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선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문화유산정보 |대표명칭 = |지정번호 = |지정명칭 = |영문명칭 = |주소 = |위도 = 37.298445 |경도 = 128.260299 |사진 = 요선정.jpg }} ==위치== <...)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문화유산정보 | {{문화유산정보 | ||
− | |대표명칭 = | + | |대표명칭 = 요선정(邀仙亭) |
− | |지정번호 = | + | |지정번호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 |
|지정명칭 = | |지정명칭 = | ||
|영문명칭 = | |영문명칭 = | ||
− | |주소 = | + | |주소 = 강원 영월군 수주면 도원운학로 13-39 |
|위도 = 37.298445 | |위도 = 37.298445 | ||
|경도 = 128.260299 | |경도 = 128.260299 | ||
78번째 줄: | 78번째 줄: | ||
+ | ==원 페이지== | ||
+ | *[http://desemboltura.cafe24.com/wiki/index.php/%EC%9A%94%EC%84%A0%EC%A0%95 류인태의 호스팅 페이지] | ||
+ | |||
+ | |||
+ | ==출처== | ||
<references/> | <references/> |
2016년 4월 16일 (토) 02:29 기준 최신판
요선정(邀仙亭) | |
---|---|
지정 번호 |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 |
지정일 | |
지정 명칭 | |
한자 명칭 | |
영문 명칭 | |
분류 | |
건립·제작 | |
주소 | 강원 영월군 수주면 도원운학로 13-39 |
위도 | 37.298445 |
경도 | 128.260299 |
웹사이트 |
목차
위치
가상현실
유서 깊은 정자, 요선정, 요선암
요선정은 수주면 무릉리에 위치하고 있는 정자로, 앞에는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이 있고, 강 기슭 큰 반석 위에는 요선암이라 새긴 刻字(각자)가 있다. 강원도 문화재 자료 제74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불교 전성기인 남북국시대(통일신라시대) 철감국사 도윤과 징효대사가 이곳에서 그리 멀지 않은 사자산 기슭에 흥령선원을 개원하고 자주 이곳에 와서 포교를 하던 곳으로 그 당시 작은 암자가 있던 곳이라 한다. 징효대사가 이곳에서 열반했을 때에는 1천여 개의 사리가 나왔다는 불교와 인연이 깊은 곳이다.
강기슭 반석 위에는 요선암이란 글씨가 새겨져 있어, 이곳을 요선암이라 부르고 있다. 이 글씨는 조선시대 시인이며 서예가인 양봉래(楊蓬來)가 평창군수 시절 선녀들과 함께 이곳에 와 일대의 경관을 즐기다가 새겨놓은 글씨라 전해오고 있다.
邀僊(요선) 또는 邀仙(요선)이라 쓴 글씨의 뜻은 신선을 맞이한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요선정은 대대로 이 지방에 살고 있는 원세하, 곽태응, 이응호를 중심으로 하는 주민들이 힘을 모아 숙종, 영조, 정조 세 임금이 써준 御製詩(어제시)를 봉안하기 위하여 1913년에 세운 정자이다.
- 영월 요선정 01.jpg
요선정 전경
- 영월 요선정 02.jpg
요선정 현판
- 요선정序 01.jpg
요선정序
단종을 복위한 숙종과 요선정
영월 땅에 세분 군왕의 어제어필시문(御製御筆詩文)이 내려진 것은 숙종 말년인 17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숙종대왕께서는 영월 유배길의 소상한 일들을 물어 살피시다가 1698년(숙종24) 정월에 憑虛, 晴虛兩樓詩(빙허, 청허양루시)한수를 써서 당시 강원감사 심정보에게 내리니 어제어필 시문이 주천현루인 청허루에 간직되었다. 그러나 청허루에 화재가있어 어제시는 누대와 함께 소실되고 말았다.
그 후 청허루를 중건하였다는 소식을 들은 영조대왕께서는 선왕의 시문을 먼저와 같이 그 자리에 보존하기 위해 숙종대왕의 어제시를 손수 쓰고, 그 뒤에 다시 시 한편을 더 보태어 당시의 강원감사인 임집(林鏶)에게 내리니 새로 중건된 청허루에는 두 임금의 어제시를 봉안하게 되었고, 그후 다시 정조대왕께서는 청허루에 봉안된 두 분 선왕의 어제시를 소중히 간직할 수 있도록 "敬吹酒泉縣樓所奉 序"(경취주천현루소봉 서)를 지어 두분 선왕의 어제시옆에 걸게 하니 그 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담겨있다. 주천은 옛 고을로서 지금은 원주에 속해 있으며 청허와 빙허의 두 누각이 있는 경치좋은 곳으로 옛날 심정보목사가 있던 고을이다.
요선정에 봉안되어 있는 어제시는 두 틀 板額(판액)에 보존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에는<숙종대왕어제시> 와 <영조대왕어제어필시>를 담았고, 다른 한쪽에는 정조대왕의 친필서 문과 어제시를 담고 있다.
바위에 음각된 불상, 무릉리 마애불좌상
요선정 옆 바위 한 면에 음각으로 새겨 놓은 마애불좌상은 1982년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4호로 지정되었는데, 얼굴은 양각으로 되어 있으나 그 밖의 부분은 선각으로 음각한 좌상이다. 얼굴은 타원형으로 양감이 풍부하며 머리는 소발로 육계가 있다. 상체는 길고 원만하지만 결가부좌를 하고 있는 하체는 상체에 비해 크게 조각이 되어 조금은 균형을 잃고 있다.
두 손은 가슴에 표현하였는데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펴서 손등을 보이고 있고, 왼손은 오른손에 평행이 되게 들고 있다. 광배는 두신광을 표현하였으며, 그 중 두광은 연꽃무늬를 돋을 새김하였고, 신광은 두줄로 선각해 놓았다. 밑으로 연꽃 문양의 대좌가 있어 그 위에 부처가 앉아 있는 모습으로 높이는 3.5m이다. 전체적으로 상하의 균형을 잃고 있으나 힘찬 기상이 잘 표현되어 있는 마애불상으로 옆에 있는 청석탑과 함께 고려 시대에 제작된 불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01.jpg
옆면
-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02.jpg
앞면
-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03.jpg
뒷면
요선암 돌개구멍
주천강 하상(河床) 약 200m 구간에 걸처 화강암반 위에 폭넓게 발달해 있으며, 구멍은 지름이 수십 센티미터에서 1m, 깊이는 수십 센티미터에서 2m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와 규모를 갖고 있다. 이러한 돌개구멍은 하천의 윤회와 유수에 의한 침식과정과 이에 의한 지형의 형성을 밝힐 수 있는 자료로서 학술 가치가 크며, 바위를 곡선으로 조각해 놓은 듯한 여러 개의 돌개구멍이 복합적으로 발달한 지형 자체가 가지는 경관 가치도 우수하여 천연기념물로 보존하게 되었다.
돌개구멍(Pot Hole)은 ‘속이 깊고 둥근 항아리 구멍’이란 의미로 하천에 의해 운반되던 자갈 등이 오목한 하상의 기반암에 들어가 유수의 소용돌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커다란 항아리 모양으로 기반암을 마모시켜 발달한 지형이다. 주로 사암이나 화강암과 같은 단단한 암석에서 잘 발달하며 형태로는 원형이나 타원형이 많다.
- 요선암 돌개구멍 01.jpg
- 요선암 돌개구멍 02.jpg
- 요선암 돌개구멍 03.jpg
원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