錢二分】<br/>
 +
以上折錢七百二十一兩一錢<br/>
 +
<br/>
 +
화관 2건 값 30냥【매 건 15냥】<br/>
 +
첩지 2건 값 30냥【매 건 15냥】<br/>
 +
은개구리비녀 2개 값 10냥【매 개 5냥】<br/>
 +
자적화주 1척5촌 값 5냥2전5푼【매 척 3냥5전】<br/>
 +
두석화잠 2개 값 14냥5전 【매 개 7냥2전5푼】<br/>
 +
수혜 2부 값 24냥【매 부 12냥】<br/>
 +
초록화문갑사 12척3촌7분 값 148냥2전【매 척 12냥】<br/>
 +
황생초 9척 값 13냥5전【매 척 1냥5전】<br/>
 +
홍화문갑사 13척5촌2분 값 189냥2전【매 척 14냥】<br/>
 +
백화문갑사 1척8촌 값 21냥6전【매 척 12냥】<br/>
 +
홍화주 20척 값 70냥【매 척 3냥5전】<br/>
 +
백화주 3척1촌 값 10냥8전5푼【매 척 3냥5전】<br/>
 +
홍공단 2편 각 길이 6척, 너비 4촌 값 75냥<br/>
 +
금박 1속2첩 값 24냥【매 장 2전】<br/>
 +
침공 값 50냥<br/>
 +
황목(황색 무명) 12척 값 5냥【매 척 4전2푼】<br/>
 +
이상 합 721냥1전<br/>
 +
<br/>
 +
<font color="blue"><b>
 +
☞동기 복식은 2건을 마련하고 구성은<br/>
 +
머리장식은 화관, 첩지(개구리 비녀), 자적색 댕기, 두석화잠, 수공화로 구성되고,<br/>
 +
옷은 초록색 단의(안감 황색, 깃과 수구색동은 홍색, 동정은 백색), 홍색 치마(상단 초록색, 홍색 허리끈, 치마의 장식끈은 홍색과 초록색 각 6편씩, 금박 꽃무늬로 장식)를 입고, 홍색 말군을 입는다.<br/>
 +
허리띠는 홍색이며 금박으로 장식한다.<br/>
 +
수혜를 신는다.<br/>
 +
</b></font>
 +
}}
 +
 
 +
 
 +
====무고 차비의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5ab 악기풍물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舞鼔 差備 所著 服飾 四件 所入<br/>
 +
무고 차비가 입는 복식 4건 소입<br/>
 +
<br/>
 +
掛子 四件 次【靑紅柳綠白花紋甲紗 各 四尺五寸 紅生銷 六尺五寸 藍生綃 半骨六尺五寸 竝貿用】<br/>
 +
戰帶 四件 次【藍鱗紋甲紗 八尺 貿用】<br/>
 +
쾌자 4건【청색·홍색·유록색·백색 화문갑사 각 4척5촌, 홍생초 6척5촌, 남생초 반골 6척5촌, 모두 사서 사용】<br/>
 +
전대 4건 【남색 [https://hanja.dict.naver.com/word?q=鱗紋 인문]갑사 8척, 사서 사용】<br/>
 +
<br/>
 +
 
 +
○實入<br/>
 +
실입<br/>
 +
<br/>
 +
四色花紋甲紗 十八尺 價錢 二百十二兩【每尺 十一兩七錢八分】<br/>
 +
紅生綃 六尺五寸 價錢 九兩七錢五分【每尺 一兩五錢】<br/>
 +
藍鱗紋甲紗 八尺 價錢 九十六兩【每尺 十二兩】<br/>
 +
藍生綃 半骨六尺五寸 價錢 四兩八錢七分【每尺 一兩五錢】<br/>
 +
4가지 색(청·홍·유록·백색) 화문갑사 18척 값 212냥【매 척 11냥7전8푼】<br/>
 +
홍생초 6척5촌 값 9냥7전5푼【매 척 1냥5전】<br/>
 +
남색인문갑사 8척 값 96냥【매 척 12냥】<br/>
 +
남생초 반골6척5촌 값 4냥8전7푼【매 척 1냥5전】<br/>
 +
<br/>
 +
針工錢 十五兩 <br/>
 +
以上 折錢 三百三十七兩六錢二分<br/>
 +
침공 값 15냥<br/>
 +
이상 합 337냥 6전 2푼<br/>
 +
<br/>
 +
<font color="blue"><b>
 +
☞무고 복식 4건<br/>
 +
쾌자(전복)은 청색, 홍색, 유록색, 백색으로 하고, 화문갑사 사용. <br/>
 +
전대는 남샌 인문갑사 사용.
 +
</b></font>
 +
}}
 +
 
 +
====검기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5ab 악기풍물 3.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劍器舞 差僃 所著 服飾 四件 所入 <br/>
 +
검기무 차비가 착용하는 복식 4건 소입<br/>
 +
<br/>
 +
散紅毛戰笠 四立【內拱 次 藍雲紋緞 三尺】<br/>
 +
象毛 四件<br/>
 +
孔雀羽 四件<br/>
 +
紅氈徵道里 四件 <br/>
 +
造蜜花耳錢 四件 <br/>
 +
銀頂子 四件<br/>
 +
銀纓子 四件<br/>
 +
紫的甲紗纓子 四件【上以 貿用】<br/>
 +
산홍모전립 4립【내공 남색운문단 3척】<br/>
 +
상모 4건<br/>
 +
공작깃 4건<br/>
 +
홍전[https://hanja.dict.naver.com/word?q=徵道里 징도리] 4건<br/>
 +
인공밀화이전<font color=gray">(장식)</font> 4건<br/>
 +
은정자 4건<br/>
 +
은영자 4건<br/>
 +
자적갑사끈 4건<br/>
 +
【이상 사서 사용】<br/>
 +
<br/>
 +
挾袖 四件 次<br/>
 +
【黃花紋甲紗 四十四尺<br/>
 +
同領 次 白花紋甲紗 八寸 <br/>
 +
袖口 次 紅鱗紋甲紗 三尺 <br/>
 +
竝貿用】<br/>
 +
협수 4건<br/>
 +
【황색화문갑사 44척<br/>
 +
동정 백색화문갑사 8촌<br/>
 +
수구 홍색인문갑사 3척<br/>
 +
모두 사서 사용】<br/>
 +
<br/>
 +
戰服 四件 次<br/>
 +
【二件 前排仍用. 二件 所入 <br/>
 +
外拱 鴉靑鱗紋甲紗 十三尺 <br/>
 +
內拱 紅鱗紋甲紗 十三尺 <br/>
 +
竝貿用】 <br/>
 +
전복 4건<br/>
 +
【2건은 이전의 것을 그대로 사용. 2건 소입<br/>
 +
외공 아청색인문갑사 13척<br/>
 +
내공 홍색인문갑사 13척<br/>
 +
모두 사서 사용】<br/>
 +
<br/>
 +
舞刀 八柄【[https://hanja.dict.naver.com/word?q=修補 修補] 所入 物力 匠料 [https://hanja.dict.naver.com/word?q=都給 都給]】 <br/>
 +
무도 8병【수리보수 소입  물력, 장료 도급】 <br/>
 +
<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散紅毛戰笠 四立 價錢 十兩【每立 二兩五錢】<br/>
 +
藍雲紋緞 三尺 價錢 六十六兩【每尺 二十二兩】<br/>
 +
象毛 四件 價錢 四十兩【每件十兩】<br/>
 +
孔雀羽 四件 價錢 八十兩【每件 二十兩】<br/>
 +
紅氈徵道里 四件 價錢 二十兩【每件 五兩】<br/>
 +
造蜜花耳錢 四件 價錢 六兩【每件 一兩五錢】<br/>
 +
銀頂子 四件 價錢 六十兩【每件 十五兩】<br/>
 +
銀纓子 四件 價錢 十四兩八錢【每件 三兩七錢】<br/>
 +
紫的甲紗纓子 四件 價錢 三十兩【每件 七兩五錢】<br/>
 +
黃花紋甲紗 四十四尺 價錢 五百二十八兩【每尺 十二兩】<br/>
 +
白花紋甲紗 八寸 價錢 九兩六錢<br/>
 +
紅鱗紋甲紗 十六尺 價錢 二百二十四兩【每尺 十四兩】<br/>
 +
鴉靑鱗紋甲紗 十三尺 價錢 一百五十六兩【每尺 十二兩】<br/>
 +
舞刀 八柄 修補都給錢 四十兩 <br/>
 +
<br/>
 +
산홍모전립 4립 값 10냥【매 립 2냥5전】<br/>
 +
남운문단 3척 값 66냥【매 척 22냥】<br/>
 +
상모 4건 값 40냥【매 건 10냥】<br/>
 +
공작깃 4건 값 80냥【매 건 20냥】<br/>
 +
홍전징도리 4건 값 20냥【매 건 5냥】<br/>
 +
조밀화이전 4건 값 6냥【매 건 1냥5전】<br/>
 +
은정자 4건 값 60냥【매 건 15냥】<br/>
 +
은영자 4건 값 14냥8전【매 건 3냥7전】<br/>
 +
자적갑사영자 4건 값 30냥【매 건 7냥5전】<br/>
 +
황화문갑사 44척 값 528냥【매 척 12냥】<br/>
 +
백화문갑사 8촌 값 9냥6전<br/>
 +
홍인문갑사 16척 값 224냥【매 척 14냥】<br/>
 +
아청인문갑사 13척 값 156냥【매 척 12냥】<br/>
 +
<br/>
 +
針工錢 二十四兩 <br/>
 +
以上 折錢 一千三百八兩四錢 <br/>
 +
침공 값 24냥<br/>
 +
이상 합 1308냥4전<br/>
 +
<br/>
 +
<font color="blue"><b>
 +
☞검기무 복식 4건<br/>
 +
산홍모전립(안감 남색운문단, 상모, 공작깃, 홍전징도리, 조밀화이전, 은정자, 은영자, 자적새끈), 황색협수(동정 백색, 수구 홍색), 아청색전복(안감 홍색), 무도(1인당 2자루씩)로 구성된다.<br/>
 +
권3 '공령'을 참고하면 여기에 남색전대와 초록혜를 더한다.<br/>
 +
</b></font>
 +
}}
 +
 
 +
====향령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響鈴舞 差備 所著 汗衫 六件 所入【紅禾紬 二十五尺 貿用】 <br/>
 +
향령무 차비가 착용하는 한삼 6건 소입【홍색화주 25척. 사서 사용】<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紅禾紬 二十五尺 價錢 八十六兩五錢【每尺 三兩四錢六分】<br/>
 +
홍화주 25척 값 86냥5전【매 척 3냥4전6푼】<br/>
 +
<br/>
 +
針工錢 一兩 <br/>
 +
以上 折錢 八十七兩五錢<br/>
 +
침공 값 1냥<br/>
 +
이상 합 87냥5전<br/>
 +
<br/>
 +
<font color="blue"><b>
 +
☞향령무 복식의 한삼은 홍화주로 만든다.
 +
</b></font>
 +
}}
 +
 
 +
 
 +
 
 +
====연화대무 동기의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
蓮花臺舞 童妓 所著 服飾 二件 所入 <br/>
 +
연화대무 동기의 복식 2건 소입<br/>
 +
<br/>
 +
丹衣 二件 次<br/>
 +
【外拱 草綠生綃 九尺<br/>
 +
內拱 紅生綃 九尺 <br/>
 +
領 次 紅生綃 一尺八寸 <br/>
 +
袖口色同 次 紅生綃 一尺八寸, 白生綃 一尺八寸<br/>
 +
竝貿用<br/>
 +
단의 2건【외공 초록생초 9척, 내공 홍생초 9척, 깃 홍생초 1척8촌, 수구색동 홍생초 1척8촌, 백생초 1척8촌<br/>
 +
모두 사서 사용】<br/>
 +
<br/>
 +
裳 二件 次 <br/>
 +
【紅生綃 四尺五寸<br/>
 +
草綠生綃 一尺九寸<br/>
 +
垂纓 次 紅生綃 草綠生綃 各 六片 每片 長一尺五寸 廣四寸<br/>
 +
腰纓 次 紅生綃 三尺 <br/>
 +
竝貿用】<br/>
 +
치마 2건【홍생초 4척5촌, 초록생초 1척9촌, 장식끈 홍생초, 초록생초 각 6편. 편마다 길이 1척5촌, 너비 4촌., 허리끈 홍생초 3척<br/>
 +
모두 사서 사용】<br/>
 +
<br/>
 +
襪裙 二件 次 <br/>
 +
【紅生綃 二十尺 <br/>
 +
腰纓 次 白生綃 三尺五寸<br/>
 +
竝貿用】 <br/>
 +
말군 2건【홍생초 20척, 허리끈 백생초 3척5촌<br/>
 +
모두 사서 사용】<br/>
 +
<br/>
 +
繡帶 二件 次 <br/>
 +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br/>
 +
金箔 一束二貼 <br/>
 +
竝貿用】<br/>
 +
수대 2건【홍공단 2편 각 길이 6척, 너비 4촌, 금박 1속2첩<br/>
 +
모두 사서 사용】<br/>
 +
<br/>
 +
花簪 二箇<br/>
 +
繡鞋 二部<br/>
 +
蛤笠 二立<br/>
 +
【以上 貿用】<br/>
 +
화잠(비녀) 2개<br/>
 +
수혜 2부<br/>
 +
합립 2립<br/>
 +
【이상 사서 사용】<br/>
 +
<br/>
 +
裹 次【黃木 十兩尺 貿用】 <br/>
 +
포장【황목(무명) 12척. 사서 사용】<br/>
 +
<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紅白草綠生綃 六十三尺九寸 價錢 九十五兩八錢五分【每尺 一兩五錢】<br/>
 +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價錢 七十五兩 <br/>
 +
金箔 一束二貼 價錢 二十四兩【每張 二錢】<br/>
 +
花簪 二箇 價錢 十四兩五錢【每箇 七兩二錢五分】<br/>
 +
繡鞋 二部 價錢 二十四兩【每部 十二兩】<br/>
 +
蛤笠 二立 價錢 三十兩【每立 十五兩】<br/>
 +
黃木 十兩尺 價錢 五兩【每尺 四錢二分】<br/>
 +
<br/>
 +
홍·백·초록생초 63척9촌 값 95냥8전5푼【매 척 1냥5전】<br/>
 +
홍공단 2편 각 길이 6척, 너비 4촌 값 75냥<br/>
 +
금박 1속2첩 값 24냥【매 장 2전】<br/>
 +
화잠 2개 값 14냥5전【매 개 7냥2전5푼】<br/>
 +
수혜 2부 값 24냥【매 부 12냥】<br/>
 +
합립 2립 값 30냥【매 립 15냥】<br/>
 +
황목(무명) 12척 값 5냥【매 척 4전2푼】<br/>
 +
<br/>
 +
針工錢 五十兩<br/>
 +
以上 折錢 三百十八兩三錢五分<br/>
 +
침공 값 50냥<br/>
 +
이상 합 318냥3전5푼<br/>
 +
<br/>
 +
<font color="blue"><b>
 +
☞연화대무 동기 복식 2건<br/>
 +
☞초록단의(안감 홍색, 깃 홍색, 수구색동은 홍색과 백색), 홍색치마(? 초록색, 장식끈은 홍색과 초록색 각 6편, 홍색 허리끈), 홍색말군(허리끈은 백색), 홍색수대(금박 장식), 화잠, 합립, 수혜로 구성된다.<br/>
 +
</b></font>
 +
'''☞권3 '공령'을 참고하면 여기에 <font color="blue"><b>옥색한삼</b></font>을 더하며, <font color="blue"><b>혜는 진홍색</b></font>이다.'''<br/>
 +
'''☞권3 '공령'에 <font color="blue"><b>합립의 구성 요소</b></font>가 무엇인지 적혀있다.''' <br/>
 +
}}
 +
 
