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정DKU"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명의 사용자에 의한 11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big><big><big><big>'''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big></big></big></big>
  
=<big>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big>=
+
=난모 정의=
  
&nbsp;&nbsp;난모(煖帽, 暖帽)란 겨울에 쓰는 방한모의 총칭이다. 난모들은 조선 후기 이전에는 상류사회의 쓰개로 지위, 부의 상징물의 의미가 컸으나,<br/>  
+
&nbsp;&nbsp;난모(煖帽, 暖帽)란, 겨울에 쓰는 방한모의 총칭이다. 난모들은 조선 후기 이전에는 상류사회의 쓰개로 지위, 부의 상징물의 의미가 컸으나,<br/>  
 
조선 말기 이후에는 일반화되어 남녀노소 모두 목적으로 널리 착용하게 되었다.
 
조선 말기 이후에는 일반화되어 남녀노소 모두 목적으로 널리 착용하게 되었다.
  
 +
=난모 종류=
 
==1. 남성용==
 
==1. 남성용==
 
 
===(1) 이엄(耳掩)===
 
===(1) 이엄(耳掩)===
  
&nbsp;&nbsp;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에 대한 문헌기록은 『태종실록』6년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모이엄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nbsp;&nbsp;[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 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에 관한 『[http://sillok.history.go.kr/main/main.do;jsessionid=02E25149F2CD0617897803B18BEB8998|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기록은 『태종실록』 6년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모이엄(毛耳掩)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small>''“아무리 추운 때라 하더라도 모이엄(毛耳掩)과 분투혜(分套鞋)는 전정(殿庭)의 조회(朝會) 때나 행행(行幸)의 영송(迎送) 때 이외에는 착용하지 말게 하소서.''
+
{|class="wikitable" style="width:75%;" border="0"
''그러나, 이 밖에 궐문(闕門) 밖에서 조회를 기다릴 때나 행행시의 노차(路次)에서 시위(侍衛)할 때,''
+
|
''그리고, 각 아문(衙門)에 좌기(坐起)할 때에는 늙고 병이 들어 자원(自願)하여 착용하는 자는 금하지 말게 하소서."''</small><ref>『太宗實錄』6年 11月 23日 (己卯) : 又啓, “當極寒日, 毛耳掩分套鞋, 除殿庭朝會行幸迎送時, 不許穿著外, 闕門外待朝時, 行幸路次侍衛時, 各衙門坐起時, 年老有疾, 自願穿著者, 勿許禁止. ” 皆從之. </ref>
+
<small>“아무리 추운 때라 하더라도 모이엄(毛耳掩)과 분투혜(分套鞋)는 전정(殿庭)의 조회(朝會) 때나 행행(行幸)의 영송(迎送) 때 이외에는 착용하지 말게 하소서.<br/> 그러나, 이 밖에 궐문(闕門) 밖에서 조회를 기다릴 때나 행행시의 노차(路次)에서 시위(侍衛)할 때, 그리고, 각 아문(衙門)에 좌기(坐起)할 때에는 늙고 병이 들어 자원(自願)하여 착용하는 자는 금하지 말게 하소서."</small><ref>『太宗實錄』 6年 11月 23日 (己卯) : 又啓, “當極寒日, 毛耳掩分套鞋, 除殿庭朝會行幸迎送時, 不許穿著外, 闕門外待朝時, 行幸路次侍衛時, 各衙門坐起時, 年老有疾, 自願穿著者, 勿許禁止. ” 皆從之. </ref>
&nbsp;&nbsp;라 기록되어 있어 태종 때 이미 이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후, 태종때 조정의 신하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기록된 이래, 세종 때의 논의를 거쳐 『경국대전』에서 관원의 품급에 따라 재료를 차별화한다.
+
|}
  <small>''“이제부터는 대소 신료들이 중국의 예에 따라 평상시는 이엄을 쓰되, 부제학(副提學) 이상은 초피와 단자(緞子)를 사용하고,''
+
&nbsp;&nbsp;라 기록되어 있어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D%83%9C%EC%A2%85 태종] 때 이미 이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후, 태종 때 조정의 신하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기록된 이래,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C%84%B8%EC%A2%85 세종] 때의 논의를 거쳐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에서 관원의 품급에 따라 재료를 차별화한다.
''사간(司諫) 이하 9품까지는 서피와 청초(靑綃)를 사용하도록 하라"''</small><ref>『世宗實錄』14年 11月 10日 을축 :“自今大小臣僚, 依中朝例常著耳掩, 副提學以上, 用貂皮段子; 司諫以下至九品, 用鼠皮靑綃.”</ref>  
+
{|class="wikitable" style="width:75%;" border="0"
  <small>''“이엄은 3품 이상이 초피(貂皮)를 쓰고, 4품 이하는 이피(狸皮)·호피(狐皮)·서피(鼠皮)를 쓰고, 공상(工商)·천예(賤隷)의''
+
|
''옷과 이엄은 단지 호피·이피와 기타 모피만 쓰게 하십시오"''</small><ref>『世宗實錄』22年 1月 25日 : “自古有等, 況本朝士大夫衣冠, 已有等差 貂皮, 稀貴之物. 今貂裘與貂皮耳掩, 人人皆得穿着, 未便. 自今貂裘及土豹裘, 自集賢殿副提學以上穿着, 三品以下, 只許狸狐鼠皮. 耳掩則三品以上用貂皮, 四品以下用狸狐鼠皮. 工商賤隷衣及耳掩, 只用狐狸皮雜毛皮.” </ref>  
+
<small>“이제부터는 대소 신료들이 중국의 예에 따라 평상시는 이엄을 쓰되, 부제학(副提學) 이상은 초피와 단자(緞子)를 사용하고, 사간(司諫) 이하 9품까지는 서피와 청초(靑綃)를 사용하도록 하라"</small><ref>『世宗實錄』 14年 11月 10日 을축 :“自今大小臣僚, 依中朝例常著耳掩, 副提學以上, 用貂皮段子; 司諫以下至九品, 用鼠皮靑綃.”</ref><br/>
&nbsp;&nbsp;이러한 논의는 『경국대전』에서 1품부터 정3품 당상관까지 단(段:緞)과 초피, 종3품 당하관부터 9품까지 초(綃)와 서피, 종친 6품까지 초와 초피, 잡직(雜職)으로 임무가 있는 참상(參上) 이상은 초와 서피를 사용하는 제도로 확정된다.<ref>『經國大典』「禮典」‘儀章’.</ref>  
+
<small>“이엄은 3품 이상이 초피(貂皮)를 쓰고, 4품 이하는 이피(狸皮)·호피(狐皮)·서피(鼠皮)를 쓰고, 공상(工商)·천예(賤隷)의 옷과 이엄은 단지 호피·이피와 기타 모피만 쓰게 하십시오"</small><ref>『世宗實錄』 22年 1月 25日 : “自古有等, 況本朝士大夫衣冠, 已有等差 貂皮, 稀貴之物. 今貂裘與貂皮耳掩, 人人皆得穿着, 未便. 自今貂裘及土豹裘, 自集賢殿副提學以上穿着, 三品以下, 只許狸狐鼠皮. 耳掩則三品以上用貂皮, 四品以下用狸狐鼠皮. 工商賤隷衣及耳掩, 只用狐狸皮雜毛皮.”</ref>
  <small>''“지금 상의원(尙衣院)에서 하사하는 이엄은 그 제도가 매우 크고 비용도 많습니다. 그런데 여러 신하들이 이를 본받아서 넓고 크게 하기를 다투어 힘씁니다.''
+
|}
''옛날에는 귀만 가리었으나 지금은 머리까지 모두 덮어씌우니 매우 괴이한 일입니다."''</small><ref>『中宗實錄』9年 10月 25日: “而今尙衣院所賜耳掩, 其制甚闊、其費亦鉅, 群下化之, 爭務寬大. 昔也只掩其耳, 今也全蒙其首, 甚可怪也."</ref>  
+
&nbsp;&nbsp;이러한 논의는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에서 1품부터 정3품 당상관까지 단(段:緞)과 [[모피의 종류|초피(貂皮)]], 종3품 당하관부터 9품까지 초(綃)와 [[모피의 종류|서피(鼠皮)]], 종친 6품까지 초와 초피, 잡직(雜職)으로 임무가 있는 참상(參上) 이상은 초와 서피를 사용하는 제도로 확정된다.<ref>『經國大典』「禮典」‘儀章’.</ref>  
&nbsp;&nbsp;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이엄은 조선 초기에는 이엄(耳掩)이 귀를 가릴 정도의 크기로 간단한 형태였으나, 전해 내려오면서 중종 때 귀를 가리는 형태에서 머리까지 모두 덮어쓰는 형태로 변화했고, 이 변화는 왕실에서 먼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
{|class="wikitable" style="width:75%;" border="0"
&nbsp;&nbsp;이엄의 사용은 점점 분수에 넘치게 되어 폐단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명종 8년 9월에는  
+
|
  <small>''“입자(笠子)를 쓸 때에 이엄을 당하관(堂下官) 및 사족(士族)은 서피·일본산 산달피[倭山獺皮]로써 만들고''
+
<small>“지금 상의원(尙衣院)에서 하사하는 이엄은 그 제도가 매우 크고 비용도 많습니다. 그런데 여러 신하들이 이를 본받아서 넓고 크게 하기를 다투어 힘씁니다.<br/> 옛날에는 귀만 가리었으나 지금은 머리까지 모두 덮어씌우니 매우 괴이한 일입니다."</small><ref>『中宗實錄』 9年 10月 25日: “而今尙衣院所賜耳掩, 其制甚闊、其費亦鉅, 群下化之, 爭務寬大. 昔也只掩其耳, 今也全蒙其首, 甚可怪也."</ref>  
''제학(諸學)의 관원과 제색(諸色)의 군사·서얼(庶孽)·이서(吏胥)들은 적호피(赤狐皮)·국산 산달피[鄕山獺皮]로써 만들고,''
+
|}
''공상(工商)·천예(賤隷)들은 산양피(山羊皮)·구피(狗皮)·묘피(猫皮)·지달피(地獺皮)·이피(狸皮)·토피(兎皮) 등으로써 만들라."''</small><ref>『明宗實錄』.8年 9月 18日 (辛酉).
+
&nbsp;&nbsp;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이엄은 조선 초기에는 이엄(耳掩)이 귀를 가릴 정도의 크기로 간단한 형태였으나, 전해 내려오면서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C%A4%91%EC%A2%85 중종] 때 귀를 가리는 형태에서 머리까지 모두 덮어쓰는 형태로 변화했고, 이 변화는 [[상의원]](尙衣院) 즉,왕실에서 먼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憲府啓曰: “著笠時耳掩, 堂下官及士族則用鼠皮, 倭山獺皮; 諸學官員, 諸色軍士, 庶孽, 吏胥, 則用赤狐皮, 鄕山獺皮; 工商, 賤隷則用山羊皮, 狗皮, 猫皮, 地獺皮, 狸皮, 兔皮等”</ref>  
+
&nbsp;&nbsp;이엄의 사용은 점점 분수에 넘치게 되어 폐단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https://ko.wikipedia.org/wiki/%EC%A1%B0%EC%84%A0_%EB%AA%85%EC%A2%85 명종] 8년 9월에는  
&nbsp;&nbsp;라고 하여 계급과 귀천에 따라 모피의 재료에 차등을 두었으며, 모피가 신분의 지표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75%;" border="0"
 
