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클래스)
 
(같은 사용자에 의한 13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하연.jpg|250px|오른쪽|초상화:하연]]
+
[[파일:하연.jpg|300px|오른쪽|초상화:하연]]
[[파일:하연부인.jpg|250px|오른쪽|초상화:하연부인]]
+
[[파일:하연부인.jpg|300px|오른쪽|초상화:하연부인]]
 +
 
 +
<big>''''하연(河演)부부 초상화'를 통해 본 조선초기 남녀복식'''</big>
  
  
 
==개요==
 
==개요==
하연(河演)부부는 여말선초를 살다 간 인물들로, 하연부부의 셋째 아들 하우명(河友明)은 부모가 돌아가신 뒤 초상화를 직접 그려 세조 13년(1467) 영당(影堂)에 봉안하였다. 이후 시대를 거듭하며 후손들에 의해 여러 이모본(移模本)이 제작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본 1점, 무주 백산서원본 1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69619&cid=46702&categoryId=46739 일본 덴리(天理)대학교 도서관 소장 초상화첩 1점], 합천 타진당본 1점, 청원 우록영당본 1점 등이 전해지고 있다.<ref>『敬齋先生文集』에 하연부부 초상화의 이모와 봉안 현황이 시대별로 기록되어 있다.
+
하연(河演)부부는 여말선초를 살다 간 인물들로, 하연부부의 셋째 아들 하우명(河友明)은 부모가 돌아가신 뒤 초상화를 직접 그려 세조 13년(1467) 영당(影堂)에 봉안하였다. 이후 시대를 거듭하며 후손들에 의해 여러 이모본(移模本)이 제작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본 1점, 무주 백산서원본 1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569619&cid=46702&categoryId=46739 일본 덴리(天理)대학교 도서관 소장 초상화첩 1점], 합천 타진당본 1점, 청원 우록영당본 1점 등이 전해지고 있다.<ref>『경재선생문집』에 하연부부 초상화의 이모와 봉안 현황이 시대별로 기록되어 있다.
 
</ref> 조선후기에 제작된 이모본이기는 하지만 원본을 가장 충실히 반영했다고 평가받는 무주 백산서원본을 가지고 조선초기 백관과 외명부의 복식을 분석해본다.
 
</ref> 조선후기에 제작된 이모본이기는 하지만 원본을 가장 충실히 반영했다고 평가받는 무주 백산서원본을 가지고 조선초기 백관과 외명부의 복식을 분석해본다.
  
12번째 줄: 14번째 줄: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하연부인&ridx=0&tot=427 하연(河演, 1376~1453)]은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1100200,31&pageNo=1_1_1_0#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세종대에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420 황희(黃喜)]를 이어 영의정을 지낸 조선초기 문신이다. 하연의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1380~1465)는 고려 말 문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887 이조년(李兆年)]의 5대 손녀로, 조선시대 정일품 부인에게 내려지던 ‘정경부인(貞敬夫人)’이라는 작호(爵號)를 받았다.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하연부인&ridx=0&tot=427 하연(河演, 1376~1453)]은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11100200,31&pageNo=1_1_1_0# 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세종대에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420 황희(黃喜)]를 이어 영의정을 지낸 조선초기 문신이다. 하연의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1380~1465)는 고려 말 문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5887 이조년(李兆年)]의 5대 손녀로, 조선시대 정일품 부인에게 내려지던 ‘정경부인(貞敬夫人)’이라는 작호(爵號)를 받았다.
  
====하연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백관 복식====
+
====하연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백관의 상복====
하연이 착용하고 있는 [[백관의_상복]]인 사모, 단령, [[품대]], [[화]]에 대해 『高麗史』, 『朝鮮王朝實錄』, 『樂學軌範』, 『經國大典』, 『大明會典』 등 문헌자료와 동시대 백관의 초상화,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
하연이 착용하고 있는 [[백관의 상복]]인 [[사모]], [[단령]], [[품대]], [[화]]에 대해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경국대전』, 『[[악학궤범]]』, 『대명회전』 등 문헌자료와 동시대 백관의 초상화, 출토유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하연부인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외명부 복식====
 