 +
 
 +
 
 +
====첨수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3.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
尖袖舞 差備 所著 尖袖 四雙 所入
 +
紅佛手緞 兩尺 價錢 三十兩六錢【每尺 十五兩三錢】
 +
첨수무 차비가 착용하는 첨수 4쌍 소입
 +
홍색[https://hanja.dict.naver.com/word?q=佛手緞 불수단] 2척 값 30냥6전【매 척 15냥3전】
 +
 
 +
以上 所入 錢 內下
 +
이상 소입 전 내하
 +
<br/>
 +
<font color="blue"><b>
 +
☞첨수무에 사용되는 첨수 4쌍은 홍색불수단으로 만든다.
 +
</b></font>
 +
}}
 +
 
 +
====전악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4.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
典樂 所著 服飾 六件 所入<br/>
 +
전악이 입는 복식 6건 소입<br/>
 +
<br/>
 +
帽羅幞頭 六件<br/>
 +
纓子 六件<br/>
 +
也字帶 六件<br/>
 +
【以上 物力 匠料 都給】<br/>
 +
모라복두 6건, 영자 6건, 야자대 6건【이상 물력 공료 도급】<br/>
 +
<br/>
 +
綠綃衫 六件 所入<br/>
 +
【外拱 草綠生綃 一百八十尺<br/>
 +
內拱 藍綿紬二百十尺 <br/>
 +
竝貿用】 <br/>
 +
녹초삼 6건 소입【외공 초록생초 180척, 내공 남명주 210척. 모두 사서 사용】<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帽羅幞頭 六件 價錢 三十六兩【每件 六兩】<br/>
 +
纓子 六件 價錢 十二兩【每件 二兩】<br/>
 +
也字帶 六件 價錢 三十六兩【每件 六兩】<br/>
 +
草綠生綃 一百八十尺 價錢 二百七十兩【每尺 一兩五錢】<br/>
 +
藍綿紬 二百十尺 價錢 一百六十八兩【每尺 八錢】<br/>
 +
모라복두 6건 값 36냥【매 건 6냥】<br/>
 +
영자 6건 값 12냥【매 건 2냥】<br/>
 +
야자대 6건 값 36냥【매 건 6냥】<br/>
 +
초록생초 180척 값 270냥【매 척 1냥5전】<br/>
 +
남명주 210척 값 168냥【매 척 8전】<br/>
 +
<br/>
 +
針工錢 四十八兩<br/>
 +
以上 折錢 五百七十兩<br/>
 +
침공 값 48냥<br/>
 +
이상 합 570냥<br/>
 +
<br/>
 +
<font color="blue"><b>
 +
☞전악 복식 6건. 모라복두(영자), 녹초삼(겉감은 초록생초로 제작. 안감은 남색 명주), 야자대
 +
</b></font>
 +
}}
 +
 
 +
====전상 공인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5.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br/>
 +
<br/>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7ab 악기풍물 1.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7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
殿上 工人 所著 服飾 五十件 所入 <br/>
 +
전상 공인이 입는 복식 50건 소입<br/>
 +
<br/>
 +
畫花幞頭 五十件 <br/>
 +
纓子 五十件<br/>
 +
【以上 貿用】<br/>
 +
화화복두 50건, 영자 50건【이상 사서 사용】<br/>
 +
<br/>
 +
紅團領 五十件 所入<br/>
 +
【外拱 紅綿紬 一千七百五十尺<br/>
 +
內拱 藍綿紬 一千五百尺 <br/>
 +
竝貿用】<br/>
 +
홍단령 50건 소입【외공 홍명주 1750척, 내공 남명주 1500척. 모두 사서 사용】<br/>
 +
<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畫花幞頭 五十件 價錢 一百七十五兩【每件 三兩五錢】<br/>
 +
纓子 五十件 價錢 五十兩【每件 一兩】<br/>
 +
紅綿紬 一千七百五十尺 價錢 一千七百五十兩【每尺 一兩】<br/>
 +
藍綿紬 一千五百尺 價錢 一千二百兩【每尺 八錢】<br/>
 +
화화복두 50건 값 175냥【매 건 3냥5전】<br/>
 +
영자 50건 값 50냥【매 건 1냥】<br/>
 +
홍색명주 1750척 값 1750냥【매 척 1냥】<br/>
 +
남색명주 1500척 값 1300냥【매 척 8전】<br/>
 +
<br/>
 +
針工錢 四百十五兩 <br/>
 +
以上 折錢 三千五百九十兩 <br/>
 +
침공 값 405냥<br/>
 +
이상 합 3590냥<br/>
 +
<br/>
 +
<font color="blue"><b>
 +
☞전상 공인 복식 50건. 화화복두(영자), 홍단령(겉감 홍색명주, 안감 남색명주 사용)
 +
</b></font>
 +
}}
 +
 
 +
====헌가 악공 복식 및 소품====
 +
[[파일:정해진찬의궤 권3 037ab 악기풍물 2.jpg|500px]]<br/>
 +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7a, b)<br/>
 +
{{글상자
 +
|color=#F6F2F8
 +
|text=
 +
 
 +
軒架 樂工 所著 服飾 四十件 所入<br/>
 +
헌가 악공이 입는 복식 40건 소입<br/>
 +
<br/>
 +
畫花幞頭 四十件 <br/>
 +
纓子 四十件 <br/>
 +
【以上 貿用】<br/>
 +
화화복두 40건, 영자 40건【이상 사서 사용】<br/>
 +
<br/>
 +
紅團領 四十件 所入 <br/>
 +
【紅綿紬 一千四百尺 貿用】 <br/>
 +
홍단령 40건 소입【홍명주 1400척. 사서 사용】<br/>
 +
<br/>
 +
<br/>
 +
○實入<br/>
 +
실입<br/>
 +
<br/>
 +
畫花幞頭 四十件 價錢 一百四十兩【每件 三兩五錢】<br/>
 +
纓子 四十件 價錢 四十兩【每件 一兩】<br/>
 +
紅綿紬 一千四百尺 價錢 一千四百兩【每尺 一兩】<br/>
 +
화화복두 40건 값 140냥【매 건 35냥】<br/>
 +
영자 40건 값 40냥【매 건 1냥】<br/>
 +
홍명주 1400척 값 1400냥【매 척 1냥】<br/>
 +
<br/>
 +
針工錢 二百六十兩 <br/>
 +
以上 折錢 一千八百四十兩 <br/>
 +
침공 값 260냥<br/>
 +
이상 합 1840냥<br/>
 +
<br/>
 +
以上 所入 錢自 戶曹 上下<br/>
 +
이상 소입은 호조로부터 상하<br/>
 +
<br/>
 +
<font color="blue"><b>
 +
☞헌가 악공 복식 40건. 화화복두(영자), 홍단령(명주로 제작)
 +
</b></font>
 +
}}
  
  
958번째 줄: 2,869번째 줄:
 
=='''참여자의 복식'''==
 
=='''참여자의 복식'''==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년진찬_전도상궁복장 전도상궁복장]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년진찬_전도상궁복장 전도상궁복장]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1년 10월 30일 (토) 17:28 기준 최신판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수업노트(김현승):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정해년진찬 icon

궁중연향의 화려한 복식
정해년 진찬 참여자 복식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작성자: 김현승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 잔치였던 정해년 진찬에는 행사의 주인공인 신정왕후를 비롯한 왕실인원과 손님으로 초대된 내외빈, 진찬을 준비한 진찬소 당상과 낭청, 그리고 그 옆에서 일손을 도운 궁인 및 차비, 음악을 연주한 악공, 정재무를 췄던 여령 등이 참여했다.
이 행사는 진찬을 준비하는 과정부터 진찬 이후 참여자들에게 내린 상 등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은 의궤와 진찬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린 병풍이 전해지고 있다.
의궤와 병풍의 비교 분석을 통해 연향에 참여한 인물들의 모습과 행사에 사용된 기물, 행해진 정재 등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참고할 수 있다. 다만 왕실인원과 내·외빈의 복장은 '예복을 착용한다'든지 '흑단령을 착용한다'는 방식으로 간략히만 표현하거나 병풍 그림에서는 인물그림 자체를 생략함으로써 그들의 모습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왕실인원과 백관, 외명부의 복장을 규정하는 다른 문헌자료를 통해 그들의 모습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정해진찬의궤에 기록된 의복 내용과 도식, 병풍의 그림 등과 왕실인원과 백관, 외명부의 복장 규정을 다루는 상방정례 등의 자료에서 복식 관련 내용의 조각들을 모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디지털 세계에서 재현하고자 한다.

목차

정해년 진찬 복식 지식관계망


정해진찬의궤 지식관계망(복식, 의위)



정해진찬의궤 복식 지식관계망 설계

정해진찬의궤_복식.lst


온톨로지 설계 참고



테스트

  •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정해년 진찬 소개

정해진찬의궤 강독

자료 분석

  • 奎14412

진찬 참여자의 참여 횟수('의주'와 '배설' 참고)

진찬 대왕대비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 내빈 외빈 진찬소 당상 낭청
만경전진찬
만경전야진찬
만경전익일회작
만경전익일야연
만경전재익일회작
만경전재익일야연
참여 횟수 2 4 1 4 1 3 1 5

권1 '전교(傳敎)'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丙戌十月十一日
傳曰 : “進饌時, 諸般擧行, 令親軍營專管爲之. 凡係儀節, 務從省約, 卽所以仰體 慈聖沖挹之意也. 外道女伶, 亦勿知委.”
고종이 대왕대비의 뜻을 받들어 지방 여령에게 알리지 말라고 함.


丁亥正月十六日
口傳下敎曰 “左命婦班首, 以貞敬夫人金氏, 右命婦班首, 以貞夫人徐氏爲之, ….”
구전하교왈 “좌명부반수, 이정경부인김씨, 우명부반수, 이정부인서씨위지, ….”
정해년 정월 16일 고종이 구두로 하교하기를 "좌명부의 반수는 정경부인 김씨로 하고, 우명부의 반수는 정부인 서씨로 한다. …."


권1 '악장(樂章)'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정재 목록

  •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 금척(金尺)
  • 헌선도(獻仙桃)
  • 수연장(壽延長)
  • 향령(響鈴)
  • 아박(牙拍)
  • 보상무(寶相舞)
  •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 무산향(舞山香)
  • 무고(舞皷)
  • 포구락(抛毬樂)
  • 오양선(五羊仙)
  • 하황은(荷皇恩)
  • 춘앵전(春鶯囀)
  • 향발(響鈸)
  • 연화대무(蓮花臺舞)
  • 첨수무(尖袖舞)
  • 선유락(船遊樂)
  • 검기무(劍器舞)
  • 학무(鶴舞)

'향령'의 복식 관련 내용

*향령(響鈴)
  • 원문: 響鈴【…又以金鈴十枚分絡左右手, 隨拍抃轉有聲, 名曰響鈴. ○女妓一人在前, 一人在後, 又四人作二隊, 在其後. 各繫鈴於左右手指, 竝北向, 隨樂節搖響而舞.】
  •  : 향령【…우이금령열매분낙좌우수, 수박변전유성, 명왈향령. ○여기일인재전, 일인재후, 우사인작이대, 재기후. 각계령어좌우수지, 병북향, 수악절요향이무.】
  • 해석: 향령【…또한 금령 10매를 좌우에 나누어, 박자에 따라 박수를 치면 소리가 나는데, 이름을 향령이라 한다. ○여기(女妓) 1인이 앞에 있고, 1인이 뒤에 있고, 또 4인이 2대를 만들어 그 뒤에 있는다. 방울(향령)을 각 좌우 손가락에 매달고 모두 북향하여 악절에 따라 향(향령)을 흔들며 춤춘다.
  • 참고영상:


'아박'의 복식 관련 내용

*아박(牙拍)
  • 원문: 牙拍【… ○女妓四人各執牙拍隨拍聲, 擊牙拍而舞】
  • : 아박【… ○여기사인각집아박수박성, 격아박이무】
  • 해석: 아박【… ○여기(女妓) 4인이 각자 아박을 잡고 박소리에 따라 아박을 치면서 춤춘다.】


'가인전목단'의 복식 관련 내용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원문: 佳人剪牧丹【… 衣紅生色砌衣, 戴金鳳冠, ….】
  • : 가인전목단【… 의홍생색체의, 대금봉관, ….】
  • 해석: 가인전목단【… 홍색 체의(砌衣??)를 입고, 금봉관을 쓰고, ….】


'향발'의 복식 관련 내용

*향발(響鈸)
  • 원문: 響鈸【用鍮鐵爲之, 繫於左右手相擊爲舞節, …. ○女妓四人各繫鈸於左右手, 隨樂節, 撞鈸而舞.】
  •  : 향발【용유철위지, 계어좌우수상격위무절, …. ○여기사인각계발어좌우수, 수악절, 당발이무.】
  • 해석: 향발유철로 만든다. 좌우 손에 매달고, 서로 쳐서 춤의 장단을 삼는다. …. ○여기(女妓) 4인이 각자 좌우 손에 발(鈸)을 매달고, 악절에 따라 발(鈸)을 치며 춤춘다.】
  • 참고자료:
  1. 장사훈, "향발무(響鈸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비주, "향발무(響鈸舞)", 『네이버 블로그-비주 류장하의 딴지세상』online, 작성일: 2012년 03월 23일.
  3. "西藏小響鈸", 『vajrayanacf』online


'연화대무'의 복식 관련 내용

*연화대무(蓮花臺舞)
  • 원문: 蓮花臺舞【…, 用二女童, …. 戴蛤笠, 著丹衣, ….】
  •  : 연화대무【…, 용이여동, …. 대합립, 착단의, ….】
  • 해석: 연화대무【…, 2명의 여자아이가, …, 합립을 쓰고, 단의를 입고, ….】


'첨수무'의 복식 관련 내용

*첨수무(尖袖舞)

춤추는 사람이 손에 아무것도 잡지 않고 춘다.

