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품대 형태 및 재료)  | 
				잔글  |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6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복식콘텐츠_복식정보  | |
| − | + | |사진=이현보서대1.jpg  | |
| − | + | |사진출처=이현보(李賢輔1467~1555)의 쌍타미형 분리형 품대.<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7쪽.</ref>  | |
| − | + | |대표명칭=품대  | |
| + | |한자표기=品帶  | ||
| + | |이칭별칭=革帶  | ||
| + | |구분=官服  | ||
| + | |착용신분=백관  | ||
| + | |착용성별=남자  | ||
| + | }}  | ||
==정의==  | ==정의==  | ||
| − | 품대(品帶)는 조선시대 백관이 품계에 따라 착용하던 허리띠로 혁대(革帶)라고도 한다. 타미(䤩尾)가 1개인 단타미형과 2개인 쌍타미형이 있으며, 쌍타미형은 띠고리 유무에 따라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뉜다. 백관의 상복(常服)에 착용하는 품대는 쌍타미형으로,   | + | 품대(品帶)는 조선시대 백관이 품계에 따라 착용하던 허리띠로 혁대(革帶)라고도 한다. 타미(䤩尾)가 1개인 단타미형과 2개인 쌍타미형이 있으며, 쌍타미형은 띠고리 유무에 따라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뉜다. 백관의 상복(常服)에 착용하는 품대는 쌍타미형으로, 띠바탕[鞓]에 부착하는 띠돈[帶錢]의 재료를 달리 하여 품계를 구분하였다.  | 
==내용==  | ==내용==  | ||
====품대 제도====  | ====품대 제도====  | ||
| − | 백관 상복(常服)의 품대제도는   | + | 백관 상복(常服)의 품대제도는 성종 대 편찬된 『경국대전』 권3 「禮典」 ‘儀章’에서 처음 보인다. 『경국대전』에는 백관의 조복·제복·공복·상복 제도가 규정되어 있는데, 조복·제복·상복의 품대는 동일하다. 이후 백관의 품대 제도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 | |+<표 1> 『경국대전』 상복(常服) 품대 제도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1품  | 
| − | | <  | + | !정2품  | 
| − | ! 1품  | + | !종2품  | 
| − | ! 정2품  | + | !정3품  | 
| − | ! 종2품  | + | !종3품  | 
| − | ! 정3품  | + | !4품  | 
| − | ! 종3품  | + | !5·6품  | 
| − | ! 4품  | + | !7·8·9품  | 
| − | ! 5·6품  | + | |
| − | ! 7·8·9품  | + | |
|-  | |-  | ||
| − | + | | 서대(犀帶) || 삽금대(鈒金帶) || 소금대(素金帶) || 삽은대(鈒銀帶) || 소은대(素銀帶) || 소은대(素銀帶) || 흑각대(黑角帶) || 흑각대(黑角帶)  | |
| − | || 흑각대(黑角帶)  | + | |
|}  | |}  | ||
| − | ====품대   | + | ====품대 구조 및 재료====  | 
| − | 쌍타미형 품대는 분리형 구조와 일체형 구조로 나눌 수 있다. 19세기 중기 이전에는 분리형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5조각의 띠(앞띠 2조각, 속띠 2조각, 뒤띠 1조각)를 좌우의 띠고리를 사용해 길이를 조절하여   | + | *쌍타미형 품대는 분리형 구조와 일체형 구조로 나눌 수 있다. 19세기 중기 이전에는 분리형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5조각의 띠(앞띠 2조각, 속띠 2조각, 뒤띠 1조각)를 좌우의 띠고리를 사용해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였다.    | 
| + | *가죽에 흑색이나 청색의 비단을 감싸 띠바탕인 정(鞓)을 만들고 품계를 나타내는 띠돈[帶錢]을 부착하였는데,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박통사언해&ridx=0&tot=180 『박통사언해』]에 따르면 띠돈에 삼태(三台), 남두육성(南斗六星), 좌보(左輔), 우필(右弼), 북두칠성(北斗七星) 등의 별자리 이름을 붙였다. 띠돈의 재료는 서(犀), 금(金), 은(銀), 흑각(黑角) 4종이며, 금대와 은대는 표면에 가한 조각의 유무에 따라 삽금대와 소금대, 삽은대와 소은대로 구분하였다.    | ||
| + | *세종 3년(1421), 금대와 은대의 띠돈은 순금이나 순은을 사용하는 대신 띠돈의 테두리에만 금이나 은을 쓰도록 하였으므로,<ref>『세종실록』 13권, 세종 3년 9월 7일 정묘 5번째기사 1421년 명 영락(永樂) 19년.</ref> 침향(沈香), 학정(鶴頂), 대모(玳瑁) 등 다양한 재료에 금이나 은으로 테두리를 둘러 금대와 은대로 구분하였다.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A%B9%80%EC%A7%80%EC%9B%90 하연의 초상화]에서 하연(河演, 1376~1453)은 일품관 품대인 서대(犀帶)를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서대는 띠돈의 재료로 서각(犀角:물소뿔)을 사용하였는데,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초상화에서는 서대의 삼태에 금테를 둘렀는데, 서대의 띠돈에는 금테를 두르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삼태·좌보·우필·타미에는 금테를 두르기도 하였다.    | ||
| + | *쌍타미형 분리형 구조의 유물로는 중종에게 하사받은 것이라고 전해지는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이현보&ridx=0&tot=17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품대가 있다. 띠돈의 재료로 서각을 사용하였는데, 모든 띠돈에 금테를 둘렀기때문에 1품용 서대가 아니라 종2품용 소금대(素金帶)로 짐작된다.<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8쪽.</ref>  |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 ====클래스====  | ||
