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 공도회(公都會)"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82. 공도회(公都會204))
+
 
都會古規陞補同공도회의 옛 규범은 승보시205)와 같은데,
+
<big>都會古規陞補'''同''' (<small>도회고규승보'''동'''</small>)     공도회의 옛 규범은 승보시와 같은데, <br />三場詩賦擇精'''工''' (<small>삼장시부택정'''공'''</small>)    삼장의 시부로 인재를 뽑았네.<br />年年貢擧從原數 (<small>년년공거종원수</small>)    정해진 인원을 해마다 올렸기에,<br />伊昔江州蔚士'''風''' (<small>이석강주울사'''풍'''</small>)    예로부터 강화는 선비풍(학구열)이 높았었네.<br />
三場詩賦擇精工삼장의 시부로 인재를 뽑았네.
+
 
年年貢擧從原數정해진 인원을 해마다 올렸기에,
+
</big>
伊昔江州蔚士風예로부터 강화는 선비풍(학구열)이 높았었네.
+
 
○ 공도회(公都會)는 매년 정기적으로 제술(製述)과 시부(詩賦)를
+
○ 공도회(公都會)는 매년 정기적으로 제술(製述)과 시부(詩賦)를 설해서 각각 1명씩 선발하고 사서(四書)와 소학(小學)을 강하여 각각 1명씩을 선발하는데 모두 4명을 선발하였다. 유수 권적(權樀)이 소학만으로는 뽑을 수 없다고 생각해서 제술을 1명 추가할 것을 아뢰었다. 황상[高宗] 때에 유수 이재원(李載元)이 아뢰어서 4명을 더 선발해서 도합 8명이 되었다. 시부삼장(詩賦三場)으로 계획하고 합격자를 뽑았으니 서울에서 선발하여 보임하는 관례를 따른 것이다.
설해서 각각 1명씩 선발하고 사서(四書)와 소학(小學)을 강하여 각각
+
 
1명씩을 선발하는데 모두 4명을 선발하였다. 유수 권적(權樀)이 소학
+
○ 시관(試官)으로는 유수(留守)가 주시험관이 되고 장녕전 별검(別檢)이 부시험관이 되고, 기내의 문관과 수령, 찰방들이 부시험관으로 참여했다.
만으로는 뽑을 수 없다고 생각해서 제술을 1명 추가할 것을 아뢰었
+
 
198) 이연수(1809년 출생) 본관은 전주(全州).
+
○ 초시를 보아 합격자를 발표하는 날에는 주악을 울리고 음식을 마련해서 합격자들이 함께하여 즐거워하였다. 인재를 선발하는 절차와 선비를 대우하는 방식이 잘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강학(講學)하는 선비의 풍속이 매우 볼 만하였다.
199) 이건창(1852∼1898) 조선 말기의 문신·대문장가. 본관은 전주(全州). 소
+
명(小名)은 송열(松悅). 자는 봉조(鳳朝, 鳳藻), 호는 영재(寧齋).
+
200) 윤시영(1818년 출생) 본관은 파평(坡平). 강화(江華) 거주
+
201) 이만규(1833년 출생) 본관은 전주(全州). 통진(通津) 거주
+
202) 유원식(1847년 출생) 본관은 배천(白川). 교동(喬桐) 거주.
+
203) 권채규(1792년 출생) 본관은 안동(安東). 풍덕(豊德) 거주.
+
204) 공도회(公都會)는 조선시대 각 도(道)와 유수부(留守府)에서 매년 관할 지
+
역의 향교 생도들 대상으로 실시하던 시험이다. 제술(製述)과 고강(考講)
+
의 두 과목을 시험하여, 합격자는 이듬해 서울에서 열리는 생원(生員) 진
+
사(進士)의 복시(覆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
205) 승보시(陞補試) : 소과의 초시(初試)에 해당하는 시험. 성균관 대사성이 사
+
학(四學) 의 유생에 대상으로 시험을 쳐서 성적이 우수하면 식년(式年)의
+
소과 복시(覆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
부내면(府內面) 123
+
. 황상[高宗] 때에 유수 이재원(李載元)이 아뢰어서 4명을 더 선발
+
해서 도합 8명이 되었다. 시부삼장(詩賦三場)으로 계획하고 합격자를
+
뽑았으니 서울에서 선발하여 보임하는 관례를 따른 것이다.
+
○ 시관(試官)으로는 유수(留守)가 주시험관이 되고 장녕전 별검
+
(別檢)이 부시험관이 되고, 기내의 문관과 수령, 찰방들이 부시험관
+
으로 참여했다.
+
○ 초시를 보아 합격자를 발표하는 날에는 주악을 울리고 음식을
+
마련해서 합격자들이 함께하여 즐거워하였다. 인재를 선발하는 절차
+
선비를 대우하는 방식이 잘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강학(
+
)하는 선비의 풍속이 매우 볼 만하였다.
+
  