  • 원문: 尖袖舞【…. ○舞者手無所執, 翻覆其手按節而舞, 俗稱葉舞. …. ○女妓四人繫紅色尖袖於五色汗衫, 分二隊, 相對而舞.】
  •  : 첨수무【…. ○무자수무소집, 번복기수안절이무, 속칭엽무, …. ○여기사인계홍색첨수어오색한삼, 분이대, 상대이무.】
  • 해석: 첨수무【…. ○춤추는 사람 손에 잡은 것이 없고, 그 손을 반복하여 뒤집으며 춤을 추니, 속칭 '엽무'라 한다. …. ○여기(女妓) 4인이 오색한삼에 홍색 첨수를 매고, 2대로 나누어 서로 마주하여 춘다.】


'선유락'의 복식 관련 내용

*선유락(船遊樂)
  • 원문: 船遊樂【…. ○兩童妓登船, 分立於帆前帆後. 女妓二人, 戴朱笠插羽, 著天翼, 佩劍弓矢, 列立於船前, 作號令執事. ….】
  •  : 선유락【…. ○양동기등선, 분립어범전범후. 여기이인, 대주립삽우, 착천익, 패검궁시, 열립어선전, 작질호령집사. ….】
  • 해석: 선유락【…. ○두 명의 동기가 배에 올라서 돛의 앞, 뒤에 나누어 선다. 여기(女妓) 2인은 깃이 꽂힌 주립을 쓰고, 철릭을 입고, 검과 활과 화살을 패용하고, 배의 앞에 나란히 서서 호령하는 집사 역할을 한다. ….】


'검기무'의 복식 관련 내용

*검기무(劍器舞)
  • 원문: 劍器舞【…. ○女妓四人, 戴戰笠, 著戰服, 各持二劍, 分二隊, 相對而舞.】
  •  : 검기무【…. ○여기사인, 대전립, 착전복, 각지이검, 분이대, 상대이무.】
  • 해석: 검기무【…. ○여기(女妓) 4인이 전립을 쓰고, 전복을 입고, 검 2개를 가지고, 2대로 나누어 서로 마주하여 춤춘다.】


'학무'의 복식 관련 내용

*학무(鶴舞)
  • 원문: 鶴舞【用竹爲兩鶴, 以靑白羽衣之兩舞童, …. 】
  •  : 학무【용죽위양학, 이청백우의지양무동, …. 】
  • 해석: 학무【대나무로 학 두 마리를 만들고, 청색과 백색의 깃옷을 입은 두 명의 무동 …. 】


권1 '의주'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만경전진찬의(萬慶殿進饌儀)

① 상침(尙寢)이 그 예속을 이끌고 대왕대비의 자리를 설치
大王大妃殿座於萬慶殿北壁南向
대왕대비전의 자리를 북벽에서 남향으로 설치한다.
寶案於座東, 香案二於殿外左右, 又設大次於萬慶殿東閤.
보안(寶案)을 자리에서 동쪽에 설치.
향안(香案)을 전 바깥 좌우에 설치.
대차(大次)를 만경전 동각에 설치한다.


② 여집사와 여관이 왕,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의 자리를 설치
女執事設 殿下侍坐位, 於簾外, 東階上, 近東西向.
여집사가 전하의 자리를 주렴 바깥에, 동쪽 계단 위에, 동쪽에 가깝에 하고 서향하여 설치한다.
女官設 王妃侍坐位, 於殿內近西東向.
여관이 왕비의 자리를 주렴 안쪽에 서쪽 가깝게 하고 동향하여 설치한다.
女執事設 王世子侍坐位, 於 殿下座之南, 稍東西向.
여집사가 왕세자의 자리를 전하의 자리에서 남쪽에, 좀 더 동쪽에 서향하여 설치한다.
女官設 王世子嬪侍坐位, 於 王妃座之南, 稍西東向.
여관이 왕세자빈의 자리를 왕비의 자리에에서 남쪽에, 좀 더 서쪽에 동향하여 설치한다.


女執事設 殿下致詞箋文案, 於簾外東階上
여집사가 전하의 치사전문안을 주렴 바깥 동쪽 계단 위에 설치한다.
女官設 王妃致詞案, 於簾內西階上.
여관이 왕비의 치사안을 주렴 안 서쪽 계단 위에 설치한다.
女執事設 王世子致詞箋文案, 於 殿下致詞箋文案之東稍退.
여집사가 왕세자의 치사전문안을 전하의 치사전문안의 동쪽에서 조금 물러나서 설치한다.
女官設 王世子嬪致詞案, 於 王妃致詞案之西稍退.
여관이 왕세자빈의 치사안을 왕비의 치사안의 서쪽에서 조금 물러나서 설치한다.


掌樂院備樂, 陳呈才舞於殿之南階上.
작악원은 음악을 준비하고, 정재무를 전(殿)의 남쪽 계단 위에 설치한다.
設女執事擧麾位於殿之西階上, 近西東向.
여집사가 거휘(擧麾) 자리를 전(殿)의 서쪽 계단 위에서 서쪽에 가깝게 하고 동향하여 설치한다.


典賓設左右命婦侍位, 於簾內東西階上, 北向.
전빈이 좌우명부의 자리를 주렴 안 동쪽과 서쪽 계단 위에서 북향하여 설치한다.


女執事陳儀仗, 於殿門外及簾外階上東西, 如常.
여집사가 의장을 전(殿)의 문 바깥과 주렴 바깥의 계단 위 동쪽과 서쪽에 평상시와 같이 설치한다.


권1 '이문(移文)'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0월 16일

정해진찬의궤 권1 057ab 이문 병술10월16일.jpg
(『(丁亥)進饌儀軌』 卷1 「移文」 057a, b)
정해진찬의궤 권1 058ab 이문 병술10월16일.jpg
(『(丁亥)進饌儀軌』 卷1 「移文」 058a, b)

… 今此進饌敎是時, 呈才中鶴舞所用靑鶴白鶴, 猝難自京措備乙仍于,

이번 진찬교에는 정재 가운데 학무에 소용되는 청학과 백학을 갑자기 서울에서 구하기 어려우므로,

文移爲去乎, 關到卽時本營所在靑白鶴諸具, 定將校罔夜上送, 以爲及時入用之地是矣,
이에 공문을 보내오니, 기관에 도착하는 즉시 본영에 소재하는 청백학 제구(모든 도구)를 장교에게 준비시켜 밤을 새워 올려보내서 때에 미쳐 소용 될 수 있도록 하되,

肄習日子窘迫, 遲滯生梗宜當【黃海監營慶州府】
연습날이 심히 군박하니(날짜가 가까워 급함.) 지체되어 생경지폐(두 상대 사이에 말썽이 생겨 틈이 벌어짐[1])가 없도록 해야 한다.【황해감영(황해의 관아)·경주부(경주의 관아)】

☞ 학무(鶴舞)에 소용되는 도구들은 황해와 경주에서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병술 10월 20일

정해진찬의궤 권1 059ab 이문 병술10월20일.jpg
(『(丁亥)進饌儀軌』 卷1 「移文」 059a, b)

今此進饌敎是時, 典樂樂工服飾新備物力自 戶曹上下事奉承下敎敎是置 依後錄件數磨鍊上下之地宜當【戶曹】

이번 진찬교에는 전악·악공 복식에 새로 갖출 물력을 호조에서 하교를 받들어 하고, 후록에 따라 건수를 마련한다.【호조】

典樂所著綠衫六件【外拱草綠生綃 內拱藍綿紬】 冒羅幞頭六件【具纓子】 也字帶 六件
전악이 입는 녹삼(綠衫) 6건【외공(겉감) 초록색 생초, 내공(안감) 남색 명주】 모라복두 6건【영자를 갖춘다】 야자대 6건

殿上樂工所著紅圑領五十十件【外拱紅綿紬 內拱藍綿紬】 畫花幞頭五十件【具纓子】
전상악공이 입는 홍단령 50건【외공(겉감) 홍색 명주, 내공(안감) 남색 명주】 화화복두 50건【영자를 갖춘다】

軒架樂工所著紅團領四十件【紅綿紬】 畫花幞頭四十件【具纓子】
헌가악공이 입는 홍단령 40건【홍색 명주】 화화복두 40건【영자를 갖춘다】

☞전악 복식(6건): 모라복두, 녹삼(겉감 초록색 생초, 안감 남색 명주), 야자대
☞전상악공 복식(50건): 화화복두, 홍단령(겉감 홍색 명주, 안감 남색 명주)
☞헌가악공 복식(40건): 화화복두, 홍단령(홍색 명주)


권1 '내관(來關)'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1월 11일

정해진찬의궤 권1 063ab 내관 병술11월11일.jpg
(『(丁亥)進饌儀軌』 卷1 「來關」 063a, b)

黃海道觀察使, 爲到付事, …

황해도 관찰사가 보낼 일은, …
靑鶴一隻, 白鶴一隻, 鶴衣二件, 鶴襪二雙, 蓮峯板二坐, 蓮花葉十二片, 花冠一雙, 羅衫二件, 紅絲帶二件.
청학 1쌍, 백학 1쌍, 학의 2건, 학말(버선) 2쌍, 연봉판 2좌, 연꽃잎 20편, 화관 1쌍, 나삼 2건, 홍사대 2건

☞학무를 추는 무동의 복식에는 청학·백학 모형과 학무를 출 때 입는 옷(학의), 버선(학말)이 있고, 이 물품들은 황해도에서 보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함께 보내는 물품 중 화관, 나삼, 홍사대는 누가 착용하는 어떤 모양의 물품인지 이 내용만으로는 정확히 알기 어렵다.


병술 11월 13일

정해진찬의궤 권1 063ab 내관 병술11월13일.jpg
(『(丁亥)進饌儀軌』 卷1 「來關」 059a, b)

禮曹爲相考事節啓下敎曹單子今此內進饌敎是時習儀吉日令日官推擇則初度來正月初十日二度同月十 七日三度同月二十五日俱吉云以此日擧行而初二度 習儀則各日早朝進饌所堂郞俱以黑團領本所良中行禮爲白乎旀 三度習儀乙良依正日例萬慶殿行禮爲白乎矣


☞첫 번째 연습날: 정월 초 10일
☞두 번째 연습날: 정월 17일
☞세 번째 연습날: 정월 25일
☞첫 번째, 두 번째 연습은 이른 아침에 진찬소 당랑(堂郞)이 흑단령을 입고 본소에서 예를 행함.
☞세 번째 연습은 정일례(正日例)에 의거하여 만경전에서 예를 행함.


병술 11월 20일

정해진찬의궤 권1 064ab 내관 병술11월20일.jpg
(『(丁亥)進饌儀軌』 卷1 「來關」 064a, b)

慶州府尹爲上送事節到付關內乙用良本府所在靑白鶴諸具樂工處準授上送事據到付


☞경주에서 학무에 필요한 청·백학 관련 물품을 보냈고, 악공도 보냈음을 알 수 있다.


권2 '품목(稟目)'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0월 28일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0월28일 1.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4a, b)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0월28일 2.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5a, b)

今此進饌敎是時舞鼓女伶所著服飾當爲磨鍊

금차진찬교이시무고여령소착복식당위마련
이번 진찬교에 무고 여령의 복식을 당연히 마련하여야 하는데

而取考己丑謄錄則以靑赤白柳綠各一名磨鍊
이취고기축등록즉이청적백유록각일명마련
기축등록을 참고하면 청색 적색 백색 유록색 각 1명 마련하였고,

戊申謄錄則依樂學軌範圖式例以四色各一雙磨鍊
무신등록즉의악학궤범도식례이사색각일쌍마련
무신등록에는 악학궤범 도식의 예에 의거하여 4색으로 각 한쌍 마련하였고,

而丁丑年則以八名擧行服飾只四名磨鍊載錄矣
이정축년즉이팔명거행복식지사명마련재록의
그리고 정축년에는 8명이 거행하였으나 복식은 단지 4명만 마련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今番則以幾名磨鍊是乯喩指一處分何如稟事據依丁丑年例磨鍊
금번즉이기명마련이올유지일처분하여품사근거정축년례마련
이번에 몇 명으로 마련할지 지시해주시면 정축년 예에 근거하여 마련하겠습니다.

☞무고(舞鼓) 여령 복식: 청·적·백·유록색의 전복 각 1개씩 준비.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0월28일 3.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

今此進饌敎是時呈才女伶三十六名所著服飾當爲製造

금차진찬교이시정재여령삼십육명소착복식당위제조
이번 진찬교에서 정재여령 36명의 복식을 당연히 제조해야 하고

而依後錄每名錢十五兩式上下何如稟事據依稟
이의후록매명전십오량식상하하여품사거의품
후록에 의거하여 매 명당 값이 15냥씩 정도로 어떠한지 품사하여 내려주는 내용에 근거할 것입니다.

女伶三十六名每名冠價錢一兩八錢花價錢一兩
여령삼십육명매명관가전일량팔전화가전일량
여령 36명의 매 명당 관(冠)의 값은 1냥 8전이고, 꽃의 값은 1냥입니다.

衣次黃綃十七尺價錢四兩二錢五分
의차황초십칠척가전사량이전오분
의(衣)는 황색 초(綃) 17척으로 만들고 값은 4냥 2전 5푼입니다.

裳次紅綃九尺五寸價錢二兩三錢七分
상차홍초구척오촌가전이량이전7분
치마는 홍색 초(綃) 9척 5촌으로 만들고 값은 2냥 2전 7푼입니다.

帶次紅貢緞長七尺廣四寸價錢三兩二錢付金次金箔一束價錢二兩
대차홍공단장칠척광사촌가전이량이전부금차금박일속가전이량
허리띠는 홍색 공단으로 길이 7척 너비 4촌으로 만들고 값은 2냥 2전입니다. 부금(付金)은 금박 1속으로 하고 값은 2냥입니다.

汗衫次五色綃各長一尺廣二寸價錢三錢八分式
한삼차오색초각장일척광이촌가전삼전팔분식
한삼은 오색 초로 만들며 각 색마다 길이 1척 너비 2촌으로 하고 값은 3전 8푼씩입니다.

以上錢五百四十兩
이상전오백사십량
이상 합이 540냥입니다.

☞정재여령 36명이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차비와 여령의 역할을 겸한 인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더 자세한 명단과 인원수는 권3의 내용과 비교하여 분석해야 한다.
☞정재여령 1명의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은 아래의 표로 정리.