====하연부인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외명부 복식====
하연부인이 착용하고 있는 [[채]], [[칠보잠]], [[번령장삼]]에 대해 『朝鮮王朝實錄』, 『樂學軌範』 등 문헌자료와 회화자료, 출토유물 및 전세유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
하연부인이 착용하고 있는 [[잠과 채]], [[번령장삼]]에 대해 『조선왕조실록』, [[악학궤범]], 『가례도감의궤』, 『가례등록』, 『궁중[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발기&ridx=1&tot=46발기 발기]』 등 문헌자료와 회화자료, 출토유물 및 전세유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하연부부 초상화의 가치와 의의====
 
====하연부부 초상화의 가치와 의의====
25번째 줄: 27번째 줄:
 
*Actor-인물 : 하연
 
*Actor-인물 : 하연
 
*Actor-인물 : 하연부인
 
*Actor-인물 : 하연부인
 +
*Actor-인물 : 우왕
 
*Actor-인물 : 정몽주
 
*Actor-인물 : 정몽주
*Actor-인물 : 황희
 
 
*Actor-인물 : 이조년
 
*Actor-인물 : 이조년
*Clothing-복장 : [[백관의_상복]]
+
*Actor-인물 : 태조
*Clothing-복식 : 사모
+
*Actor-인물 : 경신공주
*Clothing-복식 : 단령
+
*Actor-인물 : 세종
 +
*Actor-인물 : 단종
 +
*Actor-인물 : 성종
 +
*Clothing-복장 : [[백관의 상복]]
 +
*Clothing-복식 : [[사모]]
 +
*Clothing-복식 : [[단령]]
 
*Clothing-복식 : [[품대]]
 
*Clothing-복식 : [[품대]]
 
*Clothing-복식 : [[화]]
 
*Clothing-복식 : [[화]]
*Clothing-복식 : [[채]]
+
*Clothing-복식 : 직령
*Clothing-복식 : [[칠보잠]]
+
*Clothing-복식 : 답호
 +
*Clothing-복식 : 철릭
 +
*Clothing-복식 : [[잠과 채]]
 
*Clothing-복식 : [[번령장삼]]
 
*Clothing-복식 : [[번령장삼]]
*Record-문헌 : [[경국대전]]
+
*Clothing-복식 : 대
*Record-문헌 : [[악학궤범]]
+
*Clothing-장식 : 흉배
 +
*Clothing-장식 : 띠돈
 +
*Record-문헌 : 『원간노걸대』
 +
*Record-문헌 : 『고려사』
 +
*Record-문헌 : 『고려사절요』
 +
*Record-문헌 : 『조선왕조실록』
 +
*Record-문헌 : 『국조오례의』
 +
*Record-문헌 : 『경국대전』
 +
*Record-문헌 : 『[[악학궤범]]
 +
*Record-문헌 : 『박통사언해』
 +
*Record-문헌 : 『대명회전』
 +
*Record-문헌 : 『가례도감의궤』
 +
*Record-문헌 : 『가례등록』
 +
*Record-문헌 : 『궁중발기』
 +
*Record-그림 : 하연 초상
 +
*Record-그림 : 하연부인 초상
 +
*Record-그림 : 이제 초상
 +
*Record-그림 : 이천우 초상
 +
*Record-그림 : 신숙주 초상
 +
*Record-그림 : 오자치 초상
 +
*Record-그림 : 손소 초상
 +
*Record-그림 : 장말손 초상
 +
*Record-그림 : 경신공주 초상
 +
*Record-그림 : 기영회도
 +
*Object-유물 : 밀창군 이직 묘 출토 사모
 +
*Object-유물 : 변수 묘 출토 단령
 +
*Object-유물 : 김흠조 묘 출토 단령
 +
*Object-유물 : 정온 묘 출토 단령
 +
*Object-유물 : 이현보 품대
 +
*Object-유물 :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요선철릭
 +
*Object-유물 :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답호
 +
*Object-유물 : 변수 묘 출토 요선철릭
 +
*Object-유물 : 김흠조 묘 출토 직령
 +
*Object-유물 : 정온 묘 출토 직령
 +
*Object-유물 : 영친왕비 진주장잠
 +
*Object-유물 : 영친왕비 진주동곳
 +
*Object-유물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Object-유물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
*Place-소장처 : 무주 백산서원
  
