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큐레이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강좌 개요)  | 
				 (→참고사이트)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강의 개요==  | 
* 강좌명: '''디지털 큐레이션'''  | * 강좌명: '''디지털 큐레이션'''  | ||
| − | * 동국대학교 문과대 교양과목   | + | * 동국대학교 문과대 교양과목    | 
* 담당 교수: 최원재  | * 담당 교수: 최원재  | ||
| − | * 강의시간 및 강의실:   | + | * 강의시간 및 강의실: 월2.5-3.5,수2.5-3.5  | 
* Webex주소 https://dongguk.webex.com/meet/choi  | * Webex주소 https://dongguk.webex.com/meet/choi  | ||
| + | * Webex number 572 286 591  | ||
| + | * Skype: Jack Choi(in Hamburg, Germany)  | ||
| − | '''인문학 편찬물이나 우리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데이터를 전자적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 하는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인문 지식 정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배양한다.'''  | + | ==강의 목표==  | 
| − | + | ||
| − | ''' 데이터 시대에 들어설 수 있는 '용기'를 주는 데이터 입문 강의로서 데이터 응용 기술을 어렵지 않게 초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강의한다.'''    | + | *'''인문학 편찬물이나 우리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데이터를 전자적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 하는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인문 지식 정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배양한다.'''  | 
| − | + | *''' 데이터 시대에 들어설 수 있는 '용기'를 주는 데이터 입문 강의로서 데이터 응용 기술을 어렵지 않게 초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강의한다.'''  | |
| − | + | * 데이터 시대의 인재형을 확립하고 그에 맞는 과정을 습득한다.  | |
| − | + | * 데이터를 다루는 기초적인 기술을 배양한다.  | |
| + | *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확장을 꾀한다.  | ||
| + | |||
| + | ==강의 일정==  | ||
| + | *[https://eclass.dongguk.edu/index.jsp 동국대학교 이클래스] 참고  | ||
| + | |||
| + | ==수강생==  | ||
| + | *[[신흥무관학교]]  | ||
| + | *[[신흥무관학교.lst]]  | ||
| + | *[[김종민]]  | ||
| + | *[[김종민.lst]]  | ||
| + | *[[오연우]]  | ||
| + | *[[오연우.lst]]  | ||
| + | *[[김택경]]  | ||
| + | *[[김택경.lst]]  | ||
| + | |||
| + | ==참고사이트==  | ||
| + | *[[강화감리교]]  | ||
| + | *[[강화감리교.lst]]  | ||
| + | *[[강화중앙교회]]  | ||
| + | *[[강화중앙교회.lst]]  | ||
| + |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 ||
| + | *[[강화잠두교회항일운동지.lst]]  | ||
| + |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자료 디지털 큐레이셔닝]]  | ||
| + |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자료 디지털 큐레이셔닝.lst]]  | ||
| + | *[[유열의음악앨범.lst]]  | ||
| + | |||
| + | {{NetworkGraph}}  | ||
| + | |||
| + | ==참고문헌==  |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3/tutorial/ConvergenceOfDHnAR.pdf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아카이브와 인문학 연구의 통섭」,  『기록인』 2016 가을 ]  |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디지털_인문학_교육의_현장_(김현_2018) 김현,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인문콘텐츠』 50, 2018. 9.]  | ||
| + |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9/백과사전적아카이브.pdf 김현,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디지털 인문학 입문』]  | ||
| + | * [http://dh.aks.ac.kr/~tutor/Documents/PDF/2019/데이터로소통하는유교문화(김현).pdf 金炫, 「데이터로 疏通하는 동아시아 儒敎文化」, 第6回 21世紀 人文價値 포럼, 2019. 9.]  |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데이터_시대의_한문_고전 金炫, 「데이터 時代의 漢文 古典」, 『전통문화연구회 30년의 회고와 전망』, 2018. 11.]  |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신대동사회론  金炫,  「新‘大同社會’論」, 『전통문화』 44호, 2018. 4.]  | ||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4차_산업혁명_시대의_인문학  金炫,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전통문화』 42호, 2017. 5.]  | ||
| + | * [http://www.yes24.com/Product/Goods/88417811 최원재, 인문기술자, 2019.11.]  | ||
2022년 3월 8일 (화) 12:22 기준 최신판
강의 개요
- 강좌명: 디지털 큐레이션
 - 동국대학교 문과대 교양과목
 - 담당 교수: 최원재
 - 강의시간 및 강의실: 월2.5-3.5,수2.5-3.5
 - Webex주소 https://dongguk.webex.com/meet/choi
 - Webex number 572 286 591
 - Skype: Jack Choi(in Hamburg, Germany)
 
강의 목표
- 인문학 편찬물이나 우리 주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데이터를 전자적인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화 하는 방법을 교육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인문 지식 정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기본 소양을 배양한다.
 - 데이터 시대에 들어설 수 있는 '용기'를 주는 데이터 입문 강의로서 데이터 응용 기술을 어렵지 않게 초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강의한다.
 - 데이터 시대의 인재형을 확립하고 그에 맞는 과정을 습득한다.
 - 데이터를 다루는 기초적인 기술을 배양한다.
 - 데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확장을 꾀한다.
 
강의 일정
- 동국대학교 이클래스 참고
 
수강생
참고사이트
- 강화감리교
 - 강화감리교.lst
 - 강화중앙교회
 - 강화중앙교회.lst
 -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 강화잠두교회항일운동지.lst
 -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자료 디지털 큐레이셔닝
 - 이만규와 한국근대교육자료 디지털 큐레이셔닝.lst
 - 유열의음악앨범.lst
 
 
 
참고문헌
- 김현, 「디지털 인문학 - 아카이브와 인문학 연구의 통섭」, 『기록인』 2016 가을
 - 김현, 「디지털 인문학 교육의 현장」, 『인문콘텐츠』 50, 2018. 9.
 - 김현, 「백과사전적 아카이브」, 『디지털 인문학 입문』
 - 金炫, 「데이터로 疏通하는 동아시아 儒敎文化」, 第6回 21世紀 人文價値 포럼, 2019. 9.
 - 金炫, 「데이터 時代의 漢文 古典」, 『전통문화연구회 30년의 회고와 전망』, 2018. 11.
 - 金炫, 「新‘大同社會’論」, 『전통문화』 44호, 2018. 4.
 - 金炫,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문학」, 『전통문화』 42호, 2017. 5.
 - 최원재, 인문기술자, 20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