  • 정재여령 1명의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
품목 색상 및 재료 소요량
1냥 8전
1냥
상의 황색 초 17척 4냥 2전 5푼
치마 홍색 초 9척 5촌 2냥 2전 7푼
허리띠 홍색 공단 길이 7척, 너비 4촌 2냥 2전
허리띠 부금 금박 1속 2냥
한삼 오색 초 각 색 길이 1척, 너비 2촌 3전 8푼
총 합계 15냥

병술 11월 초 3일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1월초3일 1.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呈才服飾當爲製造矣 所入物力磨鍊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

금차진찬교이시선천여령구명소착정재복식당위제조의 소입물력마련후록앙품의차상하하여품사거의품
이번 진찬교에 선천여령 아홉명의 정재복식을 마땅히 지어야 하는데, 거기에 필요한 물력(物力) 마련을 후록하여 아뢰니 이에 의거하여 조절함이 어떠한지 품사합니다.

花冠九件【具簪】每件價錢十六兩五錢
화관구건【구잠】매건가전십육냥오전
화관 9건(비녀를 갖춘다)은 매 건마다 값 16냥 5전

紅裳【雪漢綃】九件【具纓】每件價錢十一兩
홍상【설황초】구건【구영】매건가전십일냥
홍색 치마【설황초】 9건【끈을 갖춘다】 매 건마다 값 11냥

黃單衫【雪漢綃】九件每件價錢二十五兩
황단삼【설황초】구건매건가전이십오냥
황단삼【설황초】 9건은 매 건마다 값 25냥

五色汗衫【雪漢綃】九件【具纓】每件價錢三十六兩
오색한삼【설황초】구건【구영】매건가전삼십육냥
오색한삼【설황초】 9건【끈을 갖춘다】 매 건마다 값 36냥

紅帶【貢綾】九件【具金箔】每件價錢二十五兩
홍대【공릉】구건【구금박】매건가전이십오냥
홍색 허리띠【공릉】 9건【금박을 갖춘다】 매 건 값 25냥

針工每件錢十五兩
침공매건전십오냥
침공은 매 건마다 값 15냥

以上錢一千二百四十六兩五錢
이상 돈을 합하면 1246냥 5전 입니다.

☞선천(宣川)에서 여령 9명을 보냄.
☞선천여령 1명의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은 아래의 표로 정리.


  • 선천여령 1명의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의 값과 9명분의 총 합계
품목 색상 및 재료 소요량
화관 비녀를 갖춤 16냥 5전
홍색치마 설황초 11냥
황단삼 설황초 25냥
오색한삼 설황초 36냥
홍색허리띠 공릉. 금박 25냥
9명 복식 총 합계 1246냥 5전

☞위의 내용을 비교해보면, 병술 10월 28일에 서술한 정재여령 복식 값과 11월 초 3일에 서술한 선천여령 복식의 값이 심하게 차이난다.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1월초3일 2.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6a, b)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1월초3일 3.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

今此進饌敎是時宣川女伶九名所著差僃服飾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上下何如稟事據依稟

금차진찬교이시선천여령구명소착차비복식불가불자본소제조이급을잉우소입물력급공전후록앙품의상하가여품사거의품
이번 진찬교에 선천여령 9명의 차비복식을 본소에서 제조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물력(物力) 및 공전(工錢)을 후록하여 아뢰니 이에 의하여 조절함이 어떠한지 품사합니다.

加里麻九件所入黑洋貢綾十尺價錢二十五兩【每尺二兩五錢】
가리마 9건의 소입은 흑양공릉 10척이며 값은 25냥【매 척마다 25전】

表筒紙六張價錢九兩【每張一兩五錢】
표통지 6장의 값은 9냥【매 장마다 1냥 5전】

紫芝纓九巨里價錢九錢【每巨里一錢】
자색 끈 9거리의 값 9전【매 거리마다 1전】

白紙一卷價錢一兩四錢
백지 1권의 값 1냥 4전

白銅釵九柄價錢三十兩六錢【每柄三兩四錢】
백동비녀(채) 9병의 값 30냥 6전【매 병 3냥 4전】

絹莫只九件外拱次草綠八兩紬五十四尺價錢一百八十九兩【每尺三兩五錢】
견마기(저고리) 9건 겉감은 초록색 팔량주 54척으로 값 189냥【매 척마다 3냥 5전】

巨等/乙只次白八兩紬六尺價錢二十一兩【每尺三兩五錢】
거들지는 백색 팔량주 6척 값 21냥【매 척마다 3냥 5전】

內拱次洋紗二十三尺價錢二十二兩【每尺九錢六分】
내공은 양사 23척 값 22냥【매 척마다 9전 6푼】

係次紫芝八兩紬三尺五寸價錢十二兩二錢五分【每尺三兩五錢】
계(묶는 것)은 자색 팔량주 3척 5촌 값 13냥 2전 5푼【매 척마다 3냥 5전】

工錢四十兩五錢
공임비 40냥 5전

草綠鞋九部價錢四十九兩五錢【每部五兩五錢】
초록혜 9부 값 49냥 5전【매 부마다 5냥 5전

以上錢四百一兩一錢五分
이상 돈을 합하면 401냥 1전 5푼 입니다.

☞선천여령이 차비 역할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선천여령의 차비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은 아래의 표로 정리


  • 선천여령 9명의 차비 복식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
품목 색상 및 재료 소요량
가리마 흑색 양공릉 10척 25냥(1척에 25전)
표통지(가리마 부속) 6장 9냥(1장에 1냥 5전)
끈(가리마 부속) 자색 9거리 9전(1거리에 1전)
백지(가리마 부속) 1권 1냥 4전
백동비녀 백동 30냥 6전(1병에 3냥 4전)
견마기 겉감 초록색 팔량주 54척 189냥(1척에 3냥 5전)
견마기 안감 양사 23척 22냥(1척에 9전 6푼)
거들지(견마기 부속) 백색 팔량주 6척 21냥(1척에 3냥 5전)
끈(견마기 부속) 자색 팔량주 3척 5촌 13냥 2전 5푼(1척에 3냥 5전)
초록혜 49냥 5전(1부에 5냥 5전)
9명 복식 총 합계 401냥 1전 5푼

☞초록색 견마기 1건의 소요량은 6척, 값은 21냥이다.
☞위의 자료에서 10월 28일에 서술한 정재여령의 정재복식 황색상의(4냥 2전 5푼) 보다 11월 초 3일 선천여령 견마기 값(겉감만 21냥)이 훨씬 비싸게 나타난다.


정해진찬의궤 권2 품목 병술11월초3일 4.jpg
(『(丁亥)進饌儀軌』 卷2 「稟目」 007a, b)

今此進饌敎是時平壤童妓四名所著私服不可不自本所製造以給乙仍于所入物力及工錢後錄仰稟依此上下何如稟事據依稟

금차진찬교이시평양동기네명소착사복불가불자본소제조이급을잉우소입물력급공전후록앙품의차상하하여품사거의품
이번 진찬교에 평양 동기 4명의 사복을 본소에서 제조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물력(物力) 및 공전(工錢)을 후록하여 아뢰니 이에 의하여 조절함이 어떠한지 품사합니다.

赤古里八件【每名二件】
저고리 8건【매 명마다 2건】

外拱粉紅倭紬二十四尺【每件三尺】價錢六十兩【每尺二兩五錢】
외공(겉감) 분홍색 왜주 24척【매 건마다 3척】 값 60냥【매 척마다 2냥 5전】

內拱洋木九尺六寸【每件一尺二寸】價錢九兩六錢【每尺一兩】
내공(안감) 양목 9척6촌【매 건마다 1척 2촌】 값 9냥 6전【매 척마다 1냥】

藍裳四件【每名一件】三八紬四十八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六十八兩【每尺三兩五錢】
남색 치마 4건【매 명마다 1건】 삼팔주 48척【매 건마다 12척】 값 168냥【매 척마다 3냥 5전】

腰及纓次洋木兩尺【每件五寸】價錢二兩【每尺一兩】
허리말기와 끈은 양목 2척【매 건마다 5촌】 값 2냥【매 척마다 1냥】

玉色裳四件【每名一件】綿紬五十六尺【每件十四尺】價錢六十四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
옥색 치마 4건【매 명마다 1건】 명주 56척【매 건마다 14척】 값 64냥 4전【매 척마다 1냥 1전 5푼】

腰及纓次洋木兩尺【每件五寸】價錢二兩【每尺一兩】
허리말기와 끈은 양목 2척【매 건마다 5촌】 값 2냥【매 척마다 1냥】

廣袴八件【每名二件】綿紬九十六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十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
너른바지 8건【매 명마다 2건】 명주 96척【매 건마다 12척】 값 110냥 4전【매 척마다 1냥 1전 5푼】

腰及纓次洋四尺【每件五寸】價錢四兩【每尺一兩】
허리말기와 끈은 양목 4척【매 건마다 5촌】 값 4냥【매 척마다 1냥】

甲袴八件【每名二件】
겹바지 8건【매 명마다 2건】

外拱綿紬九十六尺【每件十兩尺】價錢一百十兩四錢【每尺一兩一錢五分】
외공(겉갑) 명주 96척【매 건마다 12척】 값 110냥 4전【매 척마다 1냥 1전 5푼】

內拱洋木四十尺【每件五尺】價錢四十兩【每尺一兩】
내공(안감) 양목 40척【매 건마다 5척】 값 40냥【매 척마다 1냥】

腰及纓次洋木四尺【每件五寸】價錢四兩【每尺一兩】
허리말기와 끈은 양목 4척 【매 건마다 5촌】 값 4냥【매 척마다 1냥】

襪十二件【每名三件】
버선 12건【매 명마다 3건】

外拱白三升九尺六寸【每件八寸】價錢十兩【每尺一兩四分】
외공(겉감) 백색 삼승 9척 6촌【매 건마다 8촌】 값 10냥【매 척마다 1냥 4푼】

內拱白木十九尺二寸【每件一尺六寸】價錢九兩六錢【每尺五錢】
내공(안감) 백색 목 19척 2촌【매 건마다 1척 6촌】 값 9냥 6전【매 척마다 5전】

赤古里及甲袴與襪所入去核六斤價錢三十九兩【每斤六兩五錢】
저고리와 겹바지와 버선에는 거핵(솜)이 6근 들어간다. 값 39냥【매 근마다 6냥 5전】

搗砧及針工錢八十八兩六錢五分
도침침공의 값은 88냥 6전 5푼

油鞋四部【每名一部】價錢二十八兩【每部七兩】
유혜 4부【매 명마다 1부】 값 28냥【매 부마다 7냥】

手巾四件【每名一件】黃綿紬十尺【每件兩尺五寸】價錢十一兩【每尺一兩一錢】
수건 4건【매 명마다 1건】 황색 명주 10척【매 건마다 2척 5촌】 값 11냥【매 척마다 1냥 1전】

以上錢七百六十一兩五分
이상 돈을 합하면 761냥 5푼 입니다.

☞평양에서 동기(童妓) 4명을 보냄.
☞평양동기의 개인 복식(私服)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은 아래의 표로 정리


  • 평양동기 4명의 사복에 소요되는 재료와 값
품목 수량 색상 및 재료 소요량
저고리(겉감) 8건 분홍색 왜주 24척(1건에 3척) 60냥(1척에 2냥 5전)
저고리(안감) 양목 9척 6촌(1건에 1척 2촌) 9냥 6전(1척에 1냥)
남색치마 4건 남색 삼팔주 48척(1건에 12척) 168냥(1척에 3냥 5전)
남색치마의 허리끈 양목 2척(1건에 5촌) 2냥(1척에 1냥)
옥색치마 4건 옥색 명주 56척(1건에 14척) 64냥(1척에 1냥 1전 5푼)
옥색치마의 허리끈 양목 2척(1건에 5촌) 2냥(1척에 1냥)
너른바지 8건 명주 96척(1건에 12척) 110냥 4전(1척에 1냥 1전 5푼)
너른바지의 허리끈 양목 4척(1건에 5촌) 4냥(1척에 1냥)
겹바지(겉감) 8건 명주 96척(1건에 12척) 110냥 4전(1척에 1냥 1전 5푼)
겹바지(안감) 양목 40척(1건에 5척) 40냥(1척에 1냥)
겹바지의 허리끈 양목 4척(1건에 5촌) 4냥(1척에 1냥)
버선(겉감) 12건 백색 삼승 9척 6촌(1건에 8촌) 10냥(1척에 1냥 4푼)
버선(안감) 백색 무명 19척 2촌(1건에 1척 6촌) 9냥 6전(1척에 5전)
저고리·겹바지·버선 솜 6근 39냥(1근에 6냥 5전)
유혜 4부 28냥(1부에 7냥)
수건 4건 황색 명주 10척(1건에 2척 5촌) 11냥(1척에 1냥 1전)
4명 복식 총 합계 761냥 5푼
  • 평양동기 사복을 통해 알 수 있는 재료별 가격
재료 단위 가격 사용된 품목
유혜 1부 7냥 신발
1근 6냥 5전 저고리, 겹바지, 버선
삼팔주 1척 3냥 5전 남색치마
왜주 1척 2냥 5전 저고리 겉감
명주 1척 1냥 1전 5푼 옥색치마, 너른바지, 겹바지 겉감
수건용 명주 1척 1냥 1전 수건
삼승 1척 1냥 4푼 버선 겉감
양목 1척 1냥 저고리·겹바지 안감, 남색치마·옥색치마·너른바지·겹바지 허리끈
무명 1척 5전 버선 안감

권2 '감결(甘結)'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병술 10월 15일

정해진찬의궤 권2 023ab 감결 병술10월15일.jpg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3a, b)

정해진찬의궤 권2 024ab 감결 병술10월15일.jpg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4a, b)

右甘結今二十日本所始役時各處所女伶盡數待令于 右營新營是矣預先修成冊來納爲旀等待時各其掌 領付事【內醫院尙衣院工曹】

右甘結本所女伶肄習自今二十日爲始右營新營良中 設行去乎善唱禮貌官率事書員逐日待令事【通禮院】
右甘結本所始役在今二十日是如乎各差備樂器風物 前期等待于右營新營事【掌樂院】

☞내의원, 상의원, 공조에서 의녀, 침선비를 여령으로 참여시킴.
여령의 연습은 10월 20일에 시작. 우영과 신영에서 설행. 통례원에서 담당.
☞10월 20일 연습날에 맞춰 장악원에서 악기와 풍물을 준비. </b>
</font>


정해 정월 초 5일

정해진찬의궤 권2 026ab 감결 정해정월초5일.jpg
(『(丁亥)進饌儀軌』 卷2 「甘結」 023a, b)

右甘結今此進饌敎是時賜饌床擧行床排軍各一百名及所靑衣靑巾各二百件…


右甘結今此進饌敎是時儀仗差備下典女伶依前例以各宮婢子抄定擧行是如乎婢子十二名另爲抄選鮮服著今初十日初度習儀爲始待令于萬歲門近處事【內需司

☞상배군 100명은 청색 옷(청의)과 청색 모자(청건)를 착용했다.
☞의장차비의 하전여령은 각 궁의 비자 12명으로 구성.
이들의 첫 연습은 정월 초 10일에 실시.