+
==<small><small><small><주석></small></small></small>==
+
<small>“입자(笠子)를 쓸 때에 이엄을 당하관(堂下官) 및 사족(士族)은 서피·일본산 산달피[倭山獺皮]로써 만들고, 제학(諸學)의 관원과 제색(諸色)의 군사·서얼(庶孽)·이서(吏胥)들은 적호피(赤狐皮)·국산 산달피[鄕山獺皮]로써 만들고, 공상(工商)·천예(賤隷)들은 산양피(山羊皮)·구피(狗皮)·묘피(猫皮)·지달피(地獺皮)·이피(狸皮)·토피(兎皮) 등으로써 만들라."</small><ref>『明宗實錄』 8年 9月 18日 (辛酉) : “著笠時耳掩, 堂下官及士族則用鼠皮, 倭山獺皮; 諸學官員, 諸色軍士, 庶孽, 吏胥, 則用赤狐皮, 鄕山獺皮; 工商, 賤隷則用山羊皮, 狗皮, 猫皮, 地獺皮, 狸皮, 兔皮等”</ref>
<small><references/></small>
+
|}
 +
&nbsp;&nbsp;라고 하여 계급과 귀천에 따라 모피의 재료에 차등을 두었으며, 모피가 신분의 지표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br/>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text-align:center;">
 +
|+<small>『[[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의 품계별 이엄 재료</small>
 +
! 품계
 +
! 1품~정3품, 당상관
 +
! 종3품, 당하관~9품
 +
! 종친1~6품
 +
! 雜職 有任者 參上 이상(정종6품)
 +
|-
 +
|재료 || 段, 貂皮 || 綃, 鼠皮 || 綃, 貂皮|| 綃, 鼠皮
 +
|}
  
 
===(2) 휘항(揮項)===
 
===(2) 휘항(揮項)===
[[파일:휘항.PNG|섬네일|휘항<br/>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nbsp;&nbsp;휘항(揮項)·호항(護項)·풍령(風領)·휘향이라고도 한다. 목덜미까지 덮어 보호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이엄[耳掩]에서 비롯된 것으로 겉은 검은 공단으로 하고 서피(鼠皮)나 초피(貂皮)로 안을 넣었다. 머리 위는 뚫렸고 크기는 앞이마와 귀머리 전체를 완전히 덮고 길이는 등을 넉넉히 덮을 정도이다. 앞쪽에 끈을 달아 앞가슴에서 여미도록 되어 있다. 볼끼에 끈을 달아 단단히 묶음으로써, 휘양은 찬바람이 얼굴 안으로 처음부터 들어가지 못하게 해서 방한 효과를 높였다.
 
  
&nbsp;&nbsp;이규경은 정약용의 『아언각비(雅言覺非)』에는 “호항은 이마를 두르는 털 머릿수건 같은 방한구로서 중국의 음으로는 ‘호’를 ‘휘’라 읽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말이 와전되어 휘항으로 불렀다. 그 연원이 이미 오래전에 잘못되었기 때문에 본래 호항이지 휘항이 아니다.”인용하여, ‘護’와 ‘揮’가 중국 발음으로는 같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리가 다르므로 휘항(揮項)보다는 호항(護項)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오늘까지도 호항보다는 휘항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
 +
&nbsp;&nbsp;'''*명칭''' - 휘항(揮項) · 호항(護項) · 풍령(風領) · 휘양이라고도 한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0549 정약용]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8185&cid=46674&categoryId=46674 아언각비(雅言覺非)]』에는 “호항은 이마를 두르는 털 머릿수건 같은 방한구로서 중국의 음으로는 ‘호’를 ‘휘’라 읽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말이 와전되어 휘항으로 불렀다. 그 연원이 이미 오래전에 잘못되었기 때문에 본래 호항이지 휘항이 아니다.”라고 하여, ‘護’와 ‘揮’가 중국 발음으로는 같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리가 다르므로 휘항(揮項)보다는 호항(護項)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오늘까지도 호항보다는 휘항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nbsp;&nbsp;“귀한 사람은 담비 가죽 휘양[貂皮揮揚]을, 천한 사람은 족제비 가죽 휘양[鼠皮揮揚]을 착용하였다.”라고 한다. 소재에 따라서 휘양은 모휘양毛揮揚·목휘양木揮揚·양휘양凉揮揚으로 구분한다. 계급과 가정 경제력에 따라서 재질을 달리해 제작하였다. 휘양은 겨울에 찬바람과 추위를 이겨내려고 착용하였기 때문에, 실용성을 중시하였고 장식은 많이 하지 않았다.
+
&nbsp;&nbsp;'''*형태''' -  목덜미까지 덮어 보호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이엄[耳掩]에서 비롯된 것으로 겉은 검은 공단으로 하고 [[모피의 종류|서피(鼠皮)]]나 [[모피의 종류|초피(貂皮)]]로 안을 넣었다. 머리 위는 뚫렸고 크기는 앞이마와 귀머리 전체를 완전히 덮고 길이는 등을 넉넉히 덮을 정도이다. 앞쪽에 끈을 달아 앞가슴에서 여미도록 되어 있다. 볼끼에 끈을 달아 단단히 묶음으로써, 휘양은 찬바람이 얼굴 안으로 처음부터 들어가지 못하게 해서 방한 효과를 높였다. 휘양은 겨울에 찬바람과 추위를 이겨내려고 착용하였기 때문에, 실용성을 중시하였고 장식은 많이 하지 않았다.
  