| + | *Actor-인물 : 세종  | ||
| + | *Actor-인물 : 하연  | ||
| + | *Actor-인물 : 성종  | ||
| + | *Actor-인물 : 중종  | ||
| + | *Actor-인물 : 이현보  | ||
| + | *Clothing-복장 : [[백관의 상복]]  | ||
| + | *Clothing-복식 : [[사모]]  | ||
| + | *Clothing-복식 : [[단령]]  | ||
| + | *Clothing-복식 : [[품대]]  | ||
| + | *Clothing-복식 : [[화]]  | ||
| + | *Record-문헌 : 『조선왕조실록』  | ||
| + | *Record-문헌 : 『경국대전』  | ||
| + | *Record-문헌 : 『박통사언해』  | ||
| + | *Record-그림 : 하연 초상  | ||
| + | *Object-유물 : 이현보 품대  | ||
| +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 ===관련 내용=== -->    | <!-- ===관련 내용=== -->    | ||
| 36번째 줄: | 60번째 줄: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세종 || 하연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 | |-  | ||
| + | | 성종 || 중종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A hasSon B   | ||
| + | |-  | ||
| + | | 중종 || 이현보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 + | |-  | ||
| + |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품대]] || [[사모]]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품대]] || [[단령]]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품대]] || [[화]]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조선왕조실록』|| 품대의 띠돈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경국대전』|| [[품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박통사언해』|| 품대의 띠돈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성종 ||『경국대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하연 초상 || [[품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 − | | 품대 ||   | + | | 이현보 품대 || [[품대]]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50번째 줄: | 90번째 줄: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 ||
| − | 파일:품대구조.jpg|품대 세부 명칭<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 | 파일:품대구조.jpg|품대 세부 명칭.<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40쪽.</ref>  | 
| − | 파일:이현보서대2.jpg|이현보(李賢輔1467~1555)의 분리형 품대<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 | 파일:이현보서대2.jpg|이현보(李賢輔1467~1555)의 쌍타미형 분리형 품대.<ref>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7쪽.</ref>  | 
</gallery>  | </gallery>  | ||
| 58번째 줄: | 9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 『조선왕조실록』  | 
| − | *   | + | * 『경국대전』  | 
| − | *   | + | * 『박통사언해』  |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3828409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 이은주,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53828409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
|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분류:김지원]]  |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  | 
| + | [[분류:Clothing]][[분류:Clothing-복식]][[분류:복콘2020-Clothing-복식]]  | ||
| + | [[분류:김지원]]  | ||
2023년 4월 25일 (화) 17:25 기준 최신판
| 품대 (品帶)  | 
|
|   이현보(李賢輔1467~1555)의 쌍타미형 분리형 품대.[1]  |  
|
| 대표명칭 | 품대 | 
|---|---|
| 한자표기 | 品帶 | 
| 이칭별칭 | 革帶 | 
| 구분 | 官服 | 
| 착용신분 | 백관 | 
| 착용성별 | 남자 | 
정의
품대(品帶)는 조선시대 백관이 품계에 따라 착용하던 허리띠로 혁대(革帶)라고도 한다. 타미(䤩尾)가 1개인 단타미형과 2개인 쌍타미형이 있으며, 쌍타미형은 띠고리 유무에 따라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나뉜다. 백관의 상복(常服)에 착용하는 품대는 쌍타미형으로, 띠바탕[鞓]에 부착하는 띠돈[帶錢]의 재료를 달리 하여 품계를 구분하였다.
