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2019-D"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0번째 줄: 10번째 줄:
 
사랑방은 주인인 선비 개개인의 취향, 책에 대한 애정 등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한켠에 책과 문방구만을 모아놓고 전시하는 가구가 따로 있을만큼,(사방탁자, 연상, 서안 등) 그에 대한 조선시대 선비들의 애정은 남달랐다. 문방구를 장식하는데는 기본적으로 선비의 절개와 기개를 상징하는 소나무와 난초 등이 가장 인기있는 소재였지만,  개구리모양 연적부터 팔괘무늬 필통에 이르기까지 그 소재와 표현은 종류를 가리지 않았다. 사랑방에 걸어두었던 책거리, 즉 책가도는  조선 후기 유행했던 회화의 한 종류로 이러한 사랑방 기물들을 한데 모아 놓은 그림이다. 정조는 화원들에게 따로 책가도를 그리도록 명할 만큼 책가도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던 왕이었다. 이후 책거리는 점차 민간으로 퍼지서 복을 빌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민화의 한 양식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로 인해 알람시계, 안경 등 언뜻 책과 거리가 멀어보이는 다양한 기물들이 책거리에 등장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출세를 염원하고 늘 책을 가까이 하고자 했던 의도는 같았다. 조선 말기 사대부들의 초상화에 책, 안경 등의 기물이 추가되는 모습 역시 이러학 제작자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br>
 
사랑방은 주인인 선비 개개인의 취향, 책에 대한 애정 등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한켠에 책과 문방구만을 모아놓고 전시하는 가구가 따로 있을만큼,(사방탁자, 연상, 서안 등) 그에 대한 조선시대 선비들의 애정은 남달랐다. 문방구를 장식하는데는 기본적으로 선비의 절개와 기개를 상징하는 소나무와 난초 등이 가장 인기있는 소재였지만,  개구리모양 연적부터 팔괘무늬 필통에 이르기까지 그 소재와 표현은 종류를 가리지 않았다. 사랑방에 걸어두었던 책거리, 즉 책가도는  조선 후기 유행했던 회화의 한 종류로 이러한 사랑방 기물들을 한데 모아 놓은 그림이다. 정조는 화원들에게 따로 책가도를 그리도록 명할 만큼 책가도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던 왕이었다. 이후 책거리는 점차 민간으로 퍼지서 복을 빌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민화의 한 양식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로 인해 알람시계, 안경 등 언뜻 책과 거리가 멀어보이는 다양한 기물들이 책거리에 등장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출세를 염원하고 늘 책을 가까이 하고자 했던 의도는 같았다. 조선 말기 사대부들의 초상화에 책, 안경 등의 기물이 추가되는 모습 역시 이러학 제작자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br>
  
==XML문서 요소==
+
==XML문서 요소- 백자 ==
 +
<br>
 +
* <메타데이터>요소
 +
국립중앙박물관의 infoURL 유물정보 참고.
 +
* <수식정보>요소
 +
백자 50여점을 선정해 3요소에 따라 수식요소를 분류.
 +
<br>
 +
※일반적으로 조형미술 미적표현의 3요소를 문양(Pattern), 형체(Form), 색조(Color)로 구분.
 +
<br>
 +
[[File:백자_xml요소.png]]
  
 
==대상 유물==
 
==대상 유물==
125번째 줄: 134번째 줄:
  
 
==Query==
 
==Query==
{{SemanticQuery | db=s_sumin2 | project=smlee | key=산수}}
+
{{SemanticQuery | db=s_sumin2 | project=smlee2 | key=박병래실}}
 
+
 
+
==Query==
+
{{SemanticQuery | db=s_sumin2 | project=smlee2 | key=대나무}}
+
  
 
===2 Hop Network===
 
===2 Hop Network===
{{SemanticNetwork2 | db=s_sumin2 | project=smlee | key=청화-靑畵}}
+
{{SemanticNetwork2 | db=s_sumin2 | project=smlee2 | key=대나무}}
 
+
{{SemanticNetwork2 | db=s_sumin2 | project=smlee | key=필세-筆洗}}
+
 
+
{{SemanticNetwork2 | db=s_sumin2 | project=smlee2 | key=필세}}
+

2019년 12월 26일 (목) 01:50 기준 최신판


사랑방 기물과 길상표현

이수민, 인문정보학 전공

큐레이션 개요


  • 조선시대 가옥의 중심공간이었던 사랑방을 장식하는 가구와 기물 100가지를 선정.