&nbsp;&nbsp;'휘항’의 명칭은 18세기 중반에 등장하며, 18세기, 19세기 전후 문헌에는 조선시대에 착용한 방한모 중에서 유독 휘항에 관한 내용만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또한‘책거리’에서 보이는 방한모의 종류가 대부분 휘항이다. 휘항은 18세기, 19세기 전후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nbsp;&nbsp;'''*착용''' -  정약용의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458185&cid=46674&categoryId=46674 아언각비(雅言覺非)]』에는 “귀한 사람은 초피 휘양[貂皮揮揚]을, 천한 사람은 서피 휘양[鼠皮揮揚]을 착용하였다.”<ref>『雅言覺非』 2卷 : “貴人貂皮揮項, 賤人鼠皮揮項”</ref>라고 한다. 소재에 따라서 휘양은 모휘양(毛揮揚) · 목휘양(木揮揚) · 양휘양(凉揮揚)으로 구분한다. 계급과 가정 경제력에 따라서 재질을 달리해 제작하였다.
 +
 
 +
&nbsp;&nbsp;'''*개설''' -  '휘항’의 명칭은 18세기 중반에 등장하며, 18세기, 19세기 전후 문헌에는 조선시대에 착용한 방한모 중에서 유독 휘항에 관한 내용만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또한 ‘책거리’에서 보이는 방한모의 종류가 대부분 휘항이다. 휘항은 18세기, 19세기 전후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br/>
 +
<br/>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휘항 이미지'''</div>
 +
<gallery mode=packed heights=240px>
 +
파일:휘항.PNG|[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0691&content_id=cp021306910001&search_left_menu 휘항]<br><small>단국대학교<br/>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small>
 +
파일:책거리.PNG|규방 책거리<br><small>온양민속박물관 소장</small>
 +
파일:휘항을 쓴 양반.PNG|[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0689&content_id=cp021306890001&search_left_menu 휘항을 쓴 양반]<br><small>문화콘텐츠닷컴</small>
 +
파일:기녀와 만남.PNG|[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6&cp_code=cp0235&index_id=cp02350883&content_id=cp023508830001&search_left_menu 기녀와 만남]<br><small>국립중앙박물관 소장</small></gallery>
 +
<br>
  
 
===(3) 만선두리(滿縇頭里)===
 
===(3) 만선두리(滿縇頭里)===
 +
 +
&nbsp;&nbsp;[[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
{|class="wikitable" style="width:77%;" border="0"
 +
|
 +
<small>“무신(武臣)은 공복에 만선두리라는 것을 착용했는데, 그 제도는 모휘항(毛揮項)의 앞과 뒤 그리고 바깥쪽 가장자리를 초미(貂尾)로 선을 둘렀기 때문에 이름을 그렇게 지은 것이다.”</small><ref>『五洲衍文長箋散稿』 卷45. 暖耳袹袷護項暖帽辨證說.“武臣,則公服用滿縇頭里,其制毛揮項之前後外沿,周以貂尾爲縇,故名.”</ref>
 +
|}
 +
라고 하여 모휘항(毛揮項)의 앞뒤와 바깥의 가장자리를 [[모피의 종류|초피(貂皮)]]로 둘러 선(線, 또는 縇)을 하였기 때문에 만선두리라 하였다. 조선시대 때 무신이 공복에 착용하였던 것이다.
 +
<br/>
 
==2. 여성용==
 
==2. 여성용==
 
===(1) 아얌===
 
===(1) 아얌===
 +
 +
&nbsp;&nbsp;'''*착용 및 역사''' - 아얌은 조선시대에 부녀자들이 외출시 추위를 막으려고 머리에 쓰던 이엄(耳掩)의 한 종류이다. 조선 말기에는 여성용 방한모로 변화되어 착용하면서 아얌이라고 불렀다. 이엄은 원래 귀까지 덮는 것이었으나 아얌은 귀를 내놓고 이마만 덮기 때문에  '이마를 가린다'는 뜻으로 액엄(額掩)이라고도 불렀다.
 +
조선 후기에는 외출 시에 방한과 함께 장식적인 목적으로 일반 서민부녀자들과 젊은층에서 애용하였으며,  기녀들이 일상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
조선 말기 조바위가 등장하면서 차츰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
 +
&nbsp;&nbsp;'''*형태 및 특징''' - 아얌의 일반적인 형태는 위에는 터져 있고, 이마만 두르게 되어 있다.
 +
밑에는 털이 달려 있으며, ‘아얌’의 앞쪽과 뒤쪽에는 붉은색의 수술 장식이 늘어져 있고,
 +
특히 뒤쪽에는 넓적하고 기다란 ‘아얌드림’이 현란하게 늘어져 있다. ‘아얌드림’은 ‘아얌’ 뒤에 댕기처럼 길게 늘어뜨린 비단이다.
 +
재료와 빛깔은 겉감의 상단 누빈 부분은 검정색이나 자색 비단을 썼고, 아랫부분은 검정색이나 짙은 밤색의 모피(毛皮)를 둘렀다. 안감은 적색 융을 사용하였는데 누비지는 않았다.
 +
앞뒤 상부중앙에 부착되어 있는 술은 대부분 적색이며, 앞뒤에 연결된 끈은 전부 납작한 끈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기생들이 착용한 아얌에는 앞뒤 술에 화려하고 큰 보석(옥·석웅황·밀화 등)이 부착되어 있어 매우 사치스러웠다.
 +
<br/>
 +
 +
{|class="wikitable" style="width:75%;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B9B9, #FFD3B6, #FFFDBB, #B4ECB4, #ACE1FF, #F6C3FF)"
 +
|&nbsp;&nbsp;&nbsp;&nbsp;'''"아양 떨다"'''<br/>
 +
 +
&nbsp;&nbsp;<small>'아양'이란 말은 옛날에 부녀자들이 머리에 쓰던 옷차림 '아얌'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
이 '아얌'을 쓰고 나들이하면 걸음을 걸을 때마다 앞의 붉은 술과 뒤에 비단 댕기가 흔들리면서 떨게 되고, 자연히 주변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되었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남의 시선을 끌거나 남에게 돋보이려고 하는 말이나 행동'을 '아양을 떨다'고 말하게 되었다. 남에게 특별히 잘 보이려고 간사스럽게 애교를 부리며 알랑거리는 것을 '아양을 부린다', '아양을 떤다'는 말이 생긴 것이다.([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45118&cid=50802&categoryId=50811 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2009. 9. 25., 조항범])</small>
 +
|}
 +
<br/>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아얌 이미지'''</div>
 +
<gallery mode=packed heights=240px>
 +
파일:아얌.PNG|[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2123700000 아얌]<br/><small>국립민속박물관 소장</small>
 +
파일:꽃을 든 기녀.PNG|꽃을 든 기녀<br/><small>사진엽서로 떠나는 근대 기행</small>
 +
</gallery>
 +
<br/>
 +
&nbsp;&nbsp;'''*[[한국 전통 방한모 갤러리|오늘날 아얌]]'''
 +
<br/>
 +
&nbsp;&nbsp;'''*[[아얌 만들기]]'''
 +
<br/>
 
