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2 강훈혁 기말 계획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제안서)  | 
				 (→과제 결과물)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개요==  |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문화자원 관련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비대면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대표적 역사문화자원인 행주산성의 활용 실태와 기존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3D 가상공간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 및 연구 계획을 작성한다.  |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문화자원 관련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비대면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대표적 역사문화자원인 행주산성의 활용 실태와 기존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3D 가상공간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 및 연구 계획을 작성한다.  | ||
| − | ==사업계획서==  | + | ==사업계획서: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 
===사업 개요===  | ===사업 개요===  | ||
| − | *사업명: 고양 행주산성   | + | *사업명: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 
===사업 주요 내용===  | ===사업 주요 내용===  |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제출 목록의 규격과 수량, 유의사항을 명시  | *제출 목록의 규격과 수량, 유의사항을 명시  | ||
| − | ==제안서==  | + | |
| + | ==제안서: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 ||
===연구 추진배경 및 목적===  | ===연구 추진배경 및 목적===  | ||
| 64번째 줄: | 65번째 줄: | ||
===연구 방법===  | ===연구 방법===  | ||
*상기 연구 내용과 산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 제시  | *상기 연구 내용과 산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 제시  | ||
| − | *1.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기초목록 작성  | + | **1.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기초목록 작성  | 
| − | *2.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성  | + | **2.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성  | 
| − | *3. 대상 권역 현지 답사  | + | **3. 대상 권역 현지 답사  | 
| − | *4.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 + | **4.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 
===수행결과 산출 목표===  | ===수행결과 산출 목표===  | ||
| 75번째 줄: | 76번째 줄: | ||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디지털 환경의 문화유산 콘텐츠로서의 의의  |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디지털 환경의 문화유산 콘텐츠로서의 의의  | ||
*디지털 큐레이션을 구축함으로써 가능한 지식정보의 즉각적 제공과 새로운 연구 가능성 창출 기대  | *디지털 큐레이션을 구축함으로써 가능한 지식정보의 즉각적 제공과 새로운 연구 가능성 창출 기대  | ||
| + | |||
| + | ==과제 결과물==  | ||
| + |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계획서  | ||
| + |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제안서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
2020년 12월 25일 (금) 19:17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역사문화자원 관련 지식정보와 콘텐츠를 비대면 디지털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고양시의 대표적 역사문화자원인 행주산성의 활용 실태와 기존 연구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여 온라인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3D 가상공간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업 및 연구 계획을 작성한다.
 
사업계획서: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개요
- 사업명: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
 
사업 주요 내용
- 행주산성을 중심으로 한 권역[1]의 역사문화자원 전수조사
 
| No | 조사 대상 | 지정 | 
|---|---|---|
| 1 | 고양 행주산성 | 사적 제56호 | 
| 2 | 고양 행주성당 | 국가등록문화재 제455호 | 
| 3 | 고양 행주수위관측소 | 국가등록문화재 제599호 | 
| 4 | 행주대첩비(구비)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4호 | 
| 5 | 고양 강매 석교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362호 | 
| 6 | 행주서원지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71호 | 
| 7 | 유형장군묘 | 경기도 기념물 제50호 | 
| 8 | 행주산성역사공원 | 비지정 | 
| 9 | 대첩기념관 | 비지정 | 
| 10 | 덕양정 | 비지정 | 
| 11 | 전사청 | 비지정 | 
| 12 | 충의정 | 비지정 | 
| 13 | 충훈정 | 비지정 | 
| 14 | 충장사 | 비지정 | 
| 15 | 행주나루터 | 비지정 | 
- 전수조사 및 현지답사 결과에 따라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추가 여부 검토
 - 기존 연구자료 및 조사 결과를 취합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및 활용 방안 마련
 - 행주산성 역사 스토리텔링을 위한 3D 콘텐츠 개발
 
사업 지침
- 사업 일정과 연구 수행 과정의 세부 지침들을 명시
 
결과 제출
- 제출 목록의 규격과 수량, 유의사항을 명시
 
제안서: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연구 추진배경 및 목적
- COVID-19 사태에 따른 역사문화자원의 비대면 디지털 서비스 제공 필요성 제시
 - 연구의 대략적인 목적과 활용 가능성 명시
 
연구 내용
- 사업계획서의 사업 주요 내용 항목에 기반한 연구 내용 제시
 
연구 방법
- 상기 연구 내용과 산출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방법론 제시
- 1. 조사 대상 역사문화자원 기초목록 작성
 - 2. 시맨틱 데이터베이스 구성
 - 3. 대상 권역 현지 답사
 - 4.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수행결과 산출 목표
- 수행결과 산출물의 목록과 내용, 예상 수량 제시(최종 보고서, 기타 보고서,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등)
 
연구 기대 효과
- 시간적,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난 디지털 환경의 문화유산 콘텐츠로서의 의의
 - 디지털 큐레이션을 구축함으로써 가능한 지식정보의 즉각적 제공과 새로운 연구 가능성 창출 기대
 
과제 결과물
- 고양 행주산성 디지털 역사문화관 건립 사업계획서
 - 고양 행주산성 역사문화자원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구축 제안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