권2 '채화(綵花)'에 쓰여진 참여자 머리 꽃장식

정해진찬의궤 권2 062ab 채화.jpg
(『(丁亥)進饌儀軌』 卷2 「綵花」 062a, b)

정해진찬의궤 권2 063ab 채화.jpg
(『(丁亥)進饌儀軌』 卷2 「綵花」 063a, b)

絲圈花 四本 長一尺二寸 以銀爲 各色絨絲造花銀銅絲爲

사권화 4본, 길이 1척2촌, 은받침, 각색 융사로 조화와 잎을 만들고, 은·구리실로 고정한다.
外賓以下及問安諸臣 首拱花紅桃二枝花
외빈이하와 문안제신의 수공화는 홍도2지화를 사용한다.
內賓及女官 首拱花用紅桃二枝內下唐假花一枝爲三枝花
내빈과 여관의 수공화는 홍도2지에 내하한 당가화1지를 더하여 3지화를 사용한다.
呈才女伶 首拱花用水波蓮內下唐假花二枝添入
정재여령의 수공화는 수파련에 내하한 당가화2지를 더하여 사용한다.

☞왕실인원 사권화 : 4본 제작. 길이 1척 2촌. 은받침 사용.
권1 '의주'와 권3 '배설' 내용을 통해 진찬 중 '진화'의식에 사용된 왕, 왕비, 왕세자, 왕세자빈의 사권화 내용인 것으로 추정된다.
☞외빈 이하, 문안제신 수공화 : 홍도2지화
☞내빈, 여관 수공화 : 홍도2지화 + 당가화1지
☞정재여령 수공화 : 수파련 + 당가화2지


권2 '기용(器用)'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본소(本所)에서 새로 준비할 물품

정해진찬의궤 권2 064ab 기용.jpg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

絲圈花銀簇四箇【合所入天銀二兩及匠料竝錢一百二十兩】

사권화 은족(받침) 4개【전체 소용은 천은(품질 좋은 은) 2냥과 장인에게 지급하는 돈 120냥】

☞사권화의 받침은 품질 좋은 은으로 만든다.


주원숙설소의 소용(所用)

정해진찬의궤 권2 067ab 기용.jpg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

정해진찬의궤 권2 068ab 기용.jpg
(『(丁亥)進饌儀軌』 卷2 「器用」 068a, b)

廚院熟設所所用 … 軍人所著靑衣靑巾各五十件【以上濟用監用後還下】…

주원숙설소 소용 … 군인이 입는 청의, 청건 각 50건【이상 제용감이며 사용 후 돌려보낸다】

☞군인 50명은 청의와 청건을 착용한다.


권3 '의위(儀衛)'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내진찬시 시위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內進饌時侍衛各差備

【啓請前導尙宮及都副執事·尙寢·典言·司贊·贊笏·典贊·典燈女官,
戴於亐味, 著黑紗圓衫·三色緣廣袖·裏藍色裳·表藍紗裳·藍色金繡帶·紅色溫鞋;
계청, 전도상궁과 도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은
어유미를 하고, 삼색연의 넓은 소매인 흑사원삼, 안에 남색치마, 겉에 남사상(藍紗裳)을 입고,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侍衛·贊請·承引·前引尙宮及尙食·尙飾·尙饌·尙記·典飾·尙引·司引·典賓·典膳各差僃女官,
戴於亐味, 著草綠圓衫·三色緣廣袖·裏藍色裳·表紅紗裳·藍色金繡帶·紅色溫鞋;
시위, 찬청, 승인, 전인상궁과 상식(尙食), 상식(尙飾),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은
어유미를 하고, 삼색연의 넓은 소매인 초록색 원삼, 안에 남색치마, 겉에 홍사상(紅紗裳)을 입고, 남색금수대를 두르고, 홍색온혜를 신는다.

各差備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裏藍色裳·表紅綃裳·紅緞金縷繡帶·繫五色汗衫·草綠鞋;
각 차비여령은
화관을 쓰고, 황초단삼, 안에 남색치마, 겉에 홍초상(紅綃裳)을 입고, 홍단금루수대를 두르고, 오색한삼을 착용하고, 초록혜를 신는다.

門外儀仗奉持婢子,
戴加里麻, 著草綠丹衣·藍色裳·繫白紬汗衫·黑鞋】
문 밖에서 의장을 드는 비자는
가리마를 쓰고, 초록단의(당의), 남색치마를 입고, 백색 주로 만든 한삼을 착용하고, 흑혜를 신는다.


☞ 여관 직무에 따른 복장

직무 복식
계청, 전도상궁, 도집사, 부집사, 상침, 전언, 사찬, 찬홀, 전찬, 전등여관 어유미, 흑원삼, 남색치마, 남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시위, 찬청승인, 전인상궁, 상식, 상사, 상찬, 상기, 전식, 상인, 사인, 전빈, 전선, 각 차비여관 어유미, 초록원삼, 남색치마, 홍사상, 남색금수대, 홍색온혜
차비 여령 화관, 황초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문외의장 봉지비자 가리마, 초록당의, 남색치마, 흰색한삼, 흑혜
만경전진찬 때 대왕대비전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大王大妃殿

啓請尙儀一,
左右贊禮尙官二,
侍衛尙宮二,
寶差備一,
繖扇差備二,
香串之差備二,
爐烟升差備二,
壽酒亭兼茶亭差備尙食一,
進揮巾差備尙食一 【進匙楪兼行】
進御饌差備尙食二,
進壽爵差備尙食一,
進茶差備尙食一 【進壽 爵差備兼】
宣敎差備一 【啓請尙儀兼】
賜酒差備尙食一, 都執事一, 副執事一 【宣敎差僃兼】
司贊一 【都執事兼】
典贊二,
內賓頒花時唱名差備一,
尙寢一
致詞箋文凾奉入差備尙記一,
以上女官各差備二十八人 【竝簾內擧行】
이상 주렴 안에서

☞주렴 안에서 활동하는 여관 차비를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계청 상의 1
좌우찬례 상궁 2
시위 상궁 2
보차비 1
산선차비 2
향꽂이차비 2
노연승차비 2
수주정 겸 다정차비 상식 1
진휘건차비 상식 1 진시접 겸행
진어찬차비 상식 2
진수작차비 상식 1
진다차비 상식 1 진수작차비를 겸함
선교차비 1 계청상의 겸함
사주차비 상식 1
집사 1
집사 1 선교차비 겸함
사찬 1 도집사 겸함
전찬 2
내빈반화때 창명차비 1
상침 1
치사전문함봉입차비 상기 1
28 이상 여관 각 차비 28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24 ※ 3인의 겸행이 있음. 총 24인.


奉揮巾差備一 【花仙】

奉御饌差備二 【洞庭月•花仙•傳捧女官】
外賓頒花時唱名差備二 【蕙玉•芙蓉】
鳳扇差備二 【弄珠•小香】
雀扇差備二 【月仙•琪月】
紅蓋差備一 【雪花】
靑蓋差備一 【鶴仙○婢子奉持傳捧女伶】
以上女伶各差備十一名 【竝簾外擧行】
이상 주렴 밖에서

☞주렴 밖에서 활동하는 차비 여령을 아래에 표로 정리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경전진찬' 때에 이들은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봉휘건차비 1 화선
봉어찬차비 2 동정월, 화선 전봉여관
창명차비 2 혜옥, 부용 외빈 반화시
풍선차비 2 롱주, 소향
작선차비 2 월선, 기월
홍개차비 1 설화
청개차비 1 학선 婢子奉持傳捧女伶 비자가 전봉여령으로 봉지한다
11 이상 여령 각 차비 11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10 ※ 1인의 겸행이 있음. 총 10인.


陽繖差備一,

金罐子差備二,
銀罐子差備一,
旄節差備一,
旌差備一,
以上婢子各差備十二名 【竝門外奉持】
이상 문 밖에서

旌節八, 龍扇二, 鳳扇二, 雀扇二, 尾扇二, 引人杖二, 蓋四 【竝簾外, 只插儀仗機, 而女伶不爲奉持】
주렴 밖에 의장을 세워두고 여령이 들지 않는다.

☞문 밖에서 활동하는 비자 차비를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양산차비 1
금관자차비 2
은관자차비 1
모절차비 1
정차비 1
6 이상 비자 각 차비 12인. 모두 문 밖에서 봉지.
12
만경전진찬 때 대전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4ab 의위 3.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大殿

承導尙宮二,
侍衛尙宮二,
以上女官各差備四人 【竝簾內擧行】
이상 여관 각 차비는 주렴 안에서 거행

啓請差備一 【蓮心】
前導差備二 【彩鳳·鳳心】
侍衛六 【花香·姸紅·杏花·錦雲·仙喜·蘭香】
繖扇差備二 【錦仙·春雲】
日傘差僃一 【桃花】
啓字差備一 【錦花】
酒亭兼茶亭差備一 【錦喜進茶兼行】
進揮巾兼進匙楪進花差備一 【蘭香侍衛兼行】
奉御饌差僃二 【蓮心, 啓請兼行; 錦喜, 酒亭兼行】
進御饌差備二 【仙喜·蘭香侍衛兼行】
笏記差備二 【玉眞·明喜】
東西唱二 【錦紅·貞喜】
執事二 【明喜笏記兼行, 雲香】
代致詞讀箋文差備一 【小月】
展箋文差備二 【蓮心, 啓請兼行; 錦喜, 酒亭兼行】
陪致詞箋文凾兼承敎差備一 【小月, 代致詞兼行】
以上女伶各差備二十九名 【竝簾外擧行】
이상 여령 각 차비는 주렴 밖에서 거행

☞이상의 내용을 아래의 표로 정리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만경전진찬' 때에 이들은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한 것을 알 수 있다.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승도 상궁 2
시위 상궁 2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계청차비 1 연심
전도차비 2 채봉, 봉심
시위 6 화향, 연홍, 행화, 금운, 선희, 난향
산선차비 2 금선, 춘운
일산차비 1 도화
계자차비 1 금화
주정겸다정차비 1 금희 금희가 진다를 겸행.
진휘건겸진시접진화차비 1 난향 난향이 시위를 겸행.
봉어찬차비 2 연심, 금희 연심이 계청 겸행. 금희가 주정 겸행.
진어찬차비 2 선희, 난향 선희, 난향이 시위 겸행.
홀기차비 2 옥진, 명희
동서창 2 금홍, 정희
집사 2 명희, 운향 명희가 홀기를 겸행.
대치사독전문차비 1 소월
전전문차비 2 연심, 금희 연심은 계청 겸행. 금희는 주정 겸행.
배치사전문함겸승교차비 1 소월 소월이 대치사를 겸행.
29 이상 여령 각 차비 29명. 모두 발 밖에서 거행
24 ※ 겸행이 있음. 총 24인.


☞만경전진찬 때 대전의 '시위 각 차비' 중에 주렴 밖에서 활동한 인물을 중심으로 직무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 직무
금선 산선차비
금운 시위
금홍 동서창
금화 계자치비
금희 주정겸다정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난향 시위,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진어찬차비
도화 일산차비
명희 홀기차비, 집사
봉심 전도차비
선희 시위, 진어찬차비
소월 대치사독전문차비, 배치사전문함 겸 승교차비
연심 계청차비, 봉어찬차비, 전전문차비
연홍 시위
옥진 홀기차비
운향 집사
정희 동서창
채봉 전도차비
춘운 산선차비
행화 시위
화향 시위
만경전진찬 때 중궁전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4a, b)

中宮殿

啓請尙宮一,
前導尙宮二,
侍衛尙宮二,
繖扇差備二,
陽繖差備一,
酒亭兼茶亭差備尙食一,
進御饌差備尙食二,
進花差備尙飾一,
進揮巾差備尙食一 【進花差備兼】
進茶差備尙食一 【進匙楪兼行】
代致詞差備典言一,
承敎差備一 【啓請尙宮兼】
以上女官各差備十六人 【竝簾內擧行】
이상 모두 주렴 안에서 거행

☞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계청 상궁 1
전도 상궁 2
시위 상궁 2
산선차비 2
양산차비 1
주정겸다정차비 상식 1
진어찬차비 상식 2
진화찬차비 상식 1
진휘건차비 상식 1 진화차비가 겸함.
진다차비 상식 1 진시접을 겸함.
대치사차비 전언 1
승교차비 1 계청상궁이 겸함.
16 이상 여관 각 차비 16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14 ※ 겸행이 있음. 총 14인.


奉御饌差備二 【竹葉•雪花, 簾外擧行】

주렴 밖에서 거행


☞죽엽과 설화는 왕실인원과 내외빈의 차비 역할을 하였다.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봉어찬차비 2 죽엽, 설화 발 밖에서 거행.
만경전진찬 때 세자궁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3.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5a, b)

世子宮承導尙宮二, 陪衛尙宮二, 以上女官各差備四人【竝簾內擧行】


이상 모두 주렴 안에서 거행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승도 상궁 2
배위 상궁 2 이상 여관 각 차비 4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贊請差備一【映珠】

前導差備二【蓮心·小濤】
陪衛六【瓊玉·玉香·杏花·彩雲·玉桂·花容】
繖扇差備二【桂蟾·鶴喜】
日傘差備一【蘭喜】
達字差備一【彩喜】
酒亭兼茶亭差備一【山紅, 進茶兼行】
進揮巾兼·進匙楪·進花差備一【花容, 陪衛兼行】
奉睿饌差備二【映珠, 贊請兼行; 山紅, 酒亭兼行】
進睿饌差備二【彩雲·花容, 陪衛兼行】
代致詞·讀箋文差備一【花仙】
殿箋文差僃二【映珠, 贊請兼行; 山紅, 酒亭兼行】
陪致詞·箋文凾兼承令差備一【花仙, 代致詞兼行】
以上女伶各差備二十三名 【竝簾外擧行】

이상 모두 주렴 밖에서 거행

☞주렴 밖에서 활동한 참여자들의 직무과 함께 이름이 적혀있어 정재무를 추는 정재여령의 명단과 비교할 수 있다.
☞이 중에서 '만경전진찬' 때에 계선과 란희는 정재를 올리지 않았고, 나머지는 정재를 올리기도 하고 행사에 필요한 일손을 돕기도 했다.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찬청차비 1 영주
전도차비 2 연심, 소도
배위 6 경옥, 옥향, 행화, 채운, 옥계, 화용
산선차비 1 학희
산선차비 1 계섬
일산차비 1 란희
달자차비 1 채희
주정겸다정차비 1 산홍 진다를 겸행
진휘건 겸 진시접 진화차비 1 화용 배위를 겸행
봉예찬차비 2 영주, 산홍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진예찬차비 2 채운, 화용 배위를 겸행
대치사독전문차비 1 화선
전전문차비 2 영주, 산홍 영주가 찬청을 겸행. 산흥이 주정을 겸행
배치사전문함 겸 승령차비 1 화선 대치사 겸행
23 이상 여령 각 차비 23인. 모두 발 밖에서 거행.
15 ※ 겸행 있음. 총 15인
만경전진찬 때 세자빈궁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5ab 의위 4.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5a, b)