===(2) 조바위===
 
===(2) 조바위===
 +
 +
&nbsp;&nbsp;조선 말기에 아얌이 사라지면서 가장 널리 사용된 것으로 서양의 목도리가 등장할 때까지 부녀자들이 사용한 방한모로 그 역사가 가장 짧다.<br/>
 +
상류계급에서 일반평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착용하였으나, 주로 반인(班人) 부녀자들의 장식을 겸한 외출모로 쓰였다. 예복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에는 의례적인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다.<br/>
 +
&nbsp;일반적인 형태는 빰에 닿는 부분을 동그랗게 하여 귀를 완전히 덮게 하고,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오그라져 있어 방한의 구실을 한다. 두 뺨은 가려지지만 뒤쪽 아랫부분이 곡선을 이루며 약간 들어가 있어 [[쪽진 머리]]를 하면 쪽이 조바위 밖으로 자연스럽게 나와 편안했다. 19세기말 여자들의 [[쪽진 머리]]가 일반화되면서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
 +
<br/>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조바위 이미지'''</div>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
파일:조바위.PNG|조바위<br/><small>朝鮮時代의 冠帽</small>
 +
파일:조바위(繡).PNG|조바위<br/><small>朝鮮時代의 冠帽</small>
 +
파일:인산에 참여한 내인들.PNG|인산에 참여한 내인들<br/><small>마지막 황실 잊혀진 대한제국</small>
 +
파일:민씨가의 규수.PNG|[https://folkency.nfm.go.kr/kr/dic/61/picture/74111/1 민씨가의 규수]<br/><small>국립민속박물관 소장</small>
 +
</gallery>
 +
<br/>
 +
&nbsp;&nbsp;'''*[[한국 전통 방한모 갤러리|오늘날 조바위]]'''
 +
<br/>
 +
&nbsp;&nbsp;'''*[[조바위 만들기]]'''
 +
<br/>
 