사랑방은 주인인 선비 개개인의 취향, 책에 대한 애정 등을 복합적으로 보여주는 공간이다. 한켠에 책과 문방구만을 모아놓고 전시하는 가구가 따로 있을만큼,(사방탁자, 연상, 서안 등) 그에 대한 조선시대 선비들의 애정은 남달랐다. 문방구를 장식하는데는 기본적으로 선비의 절개와 기개를 상징하는 소나무와 난초 등이 가장 인기있는 소재였지만, 개구리모양 연적부터 팔괘무늬 필통에 이르기까지 그 소재와 표현은 종류를 가리지 않았다. 사랑방에 걸어두었던 책거리, 즉 책가도는 조선 후기 유행했던 회화의 한 종류로 이러한 사랑방 기물들을 한데 모아 놓은 그림이다. 정조는 화원들에게 따로 책가도를 그리도록 명할 만큼 책가도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던 왕이었다. 이후 책거리는 점차 민간으로 퍼지서 복을 빌고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민화의 한 양식으로 자리잡게 된다. 이로 인해 알람시계, 안경 등 언뜻 책과 거리가 멀어보이는 다양한 기물들이 책거리에 등장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출세를 염원하고 늘 책을 가까이 하고자 했던 의도는 같았다. 조선 말기 사대부들의 초상화에 책, 안경 등의 기물이 추가되는 모습 역시 이러학 제작자의 의도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XML문서 요소- 백자


  • <메타데이터>요소

국립중앙박물관의 infoURL 유물정보 참고.

  • <수식정보>요소

백자 50여점을 선정해 3요소에 따라 수식요소를 분류.
※일반적으로 조형미술 미적표현의 3요소를 문양(Pattern), 형체(Form), 색조(Color)로 구분.
백자 xml요소.png

대상 유물

대상유물

선조들의 무병장수 기원

"

신임 관리의 행차

"

임매 초상

"

조숙하 초상

"

유소심 초상

"

부채에 그린 매화와 난초

"

책거리 그림

"

책거리 그림

"

소나무 사슴 학 무늬 필통

"

포도 무늬 필통

"

필통

"

필통

"

화각 필통

"

지통

"

꽃 모양 대나무 지통

"

나전 칠 포도 무늬 서류함

"

대나무 편지꽂이

"

망건통

"

붓걸이

"

사방탁자

"

사방탁자

"

연상

"

연상

"

연상

"

연상

"

오층탁자

"

삼층탁자

"

나전 칠 연상

"

대나무 연상

"

서류 상자

"

서류 상자

"

좌등

"

좌등

"

좌등

"

서안

"

서안

"

서안

"

서안

"

백자 붓 씻는 그릇

"

백자 양각 포도 무늬 필통

"

백자 청화 난초 무늬 필통

"

백자 청화 투각 모란 무늬 필통

"

백자 투각 구름 용 무늬 필통

"

백자 투각 십자 무늬 대나무 모양 필통

"

백자 투각 십자무늬 대나무 모양 필통

"

백자 파초 무늬 필통

"

백자 청화 산수 무늬 산 모양 붓꽂이

"

백자 산 봉우리 모양 붓꽂이

"

백자 청화 투각 포도 무늬 지통

"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소나무 무늬 지통

"

백자 동화 개구리 모양 연적

"

백자 무릎 모양 연적

"

백자 소상팔경 무늬 팔각 연적

"

백자 양각 동화 쌍학 무늬 연적

"

백자 청화 대나무 무늬 똬리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대나무 무늬 칠각 연적

"

백자 청화 동화 두꺼비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동화 복숭아모양 연적

"

백자 청화 동화 산 모양 붓 씻는 그릇

"

백자 청화 만자 무늬 사각 연적

"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무늬 사각 연적

"

백자 청화 매화 대나무 무늬 연적

"

백자 청화 매화 무늬 연적

"

백자 청화 반닫이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복숭아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산 모양 동자 장식 붓 닦는 그릇

"

백자 청화 산 모양 붓걸이

"

백자 청화 산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산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산수 매화 대나무 파초 무늬 사각 연적

"

백자 청화 산수 풀꽃 무늬 사각 연적

"

백자 청화 인물 무늬 사각 연적

"

백자 청화 집 모양 연적

"

백자 청화 태극 팔괘 무늬 연적

"

백자 청화 팔괘 무늬 연적

"

백자 청화 팔괘 무늬 연적

"

시가 쓰여진 백자 청화 연적

"

백자 도롱뇽 장식 먹 항아리

"

백자 철화 붓 닦는 그릇

"

백자 청화 철화 산 모양 붓 씻는 그릇

"

백자 청화채 붓닦는 그릇

"

백자 청화 박쥐 무늬 침 뱉는 그릇

"

백자 청화 괴석 풀꽃무늬 연잎 모양 잔

"

「수복강녕」이 쓰여진 백자 청화 매화 난초 무늬 항아리

"

백자 청화 동채 소나무 인물 무늬 주자

"

백자 청화 매화 국화 무늬 주자

"

「당곡」이 쓰여진 백자 청화 보상화 넝쿨 무늬 병

"

백자 청화 「복」자 국화 대나무 무늬 접시

"

먹통

"

철제 촛대

"

철제 은상감 자

"

철제 은상감 촛대

"

철제 은입사 담배합

"

철제 은입사 손화로

"

정조가 외삼촌 홍낙임에게 보낸 편지

"

조기영의 문과 장원 합격증

"

백자 금강산 모양 향로

"

채색 묵

"

동천무늬 벼루

"


select '<p><img src="'+iconUrl+'" height=60 />', '<a href="'+infoUrl+'">'+label+' '+hanja+'</a>', '</p>' from hskimData
where class='MuseumObject'

Query


2 Hop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