 
==기행지도==
 
==기행지도==
57번째 줄: 33번째 줄:
 
==인물==
 
==인물==
 
*  
 
*  
 +
 
==참고==
 
==참고==
 +
 +
* 공도회(公都會)는 조선시대 각 도(道)와 유수부(留守府)에서 매년 관할 지역의 향교 생도들 대상으로 실시하던 시험이다. 제술(製述)과 고강(考講)
 +
의 두 과목을 시험하여, 합격자는 이듬해 서울에서 열리는 생원(生員) 진사(進士)의 복시(覆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
 +
* 승보시(陞補試) : 소과의 초시(初試)에 해당하는 시험. 성균관 대사성이 사학(四學) 의 유생에 대상으로 시험을 쳐서 성적이 우수하면 식년(式年)의
 +
소과 복시(覆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2019년 5월 3일 (금) 06:52 판

都會古規陞補 (도회고규승보)     공도회의 옛 규범은 승보시와 같은데, 
三場詩賦擇精 (삼장시부택정) 삼장의 시부로 인재를 뽑았네.
年年貢擧從原數 (년년공거종원수) 정해진 인원을 해마다 올렸기에,
伊昔江州蔚士 (이석강주울사) 예로부터 강화는 선비풍(학구열)이 높았었네.

○ 공도회(公都會)는 매년 정기적으로 제술(製述)과 시부(詩賦)를 설해서 각각 1명씩 선발하고 사서(四書)와 소학(小學)을 강하여 각각 1명씩을 선발하는데 모두 4명을 선발하였다. 유수 권적(權樀)이 소학만으로는 뽑을 수 없다고 생각해서 제술을 1명 추가할 것을 아뢰었다. 황상[高宗] 때에 유수 이재원(李載元)이 아뢰어서 4명을 더 선발해서 도합 8명이 되었다. 시부삼장(詩賦三場)으로 계획하고 합격자를 뽑았으니 서울에서 선발하여 보임하는 관례를 따른 것이다.

○ 시관(試官)으로는 유수(留守)가 주시험관이 되고 장녕전 별검(別檢)이 부시험관이 되고, 기내의 문관과 수령, 찰방들이 부시험관으로 참여했다.

○ 초시를 보아 합격자를 발표하는 날에는 주악을 울리고 음식을 마련해서 합격자들이 함께하여 즐거워하였다. 인재를 선발하는 절차와 선비를 대우하는 방식이 잘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므로 강학(講學)하는 선비의 풍속이 매우 볼 만하였다.

기행지도



인물

참고

  • 공도회(公都會)는 조선시대 각 도(道)와 유수부(留守府)에서 매년 관할 지역의 향교 생도들 대상으로 실시하던 시험이다. 제술(製述)과 고강(考講)

의 두 과목을 시험하여, 합격자는 이듬해 서울에서 열리는 생원(生員) 진사(進士)의 복시(覆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

  • 승보시(陞補試) : 소과의 초시(初試)에 해당하는 시험. 성균관 대사성이 사학(四學) 의 유생에 대상으로 시험을 쳐서 성적이 우수하면 식년(式年)의

소과 복시(覆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