==3. 남녀 공용==
 
==3. 남녀 공용==
 +
===(1) 남바위===
 +
&nbsp;&nbsp;일명 ‘풍뎅이’라고도 한다.<br/>
 +
남바위의 형태는 위가 뚫려 있고, 아랫부분은 좌·우 동일하게 아래까지 세 단계로 곡선을 이루는 제비꼬리 모양이다. 귀와 머리, 이마를 가리며 가장자리에만 털로 선(縇)을 대고, 뒤로 완전히 넘어가도록 길게 만들어 뒷덜미를 덮게 하였다. 추운 날씨에 뺨과 턱을 가리기 위한 볼끼가 따로 부착된 것도 있는데, 필요에 따라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br/>
 +
&nbsp;&nbsp;개항기에는 서민층은 물론 남녀노소가 외출할 때에 추위를 막기 위하여 남바위를 쓴 모습이 많이 확인된다. 겨울철에는 남바위를 [[갓]] 밑에 받쳐 쓰기도 하고, 궁중에 나아갈 때 [[사모]]나 [[양관]]의 밑에도 받쳐 썼다. 여성용 남바위로 앞 중심에 술, 보석 등으로 장식하였다.
 +
 +
<br/>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남바위 이미지'''</div>
 +
<gallery mode=packed heights=240px>
 +
파일:남바위.PNG|[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0417100000#none 남바위]<br/><small>국립민속박물관 소장</small>
 +
파일:엘 (2).PNG|정월 초하루 나들이<br/><small>엘리자베스 키스(1921)</small>
 +
파일:엘 (3).PNG|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온 사람<br/><small>엘리자베스 키스(1939)</small>
 +
파일:남바위6.jpg|[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13&index_id=cp02130845&content_id=cp021308450001&search_left_menu=1 남바위]<br/><small>국립민속박물관 소장</small>
 +
</gallery>
 +
<br/>
 +
&nbsp;&nbsp;'''*[[한국 전통 방한모 갤러리|오늘날 남바위]]'''
 +
<br/>
 +
&nbsp;&nbsp;'''*[[남바위 만들기]]'''
 +
<br/>
 +
===(2) 풍차(風遮)===
 +
 +
&nbsp;&nbsp;풍차는 남바위와 비슷한 형태로 꼭대기에는 둥글게 공간을 두었으며 앞은 이마까지 오고 옆은 귀를 덮게 되어 있으며 뒤로 보면 삼각형이다. 귀와 뺨, 턱을 가리는 볼끼를 달았는데, 이것은 완전하게 방한을 해주는 것으로서, 필요 없을 때는 뒤로 접어서 끈을 매어두게 되어 있었고, 모부(帽部)와  볼끼까지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으로 마음대로 뗄 수 없는 것이 남바위와 다른 점이라 하겠다.<br/>
 +
&nbsp;&nbsp;조선 말기에 이르러 양반들이 사는 상대<small>''(상대(上垈): 서울의 삼청동(三淸洞)안국동 일대)''</small>에서 서로 경쟁해 가며 썼다고 한다.<ref>황호근, 『韓國裝身具美術硏究』, 서울:일지사, 1976, p.456.</ref> 풍차는 조선시대 초기에는 양반계급에서 주로 썼으나 점차 평민화되었으며 여자도 착용하였다. 개항기에는 풍차보다 남바위를 방한모로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
 +
<br/>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풍차 이미지'''</div>
 +
<gallery mode=packed heights=240px>
 +
파일:풍차1.PNG|[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200100103756900000 풍차]<br/><small>국립민속박물관 소장</small>
 +
파일:풍차2.PNG|[http://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301900100089200000 풍차]<br/><small>안동시립민속박물관 소장</small>
 +
</gallery>
 +
<br/>
 +
&nbsp;&nbsp;'''*[[한국 전통 방한모 갤러리|오늘날 풍차]]'''
 +
<br/>
 +
&nbsp;&nbsp;'''*[[풍차 만들기]]'''
 +
<br/>
 +
==4. 아동용==
 +
===(1)굴레===
 +
&nbsp;&nbsp;조선 후기 상류층 가정에서 돌쟁이부터 4~5세까지의 남녀 아이가 착용하는 방한과 장식을 겸한 어린아이용 쓰개 즉, 모자이다. 남녀 유아기에 [https://ko.wikipedia.org/wiki/%EB%8F%8C%EC%9E%94%EC%B9%98 돌]을 맞이한 아이가 많이 쓴다고 하여 속칭 ‘돌모자’라고도 한다.<br/> 
 +
&nbsp;&nbsp;봄가을용 굴레는 얇은 비단을 사용해 3~5조각으로 간격을 두고 성글게 교차시켜 통풍이 잘되도록 하였고, 겨울용은 검은 비단에 솜을 두어 사용하는데, 여러 개의 다리를 서로 약간씩 겹치도록 배열하여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게 제작한다. 구성을 보면 9~11개의 다리를 꿰매지 않고 겹쳐놓아 목다리에 연결하고, 그 끝 부분은 머리 모양을 따라 복판으로 모아 정수리의 장식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방한모로의 목적도 겸하였다.<ref>이경자·장숙환·홍나영, 열화당, 우리 옷과 장신구, 2003. pp.104~105.</ref>
 +
봄부터 가을까지 쓰는 세 가닥 굴레는 서울 지방에서 통용되었다고 하여 ‘서울 굴레’, 겨울용인 아홉 가닥 굴레는 개성 지방에서 통용되었다고 하여 ‘개성 굴레’로 칭하기도 한다. 서울 굴레의 경우 방한보다는 멋과 장식을 위해 사용되었다.<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 전통 어린이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0. pp.98~101.</ref><br/>
 +
&nbsp;&nbsp;정수리 부분인 복판에는 꽃 모양의 장식판이 있다. 굴레의 장식으로는 모란·연꽃·영지·산·파도·호랑이·박쥐·나비 등의 무늬와 수(壽) · 복(福) · 희(囍) · 수복강녕(壽福康寧) · 복해수산(福海壽山) · 만수무강(萬壽無疆) · 부귀(富貴) · 다남자(多男子) 등의 문자를 자수와 금박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모두 아이의 부귀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
 +
<br/>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굴레 이미지'''</div>
 +
<gallery mode=packed heights=190px>
 +
파일:굴레 앞.jpg|[http://www.emuseum.go.kr/detail?cateClass=&cateListFlag=&keyword=%EA%B5%B4%EB%A0%88&pageNum=13&rows=20&sort=&highQualityYn=&isImgExistOp=&mckoglsvOp=&isIntrstMuseumOp=&filedOp=&detailFlag=&dq=&ps01Lv1=&ps01Lv2=&ps01Lv3=&mcSeqNo=&author=&ps06Lv1=&ps06Lv2=&ps08Lv1=&ps08Lv2=&ps09Lv1=&ps09Lv2=&ps09Lv3=&ps09Lv4=&gl05Lv1=&gl05Lv2=&ps12Lv1=&ps15Lv1=&culturalHerNo=&publicType=&detailedDes=&thema=&storySeq=&categoryLv=&categoryCode=&mobileFacetIng=&location=&facet1Lv1=&facet1Lv2=&facet2Lv1=&facet3Lv1=&facet3Lv2=&facet4Lv1=&facet4Lv2=&facet5Lv1=&facet5Lv2=&facet5Lv3=&facet5Lv4=&facet6Lv1=&facet6Lv2=&facet7Lv1Selected=&facet7Lv1=&facet8Lv1=&keywordHistory=%EA%B5%B4%EB%A0%88&showSearchOption=&intrstMuseumCode=&returnUrl=%2FheaderSearch&selectMakerGroup=0&radioSearchCheck=unifiedSearch&headerPs01Lv1=&headerPs01Lv2=&headerPs01Lv3 굴레(앞)]<br/><small>원주역사박물관 소장</small>
 +
파일:굴레 뒤.jpg|굴레(뒤)<br/><small>원주역사박물관 소장</small>
 +
파일:굴레.jpg|[http://www.emuseum.go.kr/detail?cateClass=&cateListFlag=&keyword=%EA%B5%B4%EB%A0%88&pageNum=23&rows=20&sort=&highQualityYn=&isImgExistOp=&mckoglsvOp=&isIntrstMuseumOp=&filedOp=&detailFlag=&dq=&ps01Lv1=&ps01Lv2=&ps01Lv3=&mcSeqNo=&author=&ps06Lv1=&ps06Lv2=&ps08Lv1=&ps08Lv2=&ps09Lv1=&ps09Lv2=&ps09Lv3=&ps09Lv4=&gl05Lv1=&gl05Lv2=&ps12Lv1=&ps15Lv1=&culturalHerNo=&publicType=&detailedDes=&thema=&storySeq=&categoryLv=&categoryCode=&mobileFacetIng=&location=&facet1Lv1=&facet1Lv2=&facet2Lv1=&facet3Lv1=&facet3Lv2=&facet4Lv1=&facet4Lv2=&facet5Lv1=&facet5Lv2=&facet5Lv3=&facet5Lv4=&facet6Lv1=&facet6Lv2=&facet7Lv1Selected=&facet7Lv1=&facet8Lv1=&keywordHistory=%EA%B5%B4%EB%A0%88&showSearchOption=&intrstMuseumCode=&returnUrl=%2FheaderSearch&selectMakerGroup=0&radioSearchCheck=unifiedSearch&headerPs01Lv1=&headerPs01Lv2=&headerPs01Lv3 굴레]<br/><small>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 소장</small>
 +
</gallery>
 +
<br/>
 +
&nbsp;&nbsp;'''*[[한국 전통 방한모 갤러리|오늘날 굴레]]'''
 +
<br/>
 +
&nbsp;&nbsp;'''*[[굴레 만들기]]'''
 +
<br/>
 +
=난모 종류 그래프=
 +
 +
{{NetworkGraph | title=난모종류.lst}}
 +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
{| style=text-align:"top" cellpadding="1"
 +
|
 +
 +
=지식관계망=
 +
 +
==클래스==
 +
*Actor-단체 : 조선
 +
*Actor-단체 : [[상의원]]
 +
*Actor-계급 : 양반
 +
*Actor-인물 : 태종
 +
*Actor-인물 : 세종
 +
*Actor-인물 : 중종
 +
*Actor-인물 : 명종
 +
*Actor-인물 : 순조
 +
*Actor-인물 : 정약용
 +
*Actor-인물 : 이규경
 +
*Actor-인물 : 엘리자베스 키스
 +
*Event-행사 : 돌
 +
*Place-소장처 : 국립민속박물관
 +
*Place-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Place-소장처 : 석주선기념박물관
 +
*Place-소장처 : 안동시립민속박물관
 +
*Place-소장처 : 원주역사박물관
 +
*Place-소장처 :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
 +
||
 +
<br/>
 +
<br/>
 +
<br/>
 +
<br/>
 +
*Clothing-복식 : 난모(暖帽, 煖帽)
 +
*Clothing-복식 : 방한모
 +
*Clothing-복식 : 쓰개
 +
*Clothing-복식 : 이엄
 +
*Clothing-복식 : 휘항
 +
*Clothing-복식 : 만선두리
 +
*Clothing-복식 : 아얌
 +
*Clothing-복식 : 조바위
 +
*Clothing-복식 : 남바위
 +
*Clothing-복식 : 풍차
 +
*Clothing-복식 : 굴레
 +
*Clothing-복식 : [[쪽진 머리]]
 +
*Clothing-복식 : 사모
 +
*Clothing-복식 : 양관
 +
*Clothing-복식 : 갓
 +
*Object-직물 : [[모피의 종류|초피(貂皮)]]
 +
*Object-직물 : [[모피의 종류|서피(鼠皮)]]
 +
*Object-직물 : 자수
 +
*Object-직물 : 금박
 +
*Object-직물 : 술
 +
||
 +
<br/>
 +
<br/>
 +
<br/>
 +
<br/>
 +
<br/>
 +
<br/>
 +
*Record-문헌 : 『조선왕조실록』
 +
*Record-문헌 : 『태종실록』
 +
*Record-문헌 : 『세종실록』
 +
*Record-문헌 : 『중종실록』
 +
*Record-문헌 : 『명종실록』
 +
*Record-문헌 :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
 +
*Record-문헌 : 『아언각비』
 +
*Record-문헌 : 『오주연문장전산고』
 +
*Record-그림 : 동저상(冬猪商)
 +
*Record-그림 : 포수행렵(砲手行獵)
 +
*Record-그림 : 정월 초하루 나들이
 +
*Record-그림 :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온 사람
 +
*Record-=사진 : 꽃을 든 기녀
 +
*Record-=사진 : 인산에 참여한 내인들
 +
*Heritage-유물 : 휘항 전세유물
 +
*Heritage-유물 : 아얌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조바위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남바위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풍차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굴레 전세 유물
 +
<br/>
 +
|}
 +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Lcenter"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난모(暖帽, 煖帽) || 방한모 ||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쓰개|| 난모(暖帽, 煖帽) ||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방한모 || 쓰개 ||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 A owl:sameAs B
 +
|-
 +
| 쓰개 || 조바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쓰개 || 아얌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쓰개 || 굴레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난모 || 이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난모 || 휘항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난모 || 만선두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방한모 || 풍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방한모 || 남바위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양반 || 조선남자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휘항 || 휘항유물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모피의 종류|모피]] || 서피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모피의 종류|모피]] || 초피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조바위 || 자수 || A의 부분은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조바위 || 금박 || A의 부분은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아얌 || 술 || A의 부분은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아얌 || 아얌드림 || A의 부분은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굴레 || 자수 || A의 부분은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굴레 || 오방색 || A의 부분은 B이다 || A dcterms:hasPart B
 +
|-
 +
| 조선 남자 || 휘항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양반 || 휘항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무관 || 만선두리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조선 여자 || 조바위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조선 여자 || 아얌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아동 || 굴레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
 +
| 난모 ||  [[모피의 종류|모피]]  || A의 재료는 B이다 || A dcterms:medium B
 +
|-
 +
| 방한모 ||  [[모피의 종류|모피]]  || A의 재료는 B이다 || A dcterms:medium B
 +
|-
 +
|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 || 이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 || [[모피의 종류|모피]]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경국대전_(經國大典)|경국대전]]』 || [[상의원]]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조선왕조실록』 || 이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아언각비』 || 휘항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오주연문장전산고』 || 만선두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정약용 || 『아언각비』 || B는 A를 저술하였다 || B dcterms:isCreatorOf A
 +
|-
 +
| 이규경 || 『오주연문장전산고』 || B는 A를 저술하였다 || B dcterms:isCreatorOf A
 +
|-
 +
| 휘항 유물 || 석주선기념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엘리자베스 키스 || 남바위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준근 || 동저상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준근 || 포수행렵 || A는 B를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아양떨다 || 아얌 || A는 B에서 이름을 따왔다 ||  A ekc:isNamesakeOf B
 +
|-
 +
| 개항기 || 조바위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개항기 || 남바위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남바위 || 갓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남바위 || 양관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남바위 || 사모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쪽진 머리]] || 조바위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모피의 종류|모피]] || 동저상 ||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굴레 || 돌 || A는 B에서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네트워크 그래프==
 +
 +
{{NetworkGraph | title=난모1.lst}}
 +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
 +
='''<small><각주></small>'''=
 +
<references/>
 +
 +
[[분류:복식콘텐츠]] [[분류:복식2020단국대]][[분류:김희정]]
 +
[[분류:Clothing-복식]]
 +
[[분류:쓰개]][[분류:난모]][[분류:방한모]]

