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의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big><big><big>'''상의원'''</big></big></big> ==1. 정의==    상의원(尙衣院)은 조선시대 임금을 비롯하여 왕실 구성원의 복식을 공급하고 관...)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구분!!품계!!직함!!비고  | !구분!!품계!!직함!!비고  | ||
|-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 − | !rowspan="10" style="background:#F2E0CE" |   | + | !rowspan="10" style="background:#F2E0CE" | 이전(吏典)<br/>-경관직(京官職)  | 
| 종 1품 || 제조(提調) || rowspan="13" |    | | 종 1품 || 제조(提調) || rowspan="13" |    | ||
이조에서 관리하는 경관직(정3품아문) 관원으로, 당연직인 제조와 부제조 외에<br/>    | 이조에서 관리하는 경관직(정3품아문) 관원으로, 당연직인 제조와 부제조 외에<br/>    |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 종 7품 || 직장(直長)  | | 종 7품 || 직장(直長)  | ||
|- style="background:#F5FCFF"|-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style="background:#F5FCFF"|-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 − | !rowspan="3" style="background:#F2F2CE" | 이전(吏典)<br/>잡직(雜織)  | + | !rowspan="3" style="background:#F2F2CE" | 이전(吏典)<br/>-잡직(雜織)  | 
| 종 7품 || 공제(工製)  | | 종 7품 || 공제(工製)  | ||
|-  | |-  | ||
| 59번째 줄: | 59번째 줄: | ||
| 종 9품 || 공작(工作)  | | 종 9품 || 공작(工作)  | ||
|- style="background:#F5FCFF"|-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style="background:#F5FCFF"|-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 − | !rowspan="1" style="background:#DAF2CE" | 병전(兵典)<br/>경아전(京衙前)  | + | !rowspan="1" style="background:#DAF2CE" | 병전(兵典)<br/>-경아전(京衙前)  | 
| - || -  ||    | | - || -  ||    | ||
병조 소속의 제원(諸員) 40명이 있었다. <br/>  | 병조 소속의 제원(諸員) 40명이 있었다. <br/>  | ||
| 66번째 줄: | 66번째 줄: | ||
그러나 후기에는 제원이 없어지면서 사령 11명으로 대체되었다.    | 그러나 후기에는 제원이 없어지면서 사령 11명으로 대체되었다.    | ||
|- style="background:#F5FCFF"|-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style="background:#F5FCFF"|-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CEF2F2" | 형전(刑典)<br/>노(奴)  | + | !rowspan="2" style="background:#CEF2F2" | 형전(刑典)<br/>-노(奴)  | 
| - || 차비노 || rowspan="2" |  | | - || 차비노 || rowspan="2" |  | ||
형조 소속 장예원에서 관리하는 침선비 20명이 있었는데<br/>  | 형조 소속 장예원에서 관리하는 침선비 20명이 있었는데<br/>  | ||
| 74번째 줄: | 74번째 줄: | ||
| - || 근수노  | | - || 근수노  | ||
|-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style="border-top:solid 3px #191970;"  | ||
| − | !rowspan="1" style="background:#CED4F2" | 공전(工典)<br/>공장(工匠)  | + | !rowspan="1" style="background:#CED4F2" | 공전(工典)<br/>-공장(工匠)  | 
| - || - ||  | | - || - ||  | ||
조선전기 『경국대전』에는 공조 소속 경공장(京工匠)으로. 총 68종목에 589명의 장인이 있었으나<br/>    | 조선전기 『경국대전』에는 공조 소속 경공장(京工匠)으로. 총 68종목에 589명의 장인이 있었으나<br/>    | ||
| 82번째 줄: | 82번째 줄: | ||
|-  | |-  | ||
|}  | |}  | ||
| + | <br/>  | ||
| + | ==지식관계망==  | ||
| + | ===클래스===  | ||
| + | |||
| + | *Record-문헌 :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  | ||
| + | *Actor-단체 : [[상의원]]  | ||
| + | *Actor-단체 : 품계  | ||
| + | *Actor-단체 : 직무  | ||
| + | <br/>  | ||
| + | |||
| + | ===관계정보===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 상의원 || 이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상의원 || 병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상의원 || 형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 상의원 || 공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종1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종2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정3품(당상관)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정3품(당하관)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종4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정5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종5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정6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종6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경관직  ||  종7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잡직    ||  종7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잡직    ||  종8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이전-잡직    ||  종9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 + | |-  | ||
| + | |병전(兵典)  ||  경아전(京衙前)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형전-노    ||   차비노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형전-노    ||   근수노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공전(工典)  ||  공장(工匠)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1품   ||   제조(提調)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2품    ||   제조(提調)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정3품(당상관)  || 부제조(副提調)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정3품(당하관)  || 정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4품   ||   첨정(僉正)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5품   ||   별좌(別坐)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정5품   ||   판관, 별좌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정6품   ||   별제(別提)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6품   ||   주부, 별제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7품   ||   직장(直長)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7품   ||   공제(工製)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8품   ||   공조(工造)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종9품   ||   공작(工作)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 + | |-  | ||
| + | |}  | ||
| + | <br/>  | ||
| + | |||
| + | ===네트워크 그래프===  | ||
| + | |||
| + | {{NetworkGraph | title=상의원.lst}}  | ||
| + |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2020년 12월 9일 (수) 17:17 기준 최신판
상의원
1. 정의
상의원(尙衣院)은 조선시대 임금을 비롯하여 왕실 구성원의 복식을 공급하고 관리하며 대궐 안의 재화를 보관・관리하던 관청이다.
