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양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옥양목'''== | =='''옥양목'''== | ||
− | ::옥양목(玉洋木, calico)은 생금건(生金巾)으로도 불렸으며, 당시에는 당목(唐木), 양목(洋木), 때로는 광목(廣木)으로도 불리었다.<ref>兪水敬,「韓國女性洋裝의 變遷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86쪽;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재인용. </ref> 옥처럼 하얀 서양옷감이라는 의미로 명명된 평직의 면직물로 대부분 영국 맨체스터에서 생산된 공장제 공업제품이었다. 영국산 옥양목은 재래면직물인 무명에 비하여 얇고, 흰색의 빛을 띠어 외관상 맵시가 있어 양반들이 개항이전부터 청 상인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개항이후 사용이 증가하였다.<ref> 박진경,「개항이후 일제강점기 수입직물의 수용과 의생활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10쪽.</ref> 보통 26~28번수 내외의 가는 실로 짜며 1필의 중량은 보통 10파운드 내외며, 폭은 38인치, 길이는 38야드다.<ref> 朝鮮綿絲布商聯合會 | + | ::옥양목(玉洋木, calico)은 생금건(生金巾)으로도 불렸으며, 당시에는 당목(唐木), 양목(洋木), 때로는 광목(廣木)으로도 불리었다.<ref>兪水敬,「韓國女性洋裝의 變遷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86쪽;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재인용. </ref> 옥처럼 하얀 서양옷감이라는 의미로 명명된 평직의 면직물로 대부분 영국 맨체스터에서 생산된 공장제 공업제품이었다. 영국산 옥양목은 재래면직물인 무명에 비하여 얇고, 흰색의 빛을 띠어 외관상 맵시가 있어 양반들이 개항이전부터 청 상인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개항이후 사용이 증가하였다.<ref> 박진경,「개항이후 일제강점기 수입직물의 수용과 의생활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10쪽.</ref> 보통 26~28번수 내외의 가는 실로 짜며 1필의 중량은 보통 10파운드 내외며, 폭은 38인치, 길이는 38야드다.<ref>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ref> |
::현재는 금건에 풀을 먹이고 윤기 가공을 한 것을 옥양목으로 보고 있다.<ref> http://fashion-guide.jp/fiber-fabric/calico.html 金巾. 검색일: 2019.10.27.</ref> | ::현재는 금건에 풀을 먹이고 윤기 가공을 한 것을 옥양목으로 보고 있다.<ref> http://fashion-guide.jp/fiber-fabric/calico.html 金巾. 검색일: 2019.10.27.</ref>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
57번째 줄: | 33번째 줄: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
[[분류:object]] [[분류:object-직물]] | [[분류:object]] [[분류:object-직물]] | ||
+ | [[분류:복콘2020-object-직물]] | ||
+ | [[분류:근대면직물]] | ||
[[분류:편나영]] | [[분류:편나영]] |
2020년 12월 14일 (월) 20:33 기준 최신판
옥양목
- 옥양목(玉洋木, calico)은 생금건(生金巾)으로도 불렸으며, 당시에는 당목(唐木), 양목(洋木), 때로는 광목(廣木)으로도 불리었다.[1] 옥처럼 하얀 서양옷감이라는 의미로 명명된 평직의 면직물로 대부분 영국 맨체스터에서 생산된 공장제 공업제품이었다. 영국산 옥양목은 재래면직물인 무명에 비하여 얇고, 흰색의 빛을 띠어 외관상 맵시가 있어 양반들이 개항이전부터 청 상인을 통해 널리 사용되었으며, 개항이후 사용이 증가하였다.[2] 보통 26~28번수 내외의 가는 실로 짜며 1필의 중량은 보통 10파운드 내외며, 폭은 38인치, 길이는 38야드다.[3]
- 현재는 금건에 풀을 먹이고 윤기 가공을 한 것을 옥양목으로 보고 있다.[4]
- 개항이전부터 청나라를 통해 들어온 영국산 면직물을 양목이라고 하였는데 광목모다 촘촘하고 표면이 희고 매끈하고 고와서 '옥'이라는 단어를 앞에 붙여 옥양목이라고 하며, 중국을 통해 들어와서 '당목(唐木)'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광목보다 고운것을 당목, 당목보다 더 고운 면직물을 옥양목으로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근대 저고리 유물에서 안감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내옥양목은 옥양목보다 조직이 조금 성글고 두께가 얇은 것을 말한다.[5]
- 평직의 면직물이다.
옥양목 (玉洋木) |
|
대표명칭 | 옥양목 |
---|---|
한자표기 | 玉洋木 |
이칭별칭 | 생금건(生金巾), 당목(唐木), 양목(洋木) |
구분 | 근대 면직물 |
소재 | 목화 |
주석
- ↑ 兪水敬,「韓國女性洋裝의 變遷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89, 86쪽;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재인용.
- ↑ 박진경,「개항이후 일제강점기 수입직물의 수용과 의생활 변화」,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014,10쪽.
- ↑ 朝鮮綿絲布商聯合會, 『朝鮮綿業史』, 京城: 朝鮮綿絲布商聯合會, 1929, 71-81쪽.
- ↑ http://fashion-guide.jp/fiber-fabric/calico.html 金巾. 검색일: 2019.10.27.
- ↑ 박경자,김진아, 「경운박물관 소장 개항기 이후 직물에 관한 연구」, 『근대직물100년』, 경운박물관, 2013, 21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