2020년 12월 15일 (화) 05:48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

난모 정의

  난모(煖帽, 暖帽)란, 겨울에 쓰는 방한모의 총칭이다. 난모들은 조선 후기 이전에는 상류사회의 쓰개로 지위, 부의 상징물의 의미가 컸으나,
조선 말기 이후에는 일반화되어 남녀노소 모두 목적으로 널리 착용하게 되었다.

난모 종류

1. 남성용

(1) 이엄(耳掩)

  조선시대 난모(暖帽, 煖帽)에 관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기록은 『태종실록』 6년에서부터 찾아볼 수 있다. 모이엄(毛耳掩)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아무리 추운 때라 하더라도 모이엄(毛耳掩)과 분투혜(分套鞋)는 전정(殿庭)의 조회(朝會) 때나 행행(行幸)의 영송(迎送) 때 이외에는 착용하지 말게 하소서.
그러나, 이 밖에 궐문(闕門) 밖에서 조회를 기다릴 때나 행행시의 노차(路次)에서 시위(侍衛)할 때, 그리고, 각 아문(衙門)에 좌기(坐起)할 때에는 늙고 병이 들어 자원(自願)하여 착용하는 자는 금하지 말게 하소서."
[1]

  라 기록되어 있어 태종 때 이미 이엄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후, 태종 때 조정의 신하들이 착용하는 것으로 기록된 이래, 세종 때의 논의를 거쳐 『경국대전』에서 관원의 품급에 따라 재료를 차별화한다.

“이제부터는 대소 신료들이 중국의 예에 따라 평상시는 이엄을 쓰되, 부제학(副提學) 이상은 초피와 단자(緞子)를 사용하고, 사간(司諫) 이하 9품까지는 서피와 청초(靑綃)를 사용하도록 하라"[2]
“이엄은 3품 이상이 초피(貂皮)를 쓰고, 4품 이하는 이피(狸皮)·호피(狐皮)·서피(鼠皮)를 쓰고, 공상(工商)·천예(賤隷)의 옷과 이엄은 단지 호피·이피와 기타 모피만 쓰게 하십시오"[3]

  이러한 논의는 『경국대전』에서 1품부터 정3품 당상관까지 단(段:緞)과 초피(貂皮), 종3품 당하관부터 9품까지 초(綃)와 서피(鼠皮), 종친 6품까지 초와 초피, 잡직(雜職)으로 임무가 있는 참상(參上) 이상은 초와 서피를 사용하는 제도로 확정된다.[4]

“지금 상의원(尙衣院)에서 하사하는 이엄은 그 제도가 매우 크고 비용도 많습니다. 그런데 여러 신하들이 이를 본받아서 넓고 크게 하기를 다투어 힘씁니다.
옛날에는 귀만 가리었으나 지금은 머리까지 모두 덮어씌우니 매우 괴이한 일입니다."
[5]

  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이엄은 조선 초기에는 이엄(耳掩)이 귀를 가릴 정도의 크기로 간단한 형태였으나, 전해 내려오면서 중종 때 귀를 가리는 형태에서 머리까지 모두 덮어쓰는 형태로 변화했고, 이 변화는 상의원(尙衣院) 즉,왕실에서 먼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엄의 사용은 점점 분수에 넘치게 되어 폐단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명종 8년 9월에는

“입자(笠子)를 쓸 때에 이엄을 당하관(堂下官) 및 사족(士族)은 서피·일본산 산달피[倭山獺皮]로써 만들고, 제학(諸學)의 관원과 제색(諸色)의 군사·서얼(庶孽)·이서(吏胥)들은 적호피(赤狐皮)·국산 산달피[鄕山獺皮]로써 만들고, 공상(工商)·천예(賤隷)들은 산양피(山羊皮)·구피(狗皮)·묘피(猫皮)·지달피(地獺皮)·이피(狸皮)·토피(兎皮) 등으로써 만들라."[6]

  라고 하여 계급과 귀천에 따라 모피의 재료에 차등을 두었으며, 모피가 신분의 지표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경국대전』의 품계별 이엄 재료
품계 1품~정3품, 당상관 종3품, 당하관~9품 종친1~6품 雜職 有任者 參上 이상(정종6품)
재료 段, 貂皮 綃, 鼠皮 綃, 貂皮 綃, 鼠皮

(2) 휘항(揮項)

  *명칭 - 휘항(揮項) · 호항(護項) · 풍령(風領) · 휘양이라고도 한다. 정약용의 『아언각비(雅言覺非)』에는 “호항은 이마를 두르는 털 머릿수건 같은 방한구로서 중국의 음으로는 ‘호’를 ‘휘’라 읽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말이 와전되어 휘항으로 불렀다. 그 연원이 이미 오래전에 잘못되었기 때문에 본래 호항이지 휘항이 아니다.”라고 하여, ‘護’와 ‘揮’가 중국 발음으로는 같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소리가 다르므로 휘항(揮項)보다는 호항(護項)이라는 용어가 적합하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오늘까지도 호항보다는 휘항이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형태 - 목덜미까지 덮어 보호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이엄[耳掩]에서 비롯된 것으로 겉은 검은 공단으로 하고 서피(鼠皮)초피(貂皮)로 안을 넣었다. 머리 위는 뚫렸고 크기는 앞이마와 귀머리 전체를 완전히 덮고 길이는 등을 넉넉히 덮을 정도이다. 앞쪽에 끈을 달아 앞가슴에서 여미도록 되어 있다. 볼끼에 끈을 달아 단단히 묶음으로써, 휘양은 찬바람이 얼굴 안으로 처음부터 들어가지 못하게 해서 방한 효과를 높였다. 휘양은 겨울에 찬바람과 추위를 이겨내려고 착용하였기 때문에, 실용성을 중시하였고 장식은 많이 하지 않았다.