 
====관계정보==== <!-- ===관련 내용=== -->  
 
====관계정보==== <!-- ===관련 내용=== -->  
47번째 줄: 94번째 줄:
 
| 정몽주 || 하연 || A의 제자는 B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정몽주 || 하연 || A의 제자는 B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이조년 || 하연부인 || A의 후손은 B이다 || A hasDescendant B
+
| 우왕 || 정몽주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 [[백관의_상복]] || 사모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정몽주 || [[사모]]와 [[단령]]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백관의_상복]] || 단령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세종 || 하연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 [[백관의_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이조년 || 하연부인 || A의 후손은 B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백관의_상복]] ||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태조 || 경신공주 || A의 딸은 B이다 || A ekc:hasDaughter B
 
|-
 
|-
| 외명부 ||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하연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외명부 || 칠보잠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백관의 상복]] || [[사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외명부 || [[번령장삼]]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백관의 상복]] || [[단령]]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경국대전』|| [[백관의_상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악학궤범』|| 단령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
| [[백관의 상복]] || [[화]]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악학궤범』||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단령]] || 직령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악학궤범』|| 칠보잠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 [[단령]] || 답호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악학궤범』|| [[번령장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
| [[단령]] || 철릭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원간노걸대』|| 직령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원간노걸대』|| 답호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원간노걸대』|| 철릭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고려사』|| 백관의 관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고려사절요』|| 백관의 관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조선왕조실록』|| [[백관의 상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국조오례의』|| [[백관의 상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경국대전』|| [[백관의 상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대명회전』|| 상복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세종 || 흑염조의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단종 || 흉배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흑염조의 || 『경국대전』 흑의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왕조실록』|| 흉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경국대전』|| 흉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대명회전』|| 흉배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성종 || 『국조오례의』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성종 || 『경국대전』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성종 || 『[[악학궤범]]』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박통사언해』|| 띠돈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악학궤범]]』|| 흑단령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악학궤범]]』|| 단철릭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
|-
 +
| 이제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이천우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신숙주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오자치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손소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장말손 초상 || [[백관의 상복]]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밀창군 이직 묘 출토 사모 || [[사모]]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변수 묘 출토 단령 || [[단령]]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흠조 묘 출토 단령 || [[단령]]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온 묘 출토 단령 || [[단령]]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현보 품대 || [[품대]]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요선철릭 || 철릭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답호 || 답호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변수 묘 출토 요선철릭 || 철릭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흠조 묘 출토 직령 || 직령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온 묘 출토 직령 || 직령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하연부인 초상 || [[잠과 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하연부인 초상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하연부인 초상 || 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가례도감의궤』|| [[잠과 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가례등록』|| [[잠과 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궁중발기』|| [[잠과 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악학궤범]]』|| [[잠과 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악학궤범]]』|| 흑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악학궤범]]』|| 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경신공주 초상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기영회도 || [[번령장삼]]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영친왕비 진주장잠과 진주동곳 || [[잠과 채]]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번령장삼]]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 [[번령장삼]]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하연부부 초상 || 무주 백산서원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네트워크 그래프====
 +
 +
{{NetworkGraph | title=하연부부복식.lst}}
 +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高麗史』
+
*『석명』
*『朝鮮王朝實錄』
+
*『송사』
*『經國大典』
+
*『원간노걸대』
*『樂學軌範』
+
*『고려사』
*『敬齋先生文集』
+
*『고려사절요』
*『大明會典』
+
*『조선왕조실록』
* 안휘준, 민길홍,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183511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
*『국조오례의』
 +
*『경국대전』
 +
*『[[악학궤범]]』
 +
*『박통사언해』
 +
*『상례비요』
 +
*『경재선생문집』
 +
*『대명회전』
 +
*『가례도감의궤』
 +
*『가례등록』
 +
*『국혼정례』
 +
*『궁중발기』
 +
*문화재청,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 ②_복식·자수편, 1997.
 +
*경상북도 영주시, 『판결사 김흠조선생 합장묘 발굴조사보고서』, 1998.
 +
*국립민속박물관, 『오백년의 침묵, 그리고 환생』, 2000.
 +
*안동대학교박물관, 『안동 정상동 일선문씨와 이응태 묘 발굴조사보고서』, 2000.
 +
*수덕사 근역성보관, 『至心歸明禮 - 韓國의 佛腹藏』 특별전, 2004.
 +
*이은주,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938055 『길짐승흉배와 함께하는 17세기의 무관 옷 이야기』], 민속원, 2005.
 +
*안휘준, 민길홍,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183511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
*국립고궁박물관,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10655 『영친왕 일가 복식』], 2010.
 +
*대전시립박물관, [https://www.daejeon.go.kr/his/musBookView.do?bookSeq=54&menuSeq=675&pageIndex=1&searchCondition=&searchKeyword= 『그리움을 깁고 연정을 짓다』], 2016.
 +
*김소현,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445438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
*최은수,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31034298 『조선시대 백관의 단령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오선희, 『조선시대 궁중 대례용(大禮用) 수식(首飾) 제도의 성립과 변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박성실, 「파주 금릉리 출토 경주정씨 유물 소고」, 『韓國服飾』 제 16호, 2004.
 +
*박가영, 「『악학궤범』 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제 16집, 2004.
 +
*유효선, 박미진, 「사모의 보존 처리에 관한 연구」, 『韓國服飾』 제 22호, 2004.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11552996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 『服飾』 55권 6호, 한국복식학회, 2005.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3828409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최연우,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61923611 「대한제국시대 석(舃)의 고찰 및 한국 석의 형태적 특징의 유래」], 『服飾』 63권 8호, 한국복식학회, 2013.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62324324 「조선전기 여성용 장삼의 형태와 용도에 관한 시론」], 『국학연구』제 38호, 한국국학진흥원, 2019.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분류:김지원]]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분류:김지원]]

