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관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30번째 줄: 30번째 줄: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big>''1900년''</big>'''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big>''1900년''</big>'''
:6월 설치된 경부는 내부와 경무청이 합쳐진 것이다. 관원은 경부대신(警部大臣) 1등 칙임관 1명, 협판(協辦) 2등·3등 칙임관 1명, 국장(局長)은 경무국장과 서무국장으로 나뉘며 칙임관 또는 주임관 2명, 경무관 1등부터 6등 주임관 15명, 주사 8명과 총순 40명은 1등부터 8등 판임관이다.
+
:6월 설치된 경부는 내부와 [[경무청 관제|경무청]]이 합쳐진 것이다. 관원은 경부대신(警部大臣) 1등 칙임관 1명, 협판(協辦) 2등·3등 칙임관 1명, 국장(局長)은 경무국장과 서무국장으로 나뉘며 칙임관 또는 주임관 2명, 경무관 1등부터 6등 주임관 15명, 주사 8명과 총순 40명은 1등부터 8등 판임관이다.
  
 
:경부에는 경부대신을 보좌하는 경부대신관방을 두고, 그 외에 경무국, 서무국, 경무감독소(警務監督所), 한성 5경무서, 궁내경무서, 감옥서를 둔다. 대신관방에는 비서과가 있고 경무관이 과장을 맡는다. 경무국은 경무과와 신문과로 나뉜다. 경무과에서 동가(動駕)·동여(動輿)와 여러 의식, 제사, 장례 등 상황에서의 질서유지와 순검 배치 사무를 주관했고, 서무국은 문서과와 회계과로 나뉘는데 문서과에서 경찰 관리의 복제(服制)와 기장(旗章) 등에 관한 업무를 보았다.
 
:경부에는 경부대신을 보좌하는 경부대신관방을 두고, 그 외에 경무국, 서무국, 경무감독소(警務監督所), 한성 5경무서, 궁내경무서, 감옥서를 둔다. 대신관방에는 비서과가 있고 경무관이 과장을 맡는다. 경무국은 경무과와 신문과로 나뉜다. 경무과에서 동가(動駕)·동여(動輿)와 여러 의식, 제사, 장례 등 상황에서의 질서유지와 순검 배치 사무를 주관했고, 서무국은 문서과와 회계과로 나뉘는데 문서과에서 경찰 관리의 복제(服制)와 기장(旗章) 등에 관한 업무를 보았다.
61번째 줄: 61번째 줄:
 
<blockquote>특이한 사항은 경위원의 총무국장을 문관이 아닌 무관으로 군부(軍部)의 장관이나 영관(領官)을 등용했다는 점이다.<ref>『관보』 광무 5년(1901) 11월 20일.</ref></blockquote>  
 
<blockquote>특이한 사항은 경위원의 총무국장을 문관이 아닌 무관으로 군부(軍部)의 장관이나 영관(領官)을 등용했다는 점이다.<ref>『관보』 광무 5년(1901) 11월 20일.</ref></blockquote>  
 
|}</center>
 
|}</center>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98번째 줄: 97번째 줄: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 Record-문헌 : 『구한국관보』
 
* Record-문헌 : 『구한국관보』
* Concept-개념용어 : [[박선희|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의궤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계급 및 복식|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관제]]
135번째 줄: 134번째 줄:
 
|| 복설 경무청 || 경시청 || A 다음 B가 설치된다 || edm:isNextInSequence
 
|| 복설 경무청 || 경시청 || A 다음 B가 설치된다 || edm:isNextInSequence
 
|-
 
|-
|| 경무청 ||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무청 ||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무청 ||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무청 ||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부 || 경부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부 || [[경부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부 || 경부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부 || [[경부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부 관제 || 1900년 6월 경부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경부 관제]] || 1900년 6월 경부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 경부 관제 || 1900년 9월 경부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경부 관제]] || 1900년 9월 경부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 1900년 6월 경부 || 1900년 9월 경부 || A 다음 B가 시행된다 || dcterms:provenance
 
|| 1900년 6월 경부 || 1900년 9월 경부 || A 다음 B가 시행된다 || dcterms:provenance
 
|-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시청 || 경시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시청 || [[경시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시청 || 경시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시청 || [[경시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1900년 6월 경부 || 경무대신관방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1900년 6월 경부 || 경무대신관방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257번째 줄: 256번째 줄:
 
|| 경위원 || 총순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경위원 || 총순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269번째 줄: 26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議奏)』,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주본(奏本)』, 『칙령(勅令)』
+
*원전류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5%AE%98%E5%A0%B1&ridx=0&tot=675 『관보(官報)』]</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A%B6%A4&ridx=0&tot=62 『의궤(儀軌)』]</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C%A3%BC&ridx=2&tot=184 『의주(儀註)』]</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span class="plainlinks">[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5%a5%8f%e6%9c%ac&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6297 『주본(奏本)』]</span>, 『칙령(勅令)』
 +
 
 +
*학위논문
 +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br/>
 +
:손영상,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경찰 제도의 정립과 운영」,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br/>
+
*참고사이트
손영상,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경찰 제도의 정립과 운영」,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도서관』<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문화유산 포털』<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 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서울특별시.
 +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기록유산 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분류:복식콘텐츠]][[분류:복식2020단국대]]
 
[[분류:복식콘텐츠]][[분류:복식2020단국대]]

2022년 5월 4일 (수) 15:06 기준 최신판

정의

경부 체제(1900.06.13. ~ 1902.02.18.)에서의 경찰 관제 변화 정리이다.


