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 내소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15번째 줄: 15번째 줄:
 
}}
 
}}
 
=='''개관'''==
 
=='''개관'''==
 +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987&cid=40942&categoryId=33375/ 백제 무왕]</b>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가 내소사로 바뀌었다. 바뀐 까닭은 확실하지 않으며 그 시기만 임진왜란 이후로 추정하고 있다.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4987&cid=40942&categoryId=33375/ 백제 무왕]</b>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 소래사가 내소사로 바뀐 것은 중국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한 뒤, 이 절을 찾아와서 군중재(軍中財)를 시주하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고쳐 불렀다고 전하나 사료적인 근거는 없다.
 +
<ref>출처 :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 </ref>
  
경내의 건물로는
+
=='''보물과 문화재'''==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3&cid=46656&categoryId=46656/ 대웅보전(보물 제291호)]</b>
+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5&cid=46656&categoryId=46656/ 설선당]</b>, 보종각, 부안군 벽산면의 실상사터에서 옮겨 세운 연래루가 있다. 특히 대웅전은 조선 인조 2년(1633)에 청민대사가 지은 건물로 건축양식이 정교한데 단충과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3&cid=46656&categoryId=46656/ 대웅보전(大雄寶殿)]</b>을 비롯하여 보물 제277호인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0916&cid=42635&categoryId=42635/ 보상화]</b>를 연속적으로 조각한 문을 눈여겨볼 만하다.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2&cid=46657&categoryId=46657/ 고려동종(高麗銅鐘)]</b>, 보물 제278호인
 +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제1268호로 지정된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된 요사채,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5&cid=46656&categoryId=46656/ 설선당(說禪堂)]</b>·보종각(寶鐘閣)·봉래루(蓬萊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4&cid=46656&categoryId=46656/ 삼층석탑]</b> 등이 있다.
  
밖에도 고려시대에 제작된
+
이 가운데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 1)에 완공되었는데 의장(意匠)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2&cid=46657&categoryId=46657/ 동종(보물 제277호)]</b>과  
+
<ref>출처 :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 </ref>
<b>[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3344&cid=46656&categoryId=46656/ 3층석탑(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b> 등이 남아있다.
+
<ref>출처 : 문화재청 '내소사 일원' </ref>
+
  
 
==위치==
 
==위치==

2018년 4월 3일 (화) 15:14 판

개관

대한불교조계종 제24교구 본사인 선운사(禪雲寺)의 말사이다.

백제 무왕 34년(633)에 혜구두타(惠丘頭陀)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소래사(蘇來寺)라 하였다. 소래사가 내소사로 바뀐 것은 중국의 소정방(蘇定方)이 석포리에 상륙한 뒤, 이 절을 찾아와서 군중재(軍中財)를 시주하였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해서 고쳐 불렀다고 전하나 사료적인 근거는 없다. [1]

보물과 문화재

현존하는 당우 및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91호로 지정된 대웅보전(大雄寶殿)을 비롯하여 보물 제277호인 고려동종(高麗銅鐘), 보물 제278호인 법화경절본사경(法華經折本寫經), 보물 제1268호로 지정된 괘불 등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로 지정된 요사채, 설선당(說禪堂)·보종각(寶鐘閣)·봉래루(蓬萊樓),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된 삼층석탑 등이 있다.

이 가운데 대웅보전은 1623년(인조 1)에 완공되었는데 그 의장(意匠)과 기법이 매우 독창적인 조선 중기의 대표작이다.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를 깎아 서로 교합하여 만들었다고 하며, 법당 내부의 벽면에 그려진 관세음보살상 등의 그림도 일품이다. [2]

위치

관련 사이트


출처

  1. 출처 :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
  2. 출처 : 민족문화대백과 '내소사'

기여

역할 이름 전공
정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