  *착용 - 정약용의 『아언각비(雅言覺非)』에는 “귀한 사람은 초피 휘양[貂皮揮揚]을, 천한 사람은 서피 휘양[鼠皮揮揚]을 착용하였다.”[7]라고 한다. 소재에 따라서 휘양은 모휘양(毛揮揚) · 목휘양(木揮揚) · 양휘양(凉揮揚)으로 구분한다. 계급과 가정 경제력에 따라서 재질을 달리해 제작하였다.

  *개설 - '휘항’의 명칭은 18세기 중반에 등장하며, 18세기, 19세기 전후 문헌에는 조선시대에 착용한 방한모 중에서 유독 휘항에 관한 내용만이 다수 기록되어 있다. 또한 ‘책거리’에서 보이는 방한모의 종류가 대부분 휘항이다. 휘항은 18세기, 19세기 전후에 많이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휘항 이미지


(3) 만선두리(滿縇頭里)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무신(武臣)은 공복에 만선두리라는 것을 착용했는데, 그 제도는 모휘항(毛揮項)의 앞과 뒤 그리고 바깥쪽 가장자리를 초미(貂尾)로 선을 둘렀기 때문에 이름을 그렇게 지은 것이다.”[8]

라고 하여 모휘항(毛揮項)의 앞뒤와 바깥의 가장자리를 초피(貂皮)로 둘러 선(線, 또는 縇)을 하였기 때문에 만선두리라 하였다. 조선시대 때 무신이 공복에 착용하였던 것이다.

2. 여성용

(1) 아얌

  *착용 및 역사 - 아얌은 조선시대에 부녀자들이 외출시 추위를 막으려고 머리에 쓰던 이엄(耳掩)의 한 종류이다. 조선 말기에는 여성용 방한모로 변화되어 착용하면서 아얌이라고 불렀다. 이엄은 원래 귀까지 덮는 것이었으나 아얌은 귀를 내놓고 이마만 덮기 때문에 '이마를 가린다'는 뜻으로 액엄(額掩)이라고도 불렀다. 조선 후기에는 외출 시에 방한과 함께 장식적인 목적으로 일반 서민부녀자들과 젊은층에서 애용하였으며, 기녀들이 일상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조선 말기 조바위가 등장하면서 차츰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형태 및 특징 - 아얌의 일반적인 형태는 위에는 터져 있고, 이마만 두르게 되어 있다. 밑에는 털이 달려 있으며, ‘아얌’의 앞쪽과 뒤쪽에는 붉은색의 수술 장식이 늘어져 있고, 특히 뒤쪽에는 넓적하고 기다란 ‘아얌드림’이 현란하게 늘어져 있다. ‘아얌드림’은 ‘아얌’ 뒤에 댕기처럼 길게 늘어뜨린 비단이다. 재료와 빛깔은 겉감의 상단 누빈 부분은 검정색이나 자색 비단을 썼고, 아랫부분은 검정색이나 짙은 밤색의 모피(毛皮)를 둘렀다. 안감은 적색 융을 사용하였는데 누비지는 않았다. 앞뒤 상부중앙에 부착되어 있는 술은 대부분 적색이며, 앞뒤에 연결된 끈은 전부 납작한 끈목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기생들이 착용한 아얌에는 앞뒤 술에 화려하고 큰 보석(옥·석웅황·밀화 등)이 부착되어 있어 매우 사치스러웠다.

    "아양 떨다"

  '아양'이란 말은 옛날에 부녀자들이 머리에 쓰던 옷차림 '아얌'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아얌'을 쓰고 나들이하면 걸음을 걸을 때마다 앞의 붉은 술과 뒤에 비단 댕기가 흔들리면서 떨게 되고, 자연히 주변사람들의 시선을 끌게 되었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남의 시선을 끌거나 남에게 돋보이려고 하는 말이나 행동'을 '아양을 떨다'고 말하게 되었다. 남에게 특별히 잘 보이려고 간사스럽게 애교를 부리며 알랑거리는 것을 '아양을 부린다', '아양을 떤다'는 말이 생긴 것이다.(정말 궁금한 우리말 100가지, 2009. 9. 25., 조항범)


*아얌 이미지


  *오늘날 아얌
  *아얌 만들기

(2) 조바위

  조선 말기에 아얌이 사라지면서 가장 널리 사용된 것으로 서양의 목도리가 등장할 때까지 부녀자들이 사용한 방한모로 그 역사가 가장 짧다.
상류계급에서 일반평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착용하였으나, 주로 반인(班人) 부녀자들의 장식을 겸한 외출모로 쓰였다. 예복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에는 의례적인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형태는 빰에 닿는 부분을 동그랗게 하여 귀를 완전히 덮게 하고, 바람이 들어가지 않도록 가장자리가 오그라져 있어 방한의 구실을 한다. 두 뺨은 가려지지만 뒤쪽 아랫부분이 곡선을 이루며 약간 들어가 있어 쪽진 머리를 하면 쪽이 조바위 밖으로 자연스럽게 나와 편안했다. 19세기말 여자들의 쪽진 머리가 일반화되면서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조바위 이미지


  *오늘날 조바위
  *조바위 만들기

3. 남녀 공용

(1) 남바위

  일명 ‘풍뎅이’라고도 한다.
남바위의 형태는 위가 뚫려 있고, 아랫부분은 좌·우 동일하게 아래까지 세 단계로 곡선을 이루는 제비꼬리 모양이다. 귀와 머리, 이마를 가리며 가장자리에만 털로 선(縇)을 대고, 뒤로 완전히 넘어가도록 길게 만들어 뒷덜미를 덮게 하였다. 추운 날씨에 뺨과 턱을 가리기 위한 볼끼가 따로 부착된 것도 있는데, 필요에 따라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개항기에는 서민층은 물론 남녀노소가 외출할 때에 추위를 막기 위하여 남바위를 쓴 모습이 많이 확인된다. 겨울철에는 남바위를 밑에 받쳐 쓰기도 하고, 궁중에 나아갈 때 사모양관의 밑에도 받쳐 썼다. 여성용 남바위로 앞 중심에 술, 보석 등으로 장식하였다.


*남바위 이미지


  *오늘날 남바위
  *남바위 만들기

(2) 풍차(風遮)

  풍차는 남바위와 비슷한 형태로 꼭대기에는 둥글게 공간을 두었으며 앞은 이마까지 오고 옆은 귀를 덮게 되어 있으며 뒤로 보면 삼각형이다. 귀와 뺨, 턱을 가리는 볼끼를 달았는데, 이것은 완전하게 방한을 해주는 것으로서, 필요 없을 때는 뒤로 접어서 끈을 매어두게 되어 있었고, 모부(帽部)와 볼끼까지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으로 마음대로 뗄 수 없는 것이 남바위와 다른 점이라 하겠다.
  조선 말기에 이르러 양반들이 사는 상대(상대(上垈): 서울의 삼청동(三淸洞)안국동 일대)에서 서로 경쟁해 가며 썼다고 한다.[9] 풍차는 조선시대 초기에는 양반계급에서 주로 썼으나 점차 평민화되었으며 여자도 착용하였다. 개항기에는 풍차보다 남바위를 방한모로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풍차 이미지


