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2.장사각(藏史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기행 지도)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 | ==기행 지도==  | ||
| + | <googlemap width="600" height="370" lat="37.632952" lon="126.486823" type= "normal"  zoom="15.9"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 | |||
| + | |||
| + | |||
| + | (A) 37.610089, 126.489735, [[217.선두동(船頭洞)]] 현 길상면 선두리   | ||
| + | (B) 37.614411, 126.513419, [[218.장흥동(長興洞)]] 현 길상면 장흥리 장흥로  | ||
| + | (C) 37.621324, 126.486602, [[219.산후(山後)]] 현 길상면 선두리산후마을  | ||
| + | (D) 37.632872, 126.484924, [[220.전등사(傳燈寺)]] 현 길상면 온수리     | ||
| + | (E) 37.632901, 126.487163, [[221.삼랑성(三郞城)]] 현 길상면 전등사로  | ||
| + | (F) 37.632833, 126.482421, [[222.장사각(藏史閣)]] 현 길상면 온수리 639 정족산 史庫  | ||
| + | (G) 37.632960, 126.487088, [[223.취향당(翠香堂)]] 현 길상면 전등사로  | ||
| + | (H) 37.632952, 126.486823, [[224.양헌수비(梁憲洙碑)]] 현 길상면 온수리 산42 양헌수 승전비  | ||
| + | (I) 37.650201, 126.491037, [[225.애창(艾倉)]] 현 길상면 온수리  강화동로??  | ||
| + | (J) 37.639261, 126.492065, [[226.온수동(溫水洞)]] 현 길상면 온수리 542-4  | ||
| + | (K) 37.632886, 126.532506, [[227.초지동(草芝洞)]] 현 길상면 초지리 1251-612  | ||
| + | (L) 37.623357, 126.523082, [[228.대구서씨(大邱徐氏*)]] 길상면 초지리    | ||
| + | (M) 37.663901, 126.482885, [[229.직하동(稷下洞)]] 현 길상면 피미길32번길  | ||
| + | (N) 37.659270, 126.480799, [[230.직산동(稷山洞)]] 현 길상면 길직리 390-1 피미길  | ||
| + | (O) 37.663269, 126.481321, [[231.직산동(稷山洞2)]] 현 길상면 길직리 423-1 새마을회관  | ||
| + | (P) 37.659396, 126.482780, [[232.제주고씨(濟州高氏*)]] 현 길상면 길직 1리   | ||
| + | (Q) 37.654039, 126.471157, [[233.정하동(亭下洞)]] 현 양도면 길정리 668 길정저수지  | ||
| + | (R) [[234.정두동(亭頭洞)]] 현 길상면 온수리   | ||
| + | (S) 37.666706, 126.463521, [[235.곤릉(坤陵)]] 현 양도면 길정리 229-4  | ||
| + | (T) 37.610661, 126.490242, [[236.길상산(吉祥山)]] 현 길상면 선두리 산277 Gilsangsan Mountain 길상산  | ||
| + | (U) 37.647308, 126.525496, [[237.굴곶포(屈串浦)]] 현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 일명 '구리포'  | ||
| + | () 37.649507, 126.524359, [[238.덕진동(德津洞)]] 현 강화군 불은면 덕성리 393   | ||
| + | |||
| + | |||
| + |  </googlemap>  | ||
==인물==  | ==인물==  | ||
| − | 유심(1608∼1667)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징보(澄甫), 호는 도계(道溪). 경상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한 후, 1660년 강화유수를 지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1625 유심](1608∼1667)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징보(澄甫), 호는 도계(道溪). 경상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한 후, 1660년 강화유수를 지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http://thesaurus.history.go.kr/TermInfo.jsp?term_id=29368736 송설체(松雪體)]  에 능하였다.  | 
| 14번째 줄: | 44번째 줄: | ||
==참고==  | ==참고==  | ||
| +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2019년 4월 22일 (월) 13:45 기준 최신판
石室深深炳有光 (석실심심병유광) 석실이 깊지만 빛이 있어 밝으니,
丹書玉牒帶天香 (단서옥첩대천향) 귀중한 서첩들이 天香을 띠고 있네.
此山並列名山四 (차산병렬명산사) 정족산과 나란히 한 명산이 네 곳이니,
太白五臺又赤裳 (태백오대우적상) 태백산 오대산과 적상산이 그곳이네.
○ 해산석실(海山石室)은 전등사 뒤에 있는데, 그 안에는 선원각(璿源閣)[1]과 장사각(藏史閣)[2]이 있어서 선보(璿譜)[3]와 보록(寶錄)을 봉안하였다. 현종 경자년(1660)에 강화유수였던 도계(道溪) 유심(柳淰)이 창건하였다.
기행 지도
인물
- 유심(1608∼1667)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징보(澄甫), 호는 도계(道溪). 경상도관찰사, 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한 후, 1660년 강화유수를 지냈다. 글씨에 뛰어났으며, 특히 송설체(松雪體) 에 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