世子嬪宮

贊請尙宮一,
前引尙宮二,
陪衛尙宮二,
繖扇差備二,
酒亭兼茶亭差備一,
進睿饌差備二,
進花差僃一,
進揮巾差備一【進花差備兼】
進茶差備一 【進匙楪兼行】
代致詞差備一,
承令差備一 【贊請尙宮兼】
以上女官各差備十五人 【竝簾內擧行】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찬청 상궁 1
전인 상궁 2
배위 상궁 2
산선차비 2
주정겸 다정차비 1
진예찬차비 2
진화차비 1
진휘건차비 1 진화차비 겸행
진다차비 1 진시접 겸행
대치사차비 1
승령차비 1 찬청상궁 겸행
15 이상 15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13 ※ 겸행 있음. 총 13인


奉睿饌差備二 【鶴仙•月仙, 簾外擧行】


☞월선은 정재여령도 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봉예찬차비 1 월선
봉예찬차비 1 학선
2 발 밖에서 거행
만경전진찬 때 좌우명부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6ab 의위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6a, b)

左右命婦

典賓二,
頒花差備典飾二,
酒卓兼宣饌·行酒差備典膳四,
代致詞差備·典言二,
陪致詞差備二,
以上女官各差備十二人 【竝簾內擧行】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전빈 2
반화차비 전식 2
주탁겸선찬행주차비 전선 4
대치사차비 전언 2
배치사차비 2
12 이상 12인. 모두 발 안에서 거행


饌床差備八 【洞庭月·竹葉·鶴仙·桃花·雪花·桂蟾·月仙·蘭喜】


☞도화, 월선은 정재여령도 겸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찬상차비 2 도화, 월선
찬상차비 6 동정월, 죽엽, 학선, 설화, 계섬, 란희
8
만경전진찬 때 종친·의빈·척신·진찬소 당낭 시위 및 각 차비

정해진찬의궤 권3 016ab 의위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儀衛」 016a, b)

宗親·儀賓·戚臣·進饌堂郞

引接二 【月仙·竹葉】
外唱二 【蕙玉·芙蓉】
頒花差備二 【蕙玉·芙蓉】
代致詞差僃二 【花仙·小月】
陪致詞差備一 【洞庭月】
酒卓兼行酒差備四 【洞庭月·竹葉·月仙·鶴仙】
以上女伶各差備十三名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역할 직위 인원 인명 비고
인접 2 월선, 죽엽
외창 2 혜옥, 부용
반화차비 2 혜옥, 부용
대치사차비 2 화선, 소월
배치사차비 1 동정월
주탁겸행주차비 4 동정월, 죽엽, 월선, 학선
13 이상 여령 각 차비 13인
8 ※ 겸행 있음. 총 8인


☞'여령 각 차비'의 인물별 역할을 표로 정리했다.
☞만경전진찬에서 정재여령 역할을 겸한 인물은 노란색으로 표시.

이름 역할
동정월 배치사차비, 주탁겸행주차비
죽엽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학선 주탁겸행주차비
부용 외창, 반화차비
소월 대치사차비
월선 인접, 주탁겸행주차비
혜옥 외창, 반화차비
화선 대치사차비

권3 '내외빈(內外賓)' 명단

내외빈 명단(김은숙 작성)


권3 '공령(工伶)'에 쓰여진 인물/복장/복식 관련 내용

진찬시 악사와 악공의 복장

정해진찬의궤 권3 022ab 공령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022a, b)

【進饌時,

軒架執事樂師, 戴紗帽, 蓍黑團領, 隨品帶, 黑靴,
헌가집사악사, 사모, 흑단령, 품대, 흑화

執拍典樂, 戴冒羅幞頭, 著綠綃衫, 裏藍紬, 也帶, 黑靴,
집박전악, 모라복두, 녹초삼, 안 남색 주, 야대, 흑화

樂工, 戴畵花幞頭, 著紅紬衣, 烏鞓帶,
악공, 화화복두, 홍주의, 오정대

殿上執事樂師, 執拍典樂, 隊伍典樂, 權著典樂, 樂工服色, 竝同軒架樂師, 典樂樂工而樂工, 內著藍紬衣,
전상집사전악, 집박전악, 대오전악, 권저전악, 악공의 복색은 모두 헌가악사, 전악, 악공과 같은데, 악공은 안에 남색주를 입는다.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


구분 인물 쓰개 허리띠 신발
헌가 집사악사 사모 흑단령 품대 흑화
헌가 집박전악 모라복두 녹초삼(안 남색주) 야대 흑화
헌가 악공 화화복두 홍주의 오정대 흑화
전상 집사악사 사모 흑단령 품대 흑화
전상 집박전악 모라복두 녹초삼(안 남색주) 야대 흑화
전상 대오전악 모라복두 녹초삼(안 남색주) 야대 흑화
전상 권저전악 모라복두 녹초삼(안 남색주) 야대 흑화
전상 악공 화화복두 홍주의(안 남색주) 오정대 흑화

진찬시 정재여령, 동기, 무동의 복장

정해진찬의궤 권3 022ab 공령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工伶」 022a, b)

各舞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 裏藍色裳, 表紅綃裳, 紅緞金縷繡帶, 繫五色汗衫, 草綠鞋,

각 무 정재여령, 화관, 황초단삼, 안 남색상, 겉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초록혜

響鈴舞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繫紅汗衫,
향령무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홍색한삼을 맨다.

佳人剪牧丹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繫玉色汗衫,
가인전목단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옥색한삼을 맨다.

舞山香呈才女伶, 戴花冠, 著藍紬內拱紅甲紗窄袖衣, 金訶子, 紅綃裳, 綠甲紗掛子, 擊五色汗衫, 藍戰帶, 眞紅緞鞋,
무산향 정재여령, 화관, 남색주 내공 홍색갑사 착수의, 금가자, 홍초상, 녹갑사쾌자, 오색한삼, 남색전대, 진홍단혜

舞皷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又各著靑·赤·白·柳綠掛子,
무고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각자 청색·적색·백색·유록색쾌자를 입는다.

春鶯囀呈才女伶, 戴花冠, 著黃綃單衫, 紅綃裳, 草綠霞帔, 紅緞金縷繡帶, 繋五色汗衫, 紅錦繡韝, 眞紅緞鞋,
춘앵전 정재여령, 화관, 황초단삼, 홍초상, 초록하피, 홍단금루수대, 오색한삼, 홍금수구, 진홍단혜

蓮花臺舞呈才童妓, 戴蛤笠, 懸銅鈴, 垂流蘇, 插黃紅薔薇花, 著草綠丹衣, 紅綃襪裙, 紅羅裳, 金花紅羅帶, 繫玉色汗衫, 眞紅緞鞋.
연화대무 정재동기, 합립을 쓰고, 동령(동으로 만든 방울)을 달고, 유소를 드리우며, 황색·홍색 장미를 꽂는다. 초록단의, 홍색말군, 홍라상, 금화홍라대, 옥색한삼, 진홍단혜

尖袖舞呈才女伶服色, 竝同各舞呈才女伶, 而又繫紅緞尖袖,
첨수무 정재여령 복색, 각 무 정재여령과 모두 같으나 홍단첨수를 맨다.

船遊樂執事女伶, 戴朱笠, 插虎鬚, 蜜花, 貝纓, 著藍紗天翼, 眞紅廣帶, 佣筒箇具劍, 執朱漆藤鞭, 黑緞水靴,
선유락 집사여령, 주립을 쓰고, 호수를 꽂고, 밀화로 만든 갓끈을 단다. 남사철릭, 진홍광대, 통개, 검, 주칠등편, 흑단수화자

童妓, 戴花冠, 著草綠甲紗唐衣, 紅紗裳, 紅紬襪裙, 紅緞繡帶, 紅緞繡草鞋
동기, 화관, 초록감사당의, 홍사상, 홍주말군, 홍단수대, 홍단수초혜

劍器舞呈才女伶, 戴戰笠, 著紅綃裳, 鴉靑甲紗掛子, 藍戰帶, 草綠鞋,
검기무 정재여령, 전립, 홍초상, 아청갑사쾌자, 남전대, 초록혜,

鶴舞呈才舞童, 著靑黃袴襪】
학무정재무동, 청색·황색 바지와 버선】

☞이상의 내용을 아래에 표로 정리(권1 '도식'과 권3 '악기풍물' 부분 함께 참고)


구분 쓰개 상의 안치마 겉치마 허리띠 신발 기타
기본 정재여령 복장 화관-여령 황초단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초록혜 오색한삼
향령무 화관-여령 황초단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초록혜 홍색한삼
가인전목단 화관-여령 황초단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초록혜 옥색한삼
무산향 화관-무산향 홍갑사착수의,
녹갑사쾌자
남색치마 홍초상 남색전대 진홍단혜 오색한삼,
금가자
무고 화관-여령 황초단삼,
청색·적색·백색·유록색쾌자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초록혜 오색한삼
춘앵전 화관-춘앵전 황초단삼-춘앵전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진홍단혜 오색한삼,
홍금수구,
초록하피
첨수무 화관-여령 황초단삼 남색치마 홍초상 홍단금루수대 초록혜 오색한삼,
홍단첨수
검기무 산홍모전립 금화협수,
아청색전복
남색치마 홍초상 남색전대 초록혜 무도(무용 검)
선유락집사 주립
(호수, 밀화갓끈)
남사철릭 남색치마 홍초상 진홍광대 흑단수화자 통개, 검,
주칠등편
선유락동기 화관-선유락동기 초록갑사단의 홍주말군 홍사상 홍단수대 홍단수초혜
(연화대무 동기와 같다)
연화대무 동기 합립
(동령, 유소,
황색·홍색 장미)
초록단의 홍색말군 홍라상 금화홍라대 홍단수초혜 옥색한삼
학무 청학, 백학 학의 학말(학 버선) 청색·황색 바지


만경전진찬시 전상악차비 및 정재여령 각 차비

이름 역할
부용-芙蓉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우무 여령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선희-仙喜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채운-彩雲 만경전진찬 가인전목단 좌무 여령
동정월-洞庭月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봉휘건 차비
기월-琪月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작선 차비
월선-月仙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작선 차비
부용-芙蓉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창명 차비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창명 차비
학선-鶴仙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청개 차비
롱주-弄珠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풍선 차비
소향-小香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풍선 차비
설화-雪花 만경전진찬 대왕대비전 주렴 밖 홍개 차비
금화-錦花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계자 차비
연심-蓮心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계청 차비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대치사독전문 차비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동서창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동서창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배치사전문함겸승교 차비
금희-錦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연심-蓮心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금선-錦仙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산선 차비
춘운-春雲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산선 차비
금운-錦雲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난향-蘭香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선희-仙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연홍-姸紅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시위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일산 차비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도 차비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도 차비
금희-錦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전문 차비
연심-蓮心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전전문 차비
금희-錦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주정겸다정 차비
난향-蘭香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어찬 차비
선희-仙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어찬 차비
난향-蘭香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진휘건겸진시접진화 차비
명희-明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집사
운향-雲香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집사
명희-明喜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홀기 차비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대전 주렴 밖 홀기 차비
운향-雲香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금척 여령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족자 여령
금화-錦花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죽간자 여령
채희-彩喜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죽간자 여령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몽금척 봉황개 여령
명희-明喜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몽금척 우무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옥향-玉香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몽금척 좌무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무고 원무 여령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옥향-玉香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무고 협무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무산향 무 여령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보상무 봉필 여령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보상무 봉화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채희-彩喜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보상무 우무 여령
금화-錦花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보상무 좌무 여령
월선-月仙 만경전진찬 선유락 거범 여령
기월-琪月 만경전진찬 선유락 거정 여령
경옥-瓊玉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금운-錦雲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금화-錦花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금희-錦喜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난향-蘭香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부용-芙蓉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선희-仙喜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소도-小濤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연심-蓮心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연홍-姸紅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옥향-玉香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채운-彩雲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채희-彩喜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화용-花容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선유락 무 여령
금선-錦仙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영주-映珠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옥계-玉桂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춘운-春雲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학희-鶴喜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향매-香梅 만경전진찬 선유락 예선 여령
기월-琪月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노 여령
월선-月仙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노 여령
명희-明喜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사 여령
운향-雲香 만경전진찬 선유락 집사 여령
채희-彩喜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달자 차비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대치사독전문 차비
경옥-瓊玉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옥계-玉桂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옥향-玉香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채운-彩雲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화용-花容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위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배치사전문함겸승령 차비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영주-映珠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계섬-桂蟾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산선 차비
학희-鶴喜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산선 차비
란희-蘭喜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일산 차비
소도-小濤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도 차비
연심-蓮心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도 차비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전문 차비
영주-映珠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전전문 차비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주정겸다정 차비
채운-彩雲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예찬 차비
화용-花容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예찬 차비
화용-花容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진휘건겸진시접진화 차비
영주-映珠 만경전진찬 세자궁 주렴 밖 찬청 차비
월선-月仙 만경전진찬 세자빈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학선-鶴仙 만경전진찬 세자빈궁 주렴 밖 봉예찬 차비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수연장 봉죽간자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수연장 봉죽간자 여령
명희-明喜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수연장 우무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수연장 좌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아박 우무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아박 우무 여령
난향-蘭香 만경전진찬 아박 좌무 여령
소도-小濤 만경전진찬 아박 좌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봉죽간자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봉죽간자 여령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선모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우무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우무 여령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좌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연백복지무 좌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봉죽간자 여령
행화-杏花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봉죽간자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선모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우무 여령
혜옥-蕙玉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우무 여령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좌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장생보연지무 좌무 여령
향매-香梅 만경전진찬 전상 거휘 차비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전상 선창악장 차비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전상 선창악장 차비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전상 어혁장 차비
운향-雲香 만경전진찬 전상 어혁장 차비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전상 집박 차비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전상 후창악장 차비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전상 후창악장 차비
소월-小月 외빈 대치사 차비
화선-花仙 외빈 대치사 차비
부용-芙蓉 외빈 반화 차비
혜옥-蕙玉 외빈 반화 차비
동정월-洞庭月 외빈 배치사 차비
부용-芙蓉 외빈 외창
혜옥-蕙玉 외빈 외창
월선-月仙 외빈 인접
죽엽-竹葉 외빈 인접
동정월-洞庭月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월선-月仙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죽엽-竹葉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학선-鶴仙 외빈 주탁겸행주 차비
계섬-桂蟾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동정월-洞庭月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란희-蘭喜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설화-雪花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월선-月仙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죽엽-竹葉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학선-鶴仙 만경전진찬 내빈 찬상 차비
설화-雪花 만경전진찬 중궁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죽엽-竹葉 만경전진찬 중궁전 주렴 밖 봉어찬 차비
채봉-彩鳳 만경전진찬 첨수무 우무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첨수무 우무 여령
금홍-錦紅 만경전진찬 첨수무 좌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첨수무 좌무 여령
정희-貞喜 만경전진찬 향령무 우무 여령
채희-彩喜 만경전진찬 향령무 우무 여령
운향-雲香 만경전진찬 향령무 전무 여령
금화-錦花 만경전진찬 향령무 좌무 여령
소월-小月 만경전진찬 향령무 좌무 여령
산홍-山紅 만경전진찬 향령무 후무 여령
연화-蓮花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반 여령
금화-錦花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죽간자 여령
채희-彩喜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죽간자 여령
봉심-鳳心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탁 여령
화향-花香 만경전진찬 헌선도 봉탁 여령
도화-桃花 만경전진찬 헌선도 선모 여령
화선-花仙 만경전진찬 헌선도 우무 여령
옥진-玉眞 만경전진찬 헌선도 좌무 여령



