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7.굴곶포(屈串浦)"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ig>屈串浦流深似淵 (<small>굴곶포류심사'''연'''</small>)     굴곶포 시냇물은 연못처럼 깊어서,<br />水常不淺灌禾田 (<small>수상불천환화'''전'''</small>)     물이 항시마르지 않아 논에 물을 댈 수 있네.<br />白鷗慣識漁翁面 (<small>백구관식어옹면</small>)     백구는 어부의 얼굴을 잘 알고 있으니, <br />飛下前磯共借眠 (<small>비하전기공차'''면'''</small>)     물가 돌에 내려앉아 둘이 함께 졸고 있네.<br /></big>  |   <big>屈串浦流深似淵 (<small>굴곶포류심사'''연'''</small>)     굴곶포 시냇물은 연못처럼 깊어서,<br />水常不淺灌禾田 (<small>수상불천환화'''전'''</small>)     물이 항시마르지 않아 논에 물을 댈 수 있네.<br />白鷗慣識漁翁面 (<small>백구관식어옹면</small>)     백구는 어부의 얼굴을 잘 알고 있으니, <br />飛下前磯共借眠 (<small>비하전기공차'''면'''</small>)     물가 돌에 내려앉아 둘이 함께 졸고 있네.<br /></big>  | ||
| − | + | ○ 굴곶포(屈串浦)는 효종 병신년(1656)에 유수 홍중보(洪重寶)가 쌓았다.  | |
| − | + | ||
| + | ○ 포구의 물은 큰 못과 같아서 항상 마르지 않았다. 농사짓는 사람들이 논에다 물을 대었으며 가뭄을 걱정하지 않았다. 낚시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각각 고기 잡은 것을 쌓아두었으니 이것 역시하나의 볼거리였다.  | ||
| − | |||
| − | |||
==인물==  | ==인물==  | ||
| + | * 유수 홍중보(洪重寶)  | ||
==참고==  | ==참고==  | ||
| + | * 굴곶포(屈串浦) :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로 ‘구리포’라고도 한다.  | ||
2019년 4월 22일 (월) 14:16 기준 최신판
屈串浦流深似淵 (굴곶포류심사연) 굴곶포 시냇물은 연못처럼 깊어서,
水常不淺灌禾田 (수상불천환화전) 물이 항시마르지 않아 논에 물을 댈 수 있네.
白鷗慣識漁翁面 (백구관식어옹면) 백구는 어부의 얼굴을 잘 알고 있으니,
飛下前磯共借眠 (비하전기공차면) 물가 돌에 내려앉아 둘이 함께 졸고 있네.
○ 굴곶포(屈串浦)는 효종 병신년(1656)에 유수 홍중보(洪重寶)가 쌓았다.
○ 포구의 물은 큰 못과 같아서 항상 마르지 않았다. 농사짓는 사람들이 논에다 물을 대었으며 가뭄을 걱정하지 않았다. 낚시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각각 고기 잡은 것을 쌓아두었으니 이것 역시하나의 볼거리였다.
인물
- 유수 홍중보(洪重寶)
 
참고
- 굴곶포(屈串浦) :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로 ‘구리포’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