2020년 12월 22일 (화) 23:52 기준 최신판

초상화:하연
초상화:하연부인

'하연(河演)부부 초상화'를 통해 본 조선초기 남녀복식


개요

하연(河演)부부는 여말선초를 살다 간 인물들로, 하연부부의 셋째 아들 하우명(河友明)은 부모가 돌아가신 뒤 초상화를 직접 그려 세조 13년(1467) 영당(影堂)에 봉안하였다. 이후 시대를 거듭하며 후손들에 의해 여러 이모본(移模本)이 제작되어 현재 국립대구박물관본 1점, 무주 백산서원본 1점, 일본 덴리(天理)대학교 도서관 소장 초상화첩 1점, 합천 타진당본 1점, 청원 우록영당본 1점 등이 전해지고 있다.[1] 조선후기에 제작된 이모본이기는 하지만 원본을 가장 충실히 반영했다고 평가받는 무주 백산서원본을 가지고 조선초기 백관과 외명부의 복식을 분석해본다.

내용

인물소개

하연(河演, 1376~1453)정몽주(鄭夢周)의 문인으로, 세종대에 황희(黃喜)를 이어 영의정을 지낸 조선초기 문신이다. 하연의 부인 성주이씨(星州李氏,1380~1465)는 고려 말 문인 이조년(李兆年)의 5대 손녀로, 조선시대 정일품 부인에게 내려지던 ‘정경부인(貞敬夫人)’이라는 작호(爵號)를 받았다.

하연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백관의 상복

하연이 착용하고 있는 백관의 상복사모, 단령, 품대, 에 대해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경국대전』, 『악학궤범』, 『대명회전』 등 문헌자료와 동시대 백관의 초상화, 출토유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하연부인 복식을 통해 본 조선초기 외명부 복식

하연부인이 착용하고 있는 잠과 채, 번령장삼에 대해 『조선왕조실록』, 『악학궤범』, 『가례도감의궤』, 『가례등록』, 『궁중발기』 등 문헌자료와 회화자료, 출토유물 및 전세유물,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하연부부 초상화의 가치와 의의