내용

고종은 황제로 즉위한 이후 군권(軍權)과 경찰권(警察權)을 군주에게 보다 직접적이고 강력하게 복속시키고자 경무청을 확대·강화하고자 하였고,[1] 경부를 설치하고 관제를 정하여 복잡해진 경찰 사무를 집행하게 하였다.[2] 이에 내부 소속의 경무청에서 ‘부(部)’로 승격되어 독립된 기관으로서의 경부가 운영되었고, 한성뿐만 아니라 전국의 경찰사무를 관리하게 되었다.[3] 또한 황궁보호를 위하여 1900년에는 경부 산하에 궁내경무서, 1901년에는 궁내부 산하에 경위원을 설치한다.
<표 2> 경부 복제의 변천 과정(1900.06.13. ~ 1902.02.18.)
분류 제정 및 시행 칙령 내용 관보
관제
(官制)
제정: 1900.06.09. - 고종 경부 설치 지시 광무4년 6월 12일
제정: 1900.06.12.
시행: 1900.06.13.
제20호 <경부관제> 반포 광무4년 6월 13일
제정: 1900.06.16. - (正誤)칙령 제20호 수정 광무4년 6월 16일
제정: 1900.09.25. 제35호 <경부관제개정건> 반포 광무4년 9월 25일
제정: 1900.12.19. 제51호 <경부관제중 개정건> 반포 광무4년 12월 21일
제정: 1901.11.17. - 포달(布達) 제77호. 제26조.
<궁내부관제 중 경위원 증치에 관한 건> 반포
광무5년 11월 20일


경부 관제의 변천 과정

1900년
6월 설치된 경부는 내부와 경무청이 합쳐진 것이다. 관원은 경부대신(警部大臣) 1등 칙임관 1명, 협판(協辦) 2등·3등 칙임관 1명, 국장(局長)은 경무국장과 서무국장으로 나뉘며 칙임관 또는 주임관 2명, 경무관 1등부터 6등 주임관 15명, 주사 8명과 총순 40명은 1등부터 8등 판임관이다.
경부에는 경부대신을 보좌하는 경부대신관방을 두고, 그 외에 경무국, 서무국, 경무감독소(警務監督所), 한성 5경무서, 궁내경무서, 감옥서를 둔다. 대신관방에는 비서과가 있고 경무관이 과장을 맡는다. 경무국은 경무과와 신문과로 나뉜다. 경무과에서 동가(動駕)·동여(動輿)와 여러 의식, 제사, 장례 등 상황에서의 질서유지와 순검 배치 사무를 주관했고, 서무국은 문서과와 회계과로 나뉘는데 문서과에서 경찰 관리의 복제(服制)와 기장(旗章) 등에 관한 업무를 보았다.
경무감독소는 한성판윤의 명령을 받아 한성 관내의 5서를 지휘·감독한다. 5경무서는 경무동서(警務東署)·경무서서(警務西署)·경무남서(警務南署)·경무북서(警務北署)·경무중서(警務中署)이다.
궁내경무서에는 5명 이하의 경무관이 근무하였다.
감독 1명은 본부 경무관으로 충원, 총순 2명은 감독의 지시로 일체의 사무를 본다. 경무관 6명을 한성부에 파송하고, 그 중 5명은 5서(署)의 각 지서장을 맡았다. 총순 15명을 한성부 5서·3분서에 보내고 2명은 감독소에 배치하였고, 순검은 필요한 인원을 적당히 헤아려 채용하였다[4]


9월 25일 반포된 개정에서는 실무를 담당하는 계급이 증원되고, 경무감독소가 경부대신관방으로 이속된다.
경부에는 대신 1명, 협판 1명, 국장 2명, 경무관 17명, 주사 24명, 총순 44명이 있고, 경무관은 각 처 과장·감독·지서장 등을 맡았으며, 경부대신의 권한으로 총순과 순검도 각 처에 배치한다.[5]
20201007 112049.png
<1900년 6월 경부 조직체계>

20201020 003650.png
<1900년 9월 경부 조직체계>

1901년 11월 17일 경위원 조칙체계.png
<1901년 11월 경위원 조칙체계>

경위원
1901년 11월 17일에 설치된 경위원은 1895년에 창설한 경무청 관하 궁내경찰서의 후신으로, 1900년 6월 경부관제에서는 궁내경무서였다가, 1901년에 경위원으로 개편된다.
황궁 내외의 경비와 수비를 담당하는 경위원의 총관 1인은 2등·3등 칙임관, 총무국장 1인은 1급에서 3급의 장관(將官)이나 영관(領官) 중 칙임관 또는 주임관, 경무관 5인은 1등에서 8등의 주임관, 주사 6인과 총순 16인은 1등부터 8등의 판임관이다.