내용
품대 제도
백관 상복(常服)의 품대제도는 성종 대 편찬된 『경국대전』 권3 「禮典」 ‘儀章’에서 처음 보인다. 『경국대전』에는 백관의 조복·제복·공복·상복 제도가 규정되어 있는데, 조복·제복·상복의 품대는 동일하다. 이후 백관의 품대 제도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 1품 | 정2품 | 종2품 | 정3품 | 종3품 | 4품 | 5·6품 | 7·8·9품 | 
|---|---|---|---|---|---|---|---|
| 서대(犀帶) | 삽금대(鈒金帶) | 소금대(素金帶) | 삽은대(鈒銀帶) | 소은대(素銀帶) | 소은대(素銀帶) | 흑각대(黑角帶) | 흑각대(黑角帶) | 
품대 구조 및 재료
- 쌍타미형 품대는 분리형 구조와 일체형 구조로 나눌 수 있다. 19세기 중기 이전에는 분리형 구조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5조각의 띠(앞띠 2조각, 속띠 2조각, 뒤띠 1조각)를 좌우의 띠고리를 사용해 길이를 조절하여 착용하였다.
 - 가죽에 흑색이나 청색의 비단을 감싸 띠바탕인 정(鞓)을 만들고 품계를 나타내는 띠돈[帶錢]을 부착하였는데, 『박통사언해』에 따르면 띠돈에 삼태(三台), 남두육성(南斗六星), 좌보(左輔), 우필(右弼), 북두칠성(北斗七星) 등의 별자리 이름을 붙였다. 띠돈의 재료는 서(犀), 금(金), 은(銀), 흑각(黑角) 4종이며, 금대와 은대는 표면에 가한 조각의 유무에 따라 삽금대와 소금대, 삽은대와 소은대로 구분하였다.
 - 세종 3년(1421), 금대와 은대의 띠돈은 순금이나 순은을 사용하는 대신 띠돈의 테두리에만 금이나 은을 쓰도록 하였으므로,[2] 침향(沈香), 학정(鶴頂), 대모(玳瑁) 등 다양한 재료에 금이나 은으로 테두리를 둘러 금대와 은대로 구분하였다.
 - 하연의 초상화에서 하연(河演, 1376~1453)은 일품관 품대인 서대(犀帶)를 착용한 것으로 보인다. 서대는 띠돈의 재료로 서각(犀角:물소뿔)을 사용하였는데, 밝은 갈색 바탕에 검정에 가까운 짙은 갈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초상화에서는 서대의 삼태에 금테를 둘렀는데, 서대의 띠돈에는 금테를 두르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삼태·좌보·우필·타미에는 금테를 두르기도 하였다.
 - 쌍타미형 분리형 구조의 유물로는 중종에게 하사받은 것이라고 전해지는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품대가 있다. 띠돈의 재료로 서각을 사용하였는데, 모든 띠돈에 금테를 둘렀기때문에 1품용 서대가 아니라 종2품용 소금대(素金帶)로 짐작된다.[3]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인물 : 세종
 - Actor-인물 : 하연
 - Actor-인물 : 성종
 - Actor-인물 : 중종
 - Actor-인물 : 이현보
 - Clothing-복장 : 백관의 상복
 - Clothing-복식 : 사모
 - Clothing-복식 : 단령
 - Clothing-복식 : 품대
 - Clothing-복식 : 화
 - Record-문헌 : 『조선왕조실록』
 - Record-문헌 : 『경국대전』
 - Record-문헌 : 『박통사언해』
 - Record-그림 : 하연 초상
 - Object-유물 : 이현보 품대
 
관계정보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세종 | 하연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성종 | 중종 | A의 아들은 B이다 | A ekc:A hasSon B | 
| 중종 | 이현보 | A의 신하는 B이다 | A ekc:hasSubject B | 
| 백관의 상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 품대 | 사모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품대 | 단령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품대 | 화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조선왕조실록』 | 품대의 띠돈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경국대전』 | 품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박통사언해』 | 품대의 띠돈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성종 | 『경국대전』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하연 초상 | 품대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이현보 품대 | 품대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각자료
갤러리
품대 세부 명칭.[4]
이현보(李賢輔1467~1555)의 쌍타미형 분리형 품대.[5]
주석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7쪽.
 - ↑ 『세종실록』 13권, 세종 3년 9월 7일 정묘 5번째기사 1421년 명 영락(永樂) 19년.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8쪽.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40쪽.
 -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137쪽.
 
참고문헌
- 『조선왕조실록』
 - 『경국대전』
 - 『박통사언해』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