萬慶殿進饌時, 殿庭軒架樂工·內吹及殿上樂工·呈才女伶各差備
殿上…
擧麾差備一 【香梅】
執拍差備一 【桃花】
於赫章差備二 【雲香·小月】
先唱樂章差備二 【小月·山紅】
後唱樂章差備二 【小月·山紅】
○長生寶宴之舞呈才女伶奉竹竿子二 【蓮花·杏花】
左舞二 【玉眞·桃花】
右舞二 【蕙玉·山紅】
仙母一 【錦紅】
○夢金尺呈才女伶奉竹竿子二 【錦花·彩喜】
左舞六 【錦紅·玉眞·蕙玉·桃花·彩鳳·玉香】
右舞六 【明喜·花仙·小月·山紅·貞喜·蓮花】
奉簇子一 【花香】
奉金尺一 【雲香】
奉黃蓋一 【鳳心】
○獻仙桃呈才女伶奉竹竿子二 【錦花·彩喜】
左舞一 【玉眞】
右舞一 【花仙】
仙母一 【桃花】
奉卓二 【鳳心·花香】
奉盤一 【蓮花】
○壽延長呈才女伶奉竹竿子二 【蓮花·杏花】
左舞四 【錦紅·玉眞·蕙玉·山紅】
右舞四 【明喜·貞喜·小月·花仙】
○響鈴舞呈才女伶前舞一 【雲香】
後舞一 【山紅】
左舞二 【小月·錦花】
右舞二 【貞喜·彩喜】
○牙拍呈才女伶左舞二 【小濤·蘭香】
右舞二 【蓮花·杏花】
○寶相舞呈才女伶左舞三 【彩鳳·山紅·錦花】
右舞三 【貞喜·花仙·彩喜】
奉花一 【花香】
奉筆一 【鳳心】
○佳人剪牡丹呈才女伶左舞六 【小月·桃花·貞喜·仙喜·鳳心·彩雲】
右舞六 【蕙玉·彩鳳·花香·芙蓉·杏花·蓮花】
○演百福之舞呈才女伶奉竹竿子二 【蓮花·杏花】
左舞二 【花仙·小月】
右舞二 【貞喜·山紅】
仙母一 【蕙玉】
○尖袖舞呈才女伶左舞二 【錦紅·玉眞】
右舞二 【花仙·彩鳳】
○舞山香呈才女伶舞一 【錦紅】
○船遊樂呈才女伶執事二 【雲香·明喜】
執櫓二 【月仙·琪月】
擧帆一 【月仙】
擧碇一 【琪月】
曳船六 【錦仙·映珠·玉桂·香梅·春雲·鶴喜】
舞二十八 【錦紅·玉眞·花仙·蕙玉·小月·錦花·桃花·山紅·彩鳳·貞喜·彩喜·玉香·蓮花·花香·鳳心·姸紅·杏花·小濤·錦雲·芙蓉·蘭香·錦喜·瓊玉·杏花·仙喜·蓮心·彩雲·花容】
○舞鼓呈才女伶元舞四 【錦紅·玉眞·彩鳳·花仙】
挾舞四 【花香·鳳心·蓮花·玉香】

권3 '악기풍물(樂器風物)'에 쓰여진 복식의 소요량

향발, 향령, 청학, 황학

정해진찬의궤 권3 031ab 악기풍물.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1a, b)

響鈸四雙【前排仍用】

향발 4쌍【이전에 쓰던 것을 그대로 쓴다】

流蘇八件所入【五色眞絲十二兩重貿用
유소 8건 소입【오색진사 12냥중을 사서 쓴다.】

○實入五色眞絲十二兩重價錢七十二兩【每兩重六兩】
실입 오색진사 12냥중 가격은 72냥이다【매 냥중 6냥】

多繪匠工錢八兩
다회장 공전 8냥

以上 折錢 八十兩
이상 80냥이다.
☞향발무에 사용되는 향발 4쌍은 이전에 사용하던 것을 재사용
☞오색진사로 만든 유소 8건 사용


[響鈴六雙【前排仍用】
향령 6쌍【이전에 쓰던 것을 그대로 쓴다】

流蘇十二件所入【五色眞絲二十四兩重貿用】
유소 12건 소입【오색진사 24냥중을 사서 쓴다】

○實入五色眞絲二十四兩重價錢一百四十四兩【每兩重六兩】
실입 오색진사 24냥중 값은 144냥【매 냥중 6냥】

多繪匠工錢 十六兩
다회장 공전 16냥

以上折錢一百六十兩
이상 160냥이다.
☞향령무에 사용되는 향령 6쌍은 이전에 사용하던 것을 재사용
☞오색진사로 만든 유소 12건 사용


靑黃鶴一雙 新造都給價錢二百兩
청학·황학 1쌍을 새로 만드는 값 200냥
☞학무에 사용되는 청학, 황학 1쌍을 새로 만들었고 소요된 값은 200냥이다.




가인전목단 차비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3ab 악기풍물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3a, b)

佳人剪牧丹差備 所著汗衫八件 所入玉色禾紬 三十六尺 貿用

가인전목단 차비가 착용하는 한삼 8건에는 옥색화주 36척을 사서 쓴다.

牧丹花 一百枝一朶 貿用
木樽一坐 前排仍用

○實入玉色禾紬三十六尺 價錢一百二十六兩 每尺三兩五錢
실입 옥색화주 36척은 126냥이 든다. 매 척 2냥 5전이다.

牧丹花一百枝一朶價錢一 百兩以上折錢二百二十六兩

☞가인전목단 옥색한삼은 옥색화주로 만든다. 화주의 값은 1척에 2냥 5전.


선유락 집사차비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3ab 악기풍물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3a, b)

정해진찬의궤 권3 034ab 악기풍물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4a, b)

船遊樂執事差備 所著服飾二件 所入

선유락 집사차비가 착용하는 복식 2건의 소입으로

朱笠 二立
銀笠飾 二件
虎鬚 二件【具】
造蜜花貝纓 二件【銀纓子具】
水靴子 二部
【以上 貿用】
주립 2립, 은입식 2건, 호수 2건【통을 갖춘다】, 인공 밀화로 만든 갓끈 2건【은영자를 갖춘다】, 수화자 2부
이상은 사서 사용한다.


環刀 二部 鞭 二箇
天翼 二件 挾袖 二件
【以上 前排仍用
환도 2부, 편 2개, 철릭 2건, 협수 2건
이상은 이전의 물건을 그대로 사용한다.


紅廣多繪帶 二件【貿用】
鞭手巾 二件 次【草綠衣庫紬 七尺 貿用】
鞭纓 二件【前排仍用】
裹次 黃木 四幅 袱 一件【黃木十一尺 貿用】
홍광다회대 2건【사서 사용】, 편수건 2건【초록색 의고주 7척을 사서 사용】, 편영 2건【이전의 것을 그대로 사용】, 포장(과)은 황목(무명) 4폭 보자기 1건【황목(무명) 11척을 사서 사용】


○實入
朱笠 二立 價錢 四十兩【每立 二十兩】
銀笠飾 二件 價錢 四十兩【每件 二十兩】
虎鬚 二件 價錢 二十兩【每件 十兩】
造蜜花貝纓 二件 價錢 十五兩【每件 七兩五錢】
銀纓子 二件 價錢 七兩四錢【每件 三兩七錢】
水靴子 二部 價錢 三十兩【每部 十五兩】
紅廣多繪帶 二件 價錢 六十兩【每件 三十兩】
草綠衣庫紬 七尺 價錢 二十四兩五錢【每尺 三兩五錢】
黃木 十一尺 價錢 五兩【每尺 四錢六分】
以上 折錢 二百四十一兩九錢
실입
주립 2립 값 40냥【매 립 20냥】
은입식 2건 값 40냥【매 건 20냥】
호수 2건 값 20냥【매 건 10냥】
조밀화끈 2건 값 15냥【매 건 7냥 5전】
은영자 2건 값 7냥 4전【매 건 3냥 7전】
수화자 2부 값 30냥【매 부 15냥】
홍광다회대 2건 값 60냥【매 건 30냥】
초록색 의고주 7척 값 24냥 5전【매 척 3냥 5전】
황색 무명 11척 값 5냥【매 척 4전 6분】
이상 합이 241냥 9전이다.

☞선유락 집사의 복식은 주립(은입식, 호수, 조밀화영, 은영자), 철릭, 협수, 홍광다회, 환도, 등편(편수건, 편영), 수화자로 구성된다. ☞권1 '도식'과 권3 '공령'을 참고하면 여기에 '통개'를 더한다.


선유락 동기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4ab 악기풍물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4a, b)

정해진찬의궤 권3 035ab 악기풍물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

童妓所著服飾 二件 所入

동기 복식 2건 소입

花冠 二件
接只 二件【銀蛙簪 二箇 具】 唐只 四件 次【紫的禾紬 一尺五寸】
豆錫花簪 二箇
繡鞋 二部【以上 貿用】
首拱花 四枝【內下
화관 2건, 첩지 2건【은개구리비녀 2개】, 댕기 4건【자적화주 1척 5촌】, 두석화잠 2개,
수혜 2부【이상 사서 사용】
수공화 4지【내하】

丹衣 二件 次
【外拱 草綠花紋甲紗 九尺
內拱 黃生綃 九尺
團領 及 袖口色同 次 紅花紋甲紗 三尺六寸
同領 次 白花紋甲紗 一尺八寸 竝 貿用】
단의 2건【외공 초록화문갑사 9척, 내공 황생초 9척, 단령과 수구색동 홍화문갑사 3척 6촌, 동령(동정) 백화문갑사 1척 8촌 모두 사서 사용한다】

裳 二件 次
【紅花紋甲紗 四尺五寸
上端 次 草綠花紋甲紗 半骨一尺九寸
垂纓 次 紅花紋甲紗 草綠花紋甲紗 各 六片 每片 長一尺五寸 廣四寸
腰纓 次 紅花紋甲紗 三尺
金花紋 次 金箔 八貼 竝貿用
치마 2건【홍화문갑사 4척 5촌, 상단 초록화문갑사 반골 1척 9촌, 늘어뜨리는 끈은 홍화문갑사와 초록화문갑사 각 6편으로 하고 한 편당 길이 1척 5촌, 너비 4촌이다. 허리끈 홍화문갑사 3척, 금화문은 금박 8첩으로 한다. 모두 사서 사용한다.】

襪裙 二件 次
【紅禾紬 二十尺
腰纓 次 白禾紬 三尺一寸 竝貿用】
말군 2건【홍화주 20척, 허리끈 백화주 3척 1촌. 모두 사서 사용한다.】

繡帶 二件 次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金箔 四貼 貿用】
수대 2건【홍공단 2편은 각 길이 6척, 너비 4촌으로 하고, 금박 4첩. 사서 사용한다.】

裹 次 【黃木 十兩尺 貿用】
포장【황색 무명 12척. 모두 사서 사용한다.】


○實入
실입

花冠 二件 價錢 三十兩【每件 十五兩】
接只 二件 價錢 三十兩【每件 十五兩】
銀蛙簪 二箇 價錢 十兩【每箇 五兩】
紫的禾紬 一尺五寸 價錢 五兩二錢五分【每尺 三兩五錢】
豆錫花簪 二箇 價錢 十四兩五錢【每箇 七兩二錢五分】
繡鞋 二部 價錢 二十四兩【每部 十二兩】
草綠花紋甲紗 十兩尺三寸七分 價錢 一百四十八兩二錢【每尺 十二兩】
黃生綃 九尺 價錢 十三兩五錢【每尺 一兩五錢】
紅花紋甲紗 十三尺五寸二分 價錢 一百八十九兩二錢【每尺 十四兩】
白花紋甲紗 一尺八寸 價錢 二十一兩六錢【每尺 十二兩】
紅禾紬 二十尺 價錢 七十兩【每尺 三兩五錢】
白禾紬 三尺一寸 價錢 十兩八錢五分【每尺 三兩五錢】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價錢 七十五兩
金箔 一束二貼 價錢 二十四兩【每張 二錢】
針工錢 五十兩
黃木 十兩尺 價錢 五兩【每尺四錢二分】
以上折錢七百二十一兩一錢

화관 2건 값 30냥【매 건 15냥】
첩지 2건 값 30냥【매 건 15냥】
은개구리비녀 2개 값 10냥【매 개 5냥】
자적화주 1척5촌 값 5냥2전5푼【매 척 3냥5전】
두석화잠 2개 값 14냥5전 【매 개 7냥2전5푼】
수혜 2부 값 24냥【매 부 12냥】
초록화문갑사 12척3촌7분 값 148냥2전【매 척 12냥】
황생초 9척 값 13냥5전【매 척 1냥5전】
홍화문갑사 13척5촌2분 값 189냥2전【매 척 14냥】
백화문갑사 1척8촌 값 21냥6전【매 척 12냥】
홍화주 20척 값 70냥【매 척 3냥5전】
백화주 3척1촌 값 10냥8전5푼【매 척 3냥5전】
홍공단 2편 각 길이 6척, 너비 4촌 값 75냥
금박 1속2첩 값 24냥【매 장 2전】
침공 값 50냥
황목(황색 무명) 12척 값 5냥【매 척 4전2푼】
이상 합 721냥1전

☞동기 복식은 2건을 마련하고 구성은
머리장식은 화관, 첩지(개구리 비녀), 자적색 댕기, 두석화잠, 수공화로 구성되고,
옷은 초록색 단의(안감 황색, 깃과 수구색동은 홍색, 동정은 백색), 홍색 치마(상단 초록색, 홍색 허리끈, 치마의 장식끈은 홍색과 초록색 각 6편씩, 금박 꽃무늬로 장식)를 입고, 홍색 말군을 입는다.
허리띠는 홍색이며 금박으로 장식한다.
수혜를 신는다.