  *오늘날 풍차
  *풍차 만들기

4. 아동용

(1)굴레

  조선 후기 상류층 가정에서 돌쟁이부터 4~5세까지의 남녀 아이가 착용하는 방한과 장식을 겸한 어린아이용 쓰개 즉, 모자이다. 남녀 유아기에 을 맞이한 아이가 많이 쓴다고 하여 속칭 ‘돌모자’라고도 한다.
  봄가을용 굴레는 얇은 비단을 사용해 3~5조각으로 간격을 두고 성글게 교차시켜 통풍이 잘되도록 하였고, 겨울용은 검은 비단에 솜을 두어 사용하는데, 여러 개의 다리를 서로 약간씩 겹치도록 배열하여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게 제작한다. 구성을 보면 9~11개의 다리를 꿰매지 않고 겹쳐놓아 목다리에 연결하고, 그 끝 부분은 머리 모양을 따라 복판으로 모아 정수리의 장식 부분에 고정함으로써 방한모로의 목적도 겸하였다.[10] 봄부터 가을까지 쓰는 세 가닥 굴레는 서울 지방에서 통용되었다고 하여 ‘서울 굴레’, 겨울용인 아홉 가닥 굴레는 개성 지방에서 통용되었다고 하여 ‘개성 굴레’로 칭하기도 한다. 서울 굴레의 경우 방한보다는 멋과 장식을 위해 사용되었다.[11]
  정수리 부분인 복판에는 꽃 모양의 장식판이 있다. 굴레의 장식으로는 모란·연꽃·영지·산·파도·호랑이·박쥐·나비 등의 무늬와 수(壽) · 복(福) · 희(囍) · 수복강녕(壽福康寧) · 복해수산(福海壽山) · 만수무강(萬壽無疆) · 부귀(富貴) · 다남자(多男子) 등의 문자를 자수와 금박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는데, 모두 아이의 부귀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굴레 이미지


  *오늘날 굴레
  *굴레 만들기

난모 종류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단체 : 조선
  • Actor-단체 : 상의원
  • Actor-계급 : 양반
  • Actor-인물 : 태종
  • Actor-인물 : 세종
  • Actor-인물 : 중종
  • Actor-인물 : 명종
  • Actor-인물 : 순조
  • Actor-인물 : 정약용
  • Actor-인물 : 이규경
  • Actor-인물 : 엘리자베스 키스
  • Event-행사 : 돌
  • Place-소장처 : 국립민속박물관
  • Place-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 Place-소장처 : 석주선기념박물관
  • Place-소장처 : 안동시립민속박물관
  • Place-소장처 : 원주역사박물관
  • Place-소장처 : 강릉시 오죽헌시립박물관





  • Clothing-복식 : 난모(暖帽, 煖帽)
  • Clothing-복식 : 방한모
  • Clothing-복식 : 쓰개
  • Clothing-복식 : 이엄
  • Clothing-복식 : 휘항
  • Clothing-복식 : 만선두리
  • Clothing-복식 : 아얌
  • Clothing-복식 : 조바위
  • Clothing-복식 : 남바위
  • Clothing-복식 : 풍차
  • Clothing-복식 : 굴레
  • Clothing-복식 : 쪽진 머리
  • Clothing-복식 : 사모
  • Clothing-복식 : 양관
  • Clothing-복식 : 갓
  • Object-직물 : 초피(貂皮)
  • Object-직물 : 서피(鼠皮)
  • Object-직물 : 자수
  • Object-직물 : 금박
  • Object-직물 : 술







  • Record-문헌 : 『조선왕조실록』
  • Record-문헌 : 『태종실록』
  • Record-문헌 : 『세종실록』
  • Record-문헌 : 『중종실록』
  • Record-문헌 : 『명종실록』
  • Record-문헌 : 『경국대전
  • Record-문헌 : 『아언각비』
  • Record-문헌 : 『오주연문장전산고』
  • Record-그림 : 동저상(冬猪商)
  • Record-그림 : 포수행렵(砲手行獵)
  • Record-그림 : 정월 초하루 나들이
  • Record-그림 :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온 사람
  • Record-=사진 : 꽃을 든 기녀
  • Record-=사진 : 인산에 참여한 내인들
  • Heritage-유물 : 휘항 전세유물
  • Heritage-유물 : 아얌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조바위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남바위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풍차 전세 유물
  • Heritage-유물 : 굴레 전세 유물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난모(暖帽, 煖帽) 방한모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A owl:sameAs B
쓰개 난모(暖帽, 煖帽)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A owl:sameAs B
방한모 쓰개 A는 B와 같거나 유사하다 A owl:sameAs B
쓰개 조바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쓰개 아얌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쓰개 굴레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난모 이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난모 휘항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난모 만선두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방한모 풍차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방한모 남바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양반 조선남자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휘항 휘항유물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모피 서피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모피 초피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조바위 자수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조바위 금박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아얌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아얌 아얌드림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굴레 자수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굴레 오방색 A의 부분은 B이다 A dcterms:hasPart B
조선 남자 휘항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양반 휘항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무관 만선두리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조선 여자 조바위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조선 여자 아얌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아동 굴레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난모 모피 A의 재료는 B이다 A dcterms:medium B
방한모 모피 A의 재료는 B이다 A dcterms:medium B
경국대전 이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경국대전 모피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경국대전 상의원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조선왕조실록』 이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 아언각비』 휘항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오주연문장전산고』 만선두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정약용 『아언각비』 B는 A를 저술하였다 B dcterms:isCreatorOf A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B는 A를 저술하였다 B dcterms:isCreatorOf A
휘항 유물 석주선기념박물관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엘리자베스 키스 남바위 A는 B를 묘사하였다 A dcterms:creator B
김준근 동저상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준근 포수행렵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아양떨다 아얌 A는 B에서 이름을 따왔다 A ekc:isNamesakeOf B
개항기 조바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개항기 남바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바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바위 양관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남바위 사모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쪽진 머리 조바위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모피 동저상 A와 B는 서로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굴레 A는 B에서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각주>

  1. 『太宗實錄』 6年 11月 23日 (己卯) : 又啓, “當極寒日, 毛耳掩分套鞋, 除殿庭朝會行幸迎送時, 不許穿著外, 闕門外待朝時, 行幸路次侍衛時, 各衙門坐起時, 年老有疾, 自願穿著者, 勿許禁止. ” 皆從之.
  2. 『世宗實錄』 14年 11月 10日 을축 :“自今大小臣僚, 依中朝例常著耳掩, 副提學以上, 用貂皮段子; 司諫以下至九品, 用鼠皮靑綃.”
  3. 『世宗實錄』 22年 1月 25日 : “自古有等, 況本朝士大夫衣冠, 已有等差 貂皮, 稀貴之物. 今貂裘與貂皮耳掩, 人人皆得穿着, 未便. 自今貂裘及土豹裘, 自集賢殿副提學以上穿着, 三品以下, 只許狸狐鼠皮. 耳掩則三品以上用貂皮, 四品以下用狸狐鼠皮. 工商賤隷衣及耳掩, 只用狐狸皮雜毛皮.”
  4. 『經國大典』「禮典」‘儀章’.
  5. 『中宗實錄』 9年 10月 25日: “而今尙衣院所賜耳掩, 其制甚闊、其費亦鉅, 群下化之, 爭務寬大. 昔也只掩其耳, 今也全蒙其首, 甚可怪也."
  6. 『明宗實錄』 8年 9月 18日 (辛酉) : “著笠時耳掩, 堂下官及士族則用鼠皮, 倭山獺皮; 諸學官員, 諸色軍士, 庶孽, 吏胥, 則用赤狐皮, 鄕山獺皮; 工商, 賤隷則用山羊皮, 狗皮, 猫皮, 地獺皮, 狸皮, 兔皮等”
  7. 『雅言覺非』 2卷 : “貴人貂皮揮項, 賤人鼠皮揮項”
  8. 『五洲衍文長箋散稿』 卷45. 暖耳袹袷護項暖帽辨證說.“武臣,則公服用滿縇頭里,其制毛揮項之前後外沿,周以貂尾爲縇,故名.”
  9. 황호근, 『韓國裝身具美術硏究』, 서울:일지사, 1976, p.456.
  10. 이경자·장숙환·홍나영, 열화당, 우리 옷과 장신구, 2003. pp.104~105.
  1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한국 전통 어린이 복식, 단국대학교출판부, 2000. pp.98~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