특이한 사항은 경위원의 총무국장을 문관이 아닌 무관으로 군부(軍部)의 장관이나 영관(領官)을 등용했다는 점이다.[6]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단체 : 경무청
  • Actor-단체 : 1900년_6월_경부
  • Actor-단체 : 1900년_9월_경부
  • Actor-단체 : 경부
  • Actor-단체 : 복설 경무청
  • Actor-단체 : 경시청
  • Actor-단체 : 경무대신관방
  • Actor-단체 : 경무국
  • Actor-단체 : 서무국
  • Actor-단체 : 경무감독소
  • Actor-단체 : 한성5경무서
  • Actor-단체 : 마포서쪽_분서1
  • Actor-단체 : 마포서쪽_분서2
  • Actor-단체 : 한강분서
  • Actor-단체 : 감옥서
  • Actor-단체 : 회계국
  • Actor-단체 : 궁내부
  • Actor-단체 : 경위원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복제
  • Concept-계급 : 대신
  • Concept-계급 : 협판
  • Concept-계급 : 국장
  • Concept-계급 : 총무국장
  • Concept-계급 : 경무관
  • Concept-계급 : 주사
  • Concept-계급 : 총순
  • Concept-계급 : 순검
  • Concept-계급 : 근위경무관
  • Concept-계급 : 근위총순
  • Concept-계급 : 근위순검
  • Concept-계급 : 총관
  • Concept-계급 : 서장

관계정보

항목 A 항목 B 관계 Relation
경무청 경부 A 다음 B가 설치된다 edm:isNextInSequence
경부 복설 경무청 A 다음 B가 설치된다 edm:isNextInSequence
복설 경무청 경시청 A 다음 B가 설치된다 edm:isNextInSequence
경무청 경무청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청 경무청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부 경부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부 경부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부 관제 1900년 6월 경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부 관제 1900년 9월 경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1900년 9월 경부 A 다음 B가 시행된다 dcterms:provenance
복설 경무청 복설 경무청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복설 경무청 복설 경무청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시청 경시청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시청 경시청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6월 경부 경무대신관방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6월 경부 대신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협판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국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순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경무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6월 경부 서무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6월 경부 경무감독소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감독소 한성5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성5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성5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성5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성5경무서 西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성5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西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西 마포서쪽 분서1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西 마포서쪽 분서2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강분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6월 경부 궁내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궁내경무서 근위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궁내경무서 근위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궁내경무서 근위순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6월 경부 감옥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9월 경부 경무대신관방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대신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협판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국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순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0년 9월 경부 경무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9월 경부 서무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9월 경부 회계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9월 경부 한성5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9월 경부 궁내경무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0년 9월 경부 감옥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궁내부 경위원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위원 총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총무국장 A에 B가 소속된다f oaf:member
경위원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석

  1. 손영상,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경찰 제도의 정립과 운영」,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6-47.쪽.
  2. 『高宗實錄』 광무 4년(1900) 6월 9일: “詔曰. 更張之初 警務廳雖屬內部直轄 而現今國內警察事務漸次殷繁 因時制宜 不容少緩 另設警部 新定官制 令政府不日會議以入.”
  3. 『高宗實錄』 고종 37(1900년) 6월 12일; 『관보』 광무 4년(1900) 6월 13일 칙령 제20호 <경부관제>. 본 제도의 제정일은 6월 12일이지만, 제46조에서 ‘반포일부터 시행한다’고 했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6월 13일부터이다.
  4. 『高宗實錄』 고종 37년(1900) 6월 12일; 『(구한국)관보』 광무 4년(1900) 6월 13일 칙령 제20호 <경부관제>
  5. 『(구한국)관보』 광무 4년(1900) 9월 25일 칙령 제35호 ‘警部官制改正件’. 이때의 제도는 9월 25일에 칙령 제35호로 반포되고, 제41조에 ‘반포일부터 시행한다.’고 했는데, 제도 제정일은 1900년 6월 12일로 명시했다. 따라서 6월 12일 칙령 제20호에서 일부 개정해 칙령 제35호로 반포한 것이므로, 칙령 제35호의 시행일은 9월 25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6. 『관보』 광무 5년(1901) 11월 20일.


참고문헌

  • 원전류
『고종실록(高宗實錄)』,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儀註)』, 『일성록(日省錄)』, 『주본(奏本)』, 『칙령(勅令)』
  • 학위논문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손영상,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경찰 제도의 정립과 운영」,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 참고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원문검색서비스』online,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국가문화유산 포털』online, 문화재청.
『서울역사 아카이브』online, 서울특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록유산 DB』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