2. 역사
고려의 장복서(掌服署) 제도를 이어받아 태조 때 공조의 속아문(屬衙門)으로 설치하였다. 그 뒤, 1895년(고종 32년)에 상의사(尙衣司)로 개칭되었고, 1905년에 다시 상방사(尙方司)로 개칭되었다. 고려시대는 이와 같은 것으로 상의국(尙衣局)이 있었는데, 1310년(충선왕 2) 장복서(掌服署)로 고쳤다가, 1356년(공민왕 5) 상의국으로, 1362년 또 장복서로, 1369년 다시 상의국으로, 1372년 또다시 장복서로 고친 바 있다.
3. 구성
상의원 소속 인력은 이조(吏曹)와 병조(兵曹), 공조(工曹), 형조(刑曹) 등 네 관청이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었다. 상의원의 인력 구성은 이조(吏曹)와 병조(兵曹), 공조, 형조(刑曹) 등 네 관청이 직접적으로 관여하였으며 물품을 조달하는 외부의 공인(貢人) 집단이 있었다.
4. 『경국대전』에 나타난 상의원 직제(職制)
| 구분 | 품계 | 직함 | 비고 | 
|---|---|---|---|
|  이전(吏典) -경관직(京官職)  | 
종 1품 | 제조(提調) | 
 이조에서 관리하는 경관직(정3품아문) 관원으로, 당연직인 제조와 부제조 외에  | 
| 종 2품 | 제조(提調) | ||
| 정 3품(당상관) | 부제조(副提調) | ||
| 정 3품(당하관) | 정 | ||
| 종 4품 | 첨정(僉正) | ||
| 정 5품 | 별좌(別坐) | ||
| 종 5품 | 판관, 별좌 | ||
| 정 6품 | 별제(別提) | ||
| 종 6품 | 주부, 별제 | ||
| 종 7품 | 직장(直長) | ||
|  이전(吏典) -잡직(雜織)  | 
종 7품 | 공제(工製) | |
| 종 8품 | 공조(工造) | ||
| 종 9품 | 공작(工作) | ||
|  병전(兵典) -경아전(京衙前)  | 
- | - | 
 병조 소속의 제원(諸員) 40명이 있었다.   | 
|  형전(刑典) -노(奴)  | 
- | 차비노 | 
 형조 소속 장예원에서 관리하는 침선비 20명이 있었는데  | 
| - | 근수노 | ||
|  공전(工典) -공장(工匠)  | 
- | - | 
 조선전기 『경국대전』에는 공조 소속 경공장(京工匠)으로. 총 68종목에 589명의 장인이 있었으나  | 
지식관계망
클래스
- Record-문헌 : 『경국대전』
 - Actor-단체 : 상의원
 - Actor-단체 : 품계
 - Actor-단체 : 직무
 
관계정보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상의원 | 이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상의원 | 병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상의원 | 형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상의원 | 공전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종1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종2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정3품(당상관)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정3품(당하관)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종4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정5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종5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정6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종6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경관직 | 종7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잡직 | 종7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잡직 | 종8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이전-잡직 | 종9품 | A에 B가 소속된다 | A foaf:member B | 
| 병전(兵典) | 경아전(京衙前)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형전-노 | 차비노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형전-노 | 근수노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공전(工典) | 공장(工匠)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1품 | 제조(提調)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2품 | 제조(提調)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정3품(당상관) | 부제조(副提調)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정3품(당하관) | 정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4품 | 첨정(僉正)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5품 | 별좌(別坐)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정5품 | 판관, 별좌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정6품 | 별제(別提)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6품 | 주부, 별제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7품 | 직장(直長)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7품 | 공제(工製)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8품 | 공조(工造)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 종9품 | 공작(工作) | A는 B를 수행한다 | A ekc:servesAs B |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참고문헌
- 이은주, 「궐내각사 상의원의 위치와 조직 및 구성원에 대한 고찰」, 『韓國服飾』 제 43호,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