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 산문동(山門洞)"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181. 산문동(山門洞413)) 山門洞倚碧山松산문동은 푸른 소나무 숲에 의지하고 있는데, 漸覺泉聲瀉兩峯양 봉우리 솟아나는 샘물소리 차츰 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 − | + |  <big>山門洞倚碧山'''松''' (<small>산문동의벽산'''송'''</small>)     산문동은 푸른 소나무 숲에 의지하고 있는데, <br />漸覺泉聲瀉兩'''峯''' (<small>점각천성사량'''봉'''</small>)     양 봉우리 솟아나는 샘물소리 차츰 들리네.<br />灌入稻畦能免旱 (<small>관입도휴능면한</small>)     논에 물을 댈 수 있어 가뭄 걱정 면하니,<br />年年相賀太平'''容''' (<small>년년상하태평'''용'''</small>)     해마다 태평한 모습 서로서로 치하하네.<br />  | |
| − | + | ||
| − | + | </big>  | |
| − | + | ||
○ 땅의 형세가 산이 높고 골이 깊어서 샘물이 마르는 일이 없고, 가뭄이 들지 않는다.  | ○ 땅의 형세가 산이 높고 골이 깊어서 샘물이 마르는 일이 없고, 가뭄이 들지 않는다.  | ||
| − | + | ||
| − | 이곳으로 옮겼다. 산문동은 흥천동과 인접하여 있다.  | + | |
| + | ==참고==  | ||
| + | *산문동(山門洞) 양도면 삼흥2리 산문 마을로 흥천 동남쪽에 있다. 이 산문동 부분이 원본에는 106면 ʻ정두동ʼ 뒤에 실려 있으나, <고창서 발문본>의 순서에 따라 이곳으로 옮겼다. 산문동은 흥천동과 인접하여 있다.  | ||
2019년 5월 29일 (수) 07:43 기준 최신판
山門洞倚碧山松 (산문동의벽산송) 산문동은 푸른 소나무 숲에 의지하고 있는데,
漸覺泉聲瀉兩峯 (점각천성사량봉) 양 봉우리 솟아나는 샘물소리 차츰 들리네.
灌入稻畦能免旱 (관입도휴능면한) 논에 물을 댈 수 있어 가뭄 걱정 면하니,
年年相賀太平容 (년년상하태평용) 해마다 태평한 모습 서로서로 치하하네.
○ 땅의 형세가 산이 높고 골이 깊어서 샘물이 마르는 일이 없고, 가뭄이 들지 않는다.
참고
- 산문동(山門洞) 양도면 삼흥2리 산문 마을로 흥천 동남쪽에 있다. 이 산문동 부분이 원본에는 106면 ʻ정두동ʼ 뒤에 실려 있으나, <고창서 발문본>의 순서에 따라 이곳으로 옮겼다. 산문동은 흥천동과 인접하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