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S-2019-T0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Small Data) | 잔글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__NOTOC__ | __NOTOC__ | ||
| − | <p align="center"><font size="6"> | + | <p align="center"><font size="6"></font></p> | 
| <p align="right">김지선,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p> | <p align="right">김지선,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p> | ||
| − | ==Digital Curation " | + | ==Digital Curation "광주 이씨 관련 문화유산"== | 
| − | * | + | * 서울시 강동구 길동 일자산에는 고려 말 문인이자 학자인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숨어 살았던 토굴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 
| − | * | + | *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2003년 '둔촌 이집 선생 집터' 표석을 설치하였고 광주 이씨 후손들은 일자산에 둔촌 이집 선생과 관련한 석물들을 조성하였다. | 
| − | * | + | * 본인은 <2019년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 사료조사> 연구에 참여하여 해당 표석에 대한 사료 조사를 맡게 되었고 이를 통해 둔촌 선생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 
| − | * | + | *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둔촌 이집을 중흥시조로 한 광주 이씨 인물들과 관련된 문화유산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 − | + | ||
| ==Small Data== | ==Small Data== | ||
| 16번째 줄: | 15번째 줄: | ||
| !style="width:10%"|No.||style="width:40%"| 소주제 (문화유산) ||style="width:50%"| Small Data (문화유산 해설) | !style="width:10%"|No.||style="width:40%"| 소주제 (문화유산) ||style="width:50%"| Small Data (문화유산 해설) | ||
| |- | |- | ||
| − | | 1 || 둔촌 이집 묘역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둔촌_이집_묘역 둔촌 이집 묘역]   | + | | 1 || 둔촌 이집 묘역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둔촌_이집_묘역 둔촌 이집 묘역*] | 
| |- | |- | ||
| − | | 2 || 동산재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동산재 동산재]   | + | | 2  || 동산재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동산재 동산재]   | 
| |- | |- | ||
| − | | 3 ||  | + | | 3  || 한음선생영정 || [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한음선생영정 한음선생영정] | 
| |- | |- | ||
| |} | |} | ||
| 26번째 줄: | 25번째 줄: | ||
| ==Integrated Data Network== | ==Integrated Data Network== | ||
| − | {{SemanticNetwork2 | db= | + | {{SemanticNetwork2 | db=s_jisun | project=yijip | key= 이집}} | 
| − | == | + | ==Spatial Context (Map)== | 
| − | {{NaverMap | db= | + | {{NaverMap | db=s_jisun | project=js | key= 서울}} | 
| ==Temporal Context (Timeline)== | ==Temporal Context (Timeline)== | ||
| + | {{Timeline | db=s_jisun | project=yijipTimeline | timespan=1327:1846}} | ||
| − | + | [[분류:김지선]] | |
2024년 4월 12일 (금) 10:12 기준 최신판
김지선,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Digital Curation "광주 이씨 관련 문화유산"
- 서울시 강동구 길동 일자산에는 고려 말 문인이자 학자인 둔촌(遁村) 이집(李集)이 숨어 살았던 토굴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 이에 따라 서울시에서는 2003년 '둔촌 이집 선생 집터' 표석을 설치하였고 광주 이씨 후손들은 일자산에 둔촌 이집 선생과 관련한 석물들을 조성하였다.
- 본인은 <2019년 서울시 역사문화유적 표석 사료조사> 연구에 참여하여 해당 표석에 대한 사료 조사를 맡게 되었고 이를 통해 둔촌 선생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들을 정리할 수 있었다.
- 이번 학기 수업을 통해 둔촌 이집을 중흥시조로 한 광주 이씨 인물들과 관련된 문화유산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Small Data
| No. | 소주제 (문화유산) | Small Data (문화유산 해설) | 
|---|---|---|
| 1 | 둔촌 이집 묘역 | 둔촌 이집 묘역* | 
| 2 | 동산재 | 동산재 | 
| 3 | 한음선생영정 | 한음선생영정 | 
Integrated Data Network
Spatial Context (Map)
Temporal Context (Time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