무고 차비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5ab 악기풍물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

舞鼔 差備 所著 服飾 四件 所入

무고 차비가 입는 복식 4건 소입

掛子 四件 次【靑紅柳綠白花紋甲紗 各 四尺五寸 紅生銷 六尺五寸 藍生綃 半骨六尺五寸 竝貿用】
戰帶 四件 次【藍鱗紋甲紗 八尺 貿用】
쾌자 4건【청색·홍색·유록색·백색 화문갑사 각 4척5촌, 홍생초 6척5촌, 남생초 반골 6척5촌, 모두 사서 사용】
전대 4건 【남색 인문갑사 8척, 사서 사용】

○實入
실입

四色花紋甲紗 十八尺 價錢 二百十二兩【每尺 十一兩七錢八分】
紅生綃 六尺五寸 價錢 九兩七錢五分【每尺 一兩五錢】
藍鱗紋甲紗 八尺 價錢 九十六兩【每尺 十二兩】
藍生綃 半骨六尺五寸 價錢 四兩八錢七分【每尺 一兩五錢】
4가지 색(청·홍·유록·백색) 화문갑사 18척 값 212냥【매 척 11냥7전8푼】
홍생초 6척5촌 값 9냥7전5푼【매 척 1냥5전】
남색인문갑사 8척 값 96냥【매 척 12냥】
남생초 반골6척5촌 값 4냥8전7푼【매 척 1냥5전】

針工錢 十五兩
以上 折錢 三百三十七兩六錢二分
침공 값 15냥
이상 합 337냥 6전 2푼

☞무고 복식 4건
쾌자(전복)은 청색, 홍색, 유록색, 백색으로 하고, 화문갑사 사용.
전대는 남샌 인문갑사 사용.


검기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5ab 악기풍물 3.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5a, b)

劍器舞 差僃 所著 服飾 四件 所入

검기무 차비가 착용하는 복식 4건 소입

散紅毛戰笠 四立【內拱 次 藍雲紋緞 三尺】
象毛 四件
孔雀羽 四件
紅氈徵道里 四件
造蜜花耳錢 四件
銀頂子 四件
銀纓子 四件
紫的甲紗纓子 四件【上以 貿用】
산홍모전립 4립【내공 남색운문단 3척】
상모 4건
공작깃 4건
홍전징도리 4건
인공밀화이전(장식) 4건
은정자 4건
은영자 4건
자적갑사끈 4건
【이상 사서 사용】

挾袖 四件 次
【黃花紋甲紗 四十四尺
同領 次 白花紋甲紗 八寸
袖口 次 紅鱗紋甲紗 三尺
竝貿用】
협수 4건
【황색화문갑사 44척
동정 백색화문갑사 8촌
수구 홍색인문갑사 3척
모두 사서 사용】

戰服 四件 次
【二件 前排仍用. 二件 所入
外拱 鴉靑鱗紋甲紗 十三尺
內拱 紅鱗紋甲紗 十三尺
竝貿用】
전복 4건
【2건은 이전의 것을 그대로 사용. 2건 소입
외공 아청색인문갑사 13척
내공 홍색인문갑사 13척
모두 사서 사용】

舞刀 八柄【修補 所入 物力 匠料 都給
무도 8병【수리보수 소입 물력, 장료 도급】


○實入
실입

散紅毛戰笠 四立 價錢 十兩【每立 二兩五錢】
藍雲紋緞 三尺 價錢 六十六兩【每尺 二十二兩】
象毛 四件 價錢 四十兩【每件十兩】
孔雀羽 四件 價錢 八十兩【每件 二十兩】
紅氈徵道里 四件 價錢 二十兩【每件 五兩】
造蜜花耳錢 四件 價錢 六兩【每件 一兩五錢】
銀頂子 四件 價錢 六十兩【每件 十五兩】
銀纓子 四件 價錢 十四兩八錢【每件 三兩七錢】
紫的甲紗纓子 四件 價錢 三十兩【每件 七兩五錢】
黃花紋甲紗 四十四尺 價錢 五百二十八兩【每尺 十二兩】
白花紋甲紗 八寸 價錢 九兩六錢
紅鱗紋甲紗 十六尺 價錢 二百二十四兩【每尺 十四兩】
鴉靑鱗紋甲紗 十三尺 價錢 一百五十六兩【每尺 十二兩】
舞刀 八柄 修補都給錢 四十兩

산홍모전립 4립 값 10냥【매 립 2냥5전】
남운문단 3척 값 66냥【매 척 22냥】
상모 4건 값 40냥【매 건 10냥】
공작깃 4건 값 80냥【매 건 20냥】
홍전징도리 4건 값 20냥【매 건 5냥】
조밀화이전 4건 값 6냥【매 건 1냥5전】
은정자 4건 값 60냥【매 건 15냥】
은영자 4건 값 14냥8전【매 건 3냥7전】
자적갑사영자 4건 값 30냥【매 건 7냥5전】
황화문갑사 44척 값 528냥【매 척 12냥】
백화문갑사 8촌 값 9냥6전
홍인문갑사 16척 값 224냥【매 척 14냥】
아청인문갑사 13척 값 156냥【매 척 12냥】

針工錢 二十四兩
以上 折錢 一千三百八兩四錢
침공 값 24냥
이상 합 1308냥4전

☞검기무 복식 4건
산홍모전립(안감 남색운문단, 상모, 공작깃, 홍전징도리, 조밀화이전, 은정자, 은영자, 자적새끈), 황색협수(동정 백색, 수구 홍색), 아청색전복(안감 홍색), 무도(1인당 2자루씩)로 구성된다.
권3 '공령'을 참고하면 여기에 남색전대와 초록혜를 더한다.


향령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響鈴舞 差備 所著 汗衫 六件 所入【紅禾紬 二十五尺 貿用】

향령무 차비가 착용하는 한삼 6건 소입【홍색화주 25척. 사서 사용】

○實入
실입

紅禾紬 二十五尺 價錢 八十六兩五錢【每尺 三兩四錢六分】
홍화주 25척 값 86냥5전【매 척 3냥4전6푼】

針工錢 一兩
以上 折錢 八十七兩五錢
침공 값 1냥
이상 합 87냥5전

☞향령무 복식의 한삼은 홍화주로 만든다.



연화대무 동기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蓮花臺舞 童妓 所著 服飾 二件 所入

연화대무 동기의 복식 2건 소입

丹衣 二件 次
【外拱 草綠生綃 九尺
內拱 紅生綃 九尺
領 次 紅生綃 一尺八寸
袖口色同 次 紅生綃 一尺八寸, 白生綃 一尺八寸
竝貿用
단의 2건【외공 초록생초 9척, 내공 홍생초 9척, 깃 홍생초 1척8촌, 수구색동 홍생초 1척8촌, 백생초 1척8촌
모두 사서 사용】

裳 二件 次
【紅生綃 四尺五寸
草綠生綃 一尺九寸
垂纓 次 紅生綃 草綠生綃 各 六片 每片 長一尺五寸 廣四寸
腰纓 次 紅生綃 三尺
竝貿用】
치마 2건【홍생초 4척5촌, 초록생초 1척9촌, 장식끈 홍생초, 초록생초 각 6편. 편마다 길이 1척5촌, 너비 4촌., 허리끈 홍생초 3척
모두 사서 사용】

襪裙 二件 次
【紅生綃 二十尺
腰纓 次 白生綃 三尺五寸
竝貿用】
말군 2건【홍생초 20척, 허리끈 백생초 3척5촌
모두 사서 사용】

繡帶 二件 次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金箔 一束二貼
竝貿用】
수대 2건【홍공단 2편 각 길이 6척, 너비 4촌, 금박 1속2첩
모두 사서 사용】

花簪 二箇
繡鞋 二部
蛤笠 二立
【以上 貿用】
화잠(비녀) 2개
수혜 2부
합립 2립
【이상 사서 사용】

裹 次【黃木 十兩尺 貿用】
포장【황목(무명) 12척. 사서 사용】


○實入
실입

紅白草綠生綃 六十三尺九寸 價錢 九十五兩八錢五分【每尺 一兩五錢】
紅貢緞 二片 各 長六尺 廣四寸 價錢 七十五兩
金箔 一束二貼 價錢 二十四兩【每張 二錢】
花簪 二箇 價錢 十四兩五錢【每箇 七兩二錢五分】
繡鞋 二部 價錢 二十四兩【每部 十二兩】
蛤笠 二立 價錢 三十兩【每立 十五兩】
黃木 十兩尺 價錢 五兩【每尺 四錢二分】

홍·백·초록생초 63척9촌 값 95냥8전5푼【매 척 1냥5전】
홍공단 2편 각 길이 6척, 너비 4촌 값 75냥
금박 1속2첩 값 24냥【매 장 2전】
화잠 2개 값 14냥5전【매 개 7냥2전5푼】
수혜 2부 값 24냥【매 부 12냥】
합립 2립 값 30냥【매 립 15냥】
황목(무명) 12척 값 5냥【매 척 4전2푼】

針工錢 五十兩
以上 折錢 三百十八兩三錢五分
침공 값 50냥
이상 합 318냥3전5푼

☞연화대무 동기 복식 2건
☞초록단의(안감 홍색, 깃 홍색, 수구색동은 홍색과 백색), 홍색치마(? 초록색, 장식끈은 홍색과 초록색 각 6편, 홍색 허리끈), 홍색말군(허리끈은 백색), 홍색수대(금박 장식), 화잠, 합립, 수혜로 구성된다.
☞권3 '공령'을 참고하면 여기에 옥색한삼을 더하며, 혜는 진홍색이다.
☞권3 '공령'에 합립의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 적혀있다.



첨수무 차비의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3.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尖袖舞 差備 所著 尖袖 四雙 所入

紅佛手緞 兩尺 價錢 三十兩六錢【每尺 十五兩三錢】 첨수무 차비가 착용하는 첨수 4쌍 소입 홍색불수단 2척 값 30냥6전【매 척 15냥3전】

以上 所入 錢 內下 이상 소입 전 내하
☞첨수무에 사용되는 첨수 4쌍은 홍색불수단으로 만든다.


전악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4.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典樂 所著 服飾 六件 所入

전악이 입는 복식 6건 소입

帽羅幞頭 六件
纓子 六件
也字帶 六件
【以上 物力 匠料 都給】
모라복두 6건, 영자 6건, 야자대 6건【이상 물력 공료 도급】

綠綃衫 六件 所入
【外拱 草綠生綃 一百八十尺
內拱 藍綿紬二百十尺
竝貿用】
녹초삼 6건 소입【외공 초록생초 180척, 내공 남명주 210척. 모두 사서 사용】

○實入
실입

帽羅幞頭 六件 價錢 三十六兩【每件 六兩】
纓子 六件 價錢 十二兩【每件 二兩】
也字帶 六件 價錢 三十六兩【每件 六兩】
草綠生綃 一百八十尺 價錢 二百七十兩【每尺 一兩五錢】
藍綿紬 二百十尺 價錢 一百六十八兩【每尺 八錢】
모라복두 6건 값 36냥【매 건 6냥】
영자 6건 값 12냥【매 건 2냥】
야자대 6건 값 36냥【매 건 6냥】
초록생초 180척 값 270냥【매 척 1냥5전】
남명주 210척 값 168냥【매 척 8전】

針工錢 四十八兩
以上 折錢 五百七十兩
침공 값 48냥
이상 합 570냥

☞전악 복식 6건. 모라복두(영자), 녹초삼(겉감은 초록생초로 제작. 안감은 남색 명주), 야자대


전상 공인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6ab 악기풍물 5.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6a, b)

정해진찬의궤 권3 037ab 악기풍물 1.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7a, b)

殿上 工人 所著 服飾 五十件 所入

전상 공인이 입는 복식 50건 소입

畫花幞頭 五十件
纓子 五十件
【以上 貿用】
화화복두 50건, 영자 50건【이상 사서 사용】

紅團領 五十件 所入
【外拱 紅綿紬 一千七百五十尺
內拱 藍綿紬 一千五百尺
竝貿用】
홍단령 50건 소입【외공 홍명주 1750척, 내공 남명주 1500척. 모두 사서 사용】


○實入
실입

畫花幞頭 五十件 價錢 一百七十五兩【每件 三兩五錢】
纓子 五十件 價錢 五十兩【每件 一兩】
紅綿紬 一千七百五十尺 價錢 一千七百五十兩【每尺 一兩】
藍綿紬 一千五百尺 價錢 一千二百兩【每尺 八錢】
화화복두 50건 값 175냥【매 건 3냥5전】
영자 50건 값 50냥【매 건 1냥】
홍색명주 1750척 값 1750냥【매 척 1냥】
남색명주 1500척 값 1300냥【매 척 8전】

針工錢 四百十五兩
以上 折錢 三千五百九十兩
침공 값 405냥
이상 합 3590냥

☞전상 공인 복식 50건. 화화복두(영자), 홍단령(겉감 홍색명주, 안감 남색명주 사용)


헌가 악공 복식 및 소품

정해진찬의궤 권3 037ab 악기풍물 2.jpg
(『(丁亥)進饌儀軌』 卷3 「樂器風物」 037a, b)

軒架 樂工 所著 服飾 四十件 所入

헌가 악공이 입는 복식 40건 소입

畫花幞頭 四十件
纓子 四十件
【以上 貿用】
화화복두 40건, 영자 40건【이상 사서 사용】

紅團領 四十件 所入
【紅綿紬 一千四百尺 貿用】
홍단령 40건 소입【홍명주 1400척. 사서 사용】


○實入
실입

畫花幞頭 四十件 價錢 一百四十兩【每件 三兩五錢】
纓子 四十件 價錢 四十兩【每件 一兩】
紅綿紬 一千四百尺 價錢 一千四百兩【每尺 一兩】
화화복두 40건 값 140냥【매 건 35냥】
영자 40건 값 40냥【매 건 1냥】
홍명주 1400척 값 1400냥【매 척 1냥】

針工錢 二百六十兩
以上 折錢 一千八百四十兩
침공 값 260냥
이상 합 1840냥

以上 所入 錢自 戶曹 上下
이상 소입은 호조로부터 상하

☞헌가 악공 복식 40건. 화화복두(영자), 홍단령(명주로 제작)



반차도에 그려진 인물의 위치
도식에 그려진 인물의 위치와 복장/복식
도병에 그려진 인물의 위치와 복장/복식
상방정례에 규정된 왕실인원의 복식
유물

참여자의 복식

전도상궁복장

참고자료

  1. 한복려·이효지·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212쪽.
  • 원문사진출처: "進饌儀軌(奎14412)",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