유교사상으로 인해 내외의 구분이 엄격해지면서 부부초상화는 조선중기부터 사라지게된다. 당시 사회의 풍토 속에서 사대부 부인의 초상을 화가가 직접 보고 그리는 것은 매우 불경한 일이었을 것이다. 후대의 사대부 여인상은 강세황(姜世晃) 필 <복천오부인 영정>과 같은 노령의 모습만 남이 있는 실정이다.[2] 그러므로 하연부부 초상화는 조선초기 남녀복식을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시대에 따라 모양과 색이 그대로 유지되는 복식이 있고, 변해가는 복식이 있으며, 신분이나 착용 상황을 달리하는 복식도 있으나, 변하고 달라진다고 해서 전통(傳統)이 아닌 것은 아니다. 하연부부 초상화는 전통복식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인물 : 하연
  • Actor-인물 : 하연부인
  • Actor-인물 : 우왕
  • Actor-인물 : 정몽주
  • Actor-인물 : 이조년
  • Actor-인물 : 태조
  • Actor-인물 : 경신공주
  • Actor-인물 : 세종
  • Actor-인물 : 단종
  • Actor-인물 : 성종
  • Clothing-복장 : 백관의 상복
  • Clothing-복식 : 사모
  • Clothing-복식 : 단령
  • Clothing-복식 : 품대
  • Clothing-복식 :
  • Clothing-복식 : 직령
  • Clothing-복식 : 답호
  • Clothing-복식 : 철릭
  • Clothing-복식 : 잠과 채
  • Clothing-복식 : 번령장삼
  • Clothing-복식 : 대
  • Clothing-장식 : 흉배
  • Clothing-장식 : 띠돈
  • Record-문헌 : 『원간노걸대』
  • Record-문헌 : 『고려사』
  • Record-문헌 : 『고려사절요』
  • Record-문헌 : 『조선왕조실록』
  • Record-문헌 : 『국조오례의』
  • Record-문헌 : 『경국대전』
  • Record-문헌 : 『악학궤범
  • Record-문헌 : 『박통사언해』
  • Record-문헌 : 『대명회전』
  • Record-문헌 : 『가례도감의궤』
  • Record-문헌 : 『가례등록』
  • Record-문헌 : 『궁중발기』
  • Record-그림 : 하연 초상
  • Record-그림 : 하연부인 초상
  • Record-그림 : 이제 초상
  • Record-그림 : 이천우 초상
  • Record-그림 : 신숙주 초상
  • Record-그림 : 오자치 초상
  • Record-그림 : 손소 초상
  • Record-그림 : 장말손 초상
  • Record-그림 : 경신공주 초상
  • Record-그림 : 기영회도
  • Object-유물 : 밀창군 이직 묘 출토 사모
  • Object-유물 : 변수 묘 출토 단령
  • Object-유물 : 김흠조 묘 출토 단령
  • Object-유물 : 정온 묘 출토 단령
  • Object-유물 : 이현보 품대
  • Object-유물 :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요선철릭
  • Object-유물 :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답호
  • Object-유물 : 변수 묘 출토 요선철릭
  • Object-유물 : 김흠조 묘 출토 직령
  • Object-유물 : 정온 묘 출토 직령
  • Object-유물 : 영친왕비 진주장잠
  • Object-유물 : 영친왕비 진주동곳
  • Object-유물 :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 Object-유물 :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 Place-소장처 : 무주 백산서원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하연 하연부인 A의 아내는 B이다 A ekc:hasWife B
정몽주 하연 A의 제자는 B이다 A ekc:hasDisciple B
우왕 정몽주 A의 신하는 B이다 A ekc:hasSubject B
정몽주 사모단령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세종 하연 A의 신하는 B이다 A ekc:hasSubject B
이조년 하연부인 A의 후손은 B이다 A ekc:hasDescendant B
태조 경신공주 A의 딸은 B이다 A ekc:hasDaughter B
하연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백관의 상복 사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단령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품대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상복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단령 직령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단령 답호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단령 철릭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원간노걸대』 직령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원간노걸대』 답호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원간노걸대』 철릭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고려사』 백관의 관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고려사절요』 백관의 관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조선왕조실록』 백관의 상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국조오례의』 백관의 상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경국대전』 백관의 상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대명회전』 상복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세종 흑염조의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단종 흉배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흑염조의 『경국대전』 흑의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왕조실록』 흉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경국대전』 흉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대명회전』 흉배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성종 『국조오례의』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성종 『경국대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성종 악학궤범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통사언해』 띠돈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흑단령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악학궤범 단철릭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제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이천우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신숙주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오자치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손소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장말손 초상 백관의 상복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밀창군 이직 묘 출토 사모 사모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변수 묘 출토 단령 단령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흠조 묘 출토 단령 단령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온 묘 출토 단령 단령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현보 품대 품대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요선철릭 철릭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답호 답호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변수 묘 출토 요선철릭 철릭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흠조 묘 출토 직령 직령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온 묘 출토 직령 직령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하연부인 초상 잠과 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하연부인 초상 번령장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하연부인 초상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가례도감의궤』 잠과 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가례등록』 잠과 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궁중발기』 잠과 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잠과 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악학궤범 흑장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악학궤범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경신공주 초상 번령장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기영회도 번령장삼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영친왕비 진주장잠과 진주동곳 잠과 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일선문씨 묘 출토 번령장삼 번령장삼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용인이씨 묘 출토 번령장삼 번령장삼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하연부부 초상 무주 백산서원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석

  1. 『경재선생문집』에 하연부부 초상화의 이모와 봉안 현황이 시대별로 기록되어 있다.
  2. 이원진, "하연 부부 초상",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 학고재, 2009, 317쪽.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