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문화 연구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 ===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 ||
* 소제목에서 사용한 한국교회사란 명칭은 일반 역사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실증적 기독교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신학적 기독교사로 접근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 발표자는 2018년 2학기 <한국현대교회사> 수업을 통해 한국교회,사를 살펴보며, 한국교회 미시사 연구의 한계점을 발견했다. 백낙준의 선교사관과 민경배의 민족사관의 뒤를 이은 민중신학사관의 흐름 속에서 역사 기술의 주체는 선교사에서 엘리트 그리고 민중으로 변모해갔지만 서술 주체의 관련된 자료가 충분히 남아있지 않음을 알게 된 것이다. | * 소제목에서 사용한 한국교회사란 명칭은 일반 역사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실증적 기독교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신학적 기독교사로 접근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 발표자는 2018년 2학기 <한국현대교회사> 수업을 통해 한국교회,사를 살펴보며, 한국교회 미시사 연구의 한계점을 발견했다. 백낙준의 선교사관과 민경배의 민족사관의 뒤를 이은 민중신학사관의 흐름 속에서 역사 기술의 주체는 선교사에서 엘리트 그리고 민중으로 변모해갔지만 서술 주체의 관련된 자료가 충분히 남아있지 않음을 알게 된 것이다. | ||
− | 따라서 한국학의 한 갈래로서 선교사 중심의 개신교사 서술과 엘리트 위주의 서술을 넘어 기독교를 수용하는 자들과 토착 그리스도인들의 진술과 고백 중심 연구의 필요성을 실감했으며, 이를 통한 생활사, 문화사 등 기독교 문화 연구로 현대교회사를 재 구성해야 할 과제를 발견했다. | + | * 따라서 한국학의 한 갈래로서 선교사 중심의 개신교사 서술과 엘리트 위주의 서술을 넘어 기독교를 수용하는 자들과 토착 그리스도인들의 진술과 고백 중심 연구의 필요성을 실감했으며, 이를 통한 생활사, 문화사 등 기독교 문화 연구로 현대교회사를 재 구성해야 할 과제를 발견했다. |
=== 디지털인문학과 교회사의 연계 === | === 디지털인문학과 교회사의 연계 === |
2019년 6월 9일 (일) 14:36 판
문제 제기와 한국교회사 연구의 과제
- 소제목에서 사용한 한국교회사란 명칭은 일반 역사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하는 실증적 기독교사의 관점에서 벗어나 신학적 기독교사로 접근하려는 의도를 나타낸다. 발표자는 2018년 2학기 <한국현대교회사> 수업을 통해 한국교회,사를 살펴보며, 한국교회 미시사 연구의 한계점을 발견했다. 백낙준의 선교사관과 민경배의 민족사관의 뒤를 이은 민중신학사관의 흐름 속에서 역사 기술의 주체는 선교사에서 엘리트 그리고 민중으로 변모해갔지만 서술 주체의 관련된 자료가 충분히 남아있지 않음을 알게 된 것이다.
- 따라서 한국학의 한 갈래로서 선교사 중심의 개신교사 서술과 엘리트 위주의 서술을 넘어 기독교를 수용하는 자들과 토착 그리스도인들의 진술과 고백 중심 연구의 필요성을 실감했으며, 이를 통한 생활사, 문화사 등 기독교 문화 연구로 현대교회사를 재 구성해야 할 과제를 발견했다.
디지털인문학과 교회사의 연계
- 정보 기술 환경에서 창조적인 인문학 활동을 전개하는 디지털인문학을 교회사 연구에 접목한 사례가 2019년 1학기 <>수업이다.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