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백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HF | |
− | http:// | + | |사진 = sinbaegu.jpg |
+ | |한글성씨 = 신 | ||
+ | |한글이름 = 백우 | ||
+ | |한자이름 = 申伯雨 | ||
+ | |영문이름RR = Sin Baeg-u | ||
+ | |영문이름MR = Sin Baegu | ||
+ | |생년 = 1888 | ||
+ | |생월 = | ||
+ | |생일 = | ||
+ | |출생도 = 충청북도 | ||
+ | |출생시 = 청원군 | ||
+ | |몰년 = 1962 | ||
+ | |몰월 = | ||
+ | |몰일 = | ||
+ | |사망도 = | ||
+ | |사망시 = | ||
+ | |본관지역 = 고령 | ||
+ | |부친 = | ||
+ | |장인 = | ||
+ | |모친 = | ||
+ | |직업1 = 독립운동가 | ||
+ | |직업2 = | ||
+ | |직업3 = | ||
+ | |웹사이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83 | ||
+ | }} | ||
+ | '''출처:[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83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백우']''' | ||
− | 조선 말기의 계몽·독립운동가.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경부(畊夫). 충청북도 청원(淸原) 출신. 어려서는 신채호(申采浩)와 함께 한학을 수학했으며, 서울의 측량학교·외국어학교와 보성전문학교 법학과를 수료하였다. 그 뒤 청주 측량학교와 서울 태극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 + | 조선 말기의 계몽·독립운동가.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경부(畊夫). 충청북도 청원(淸原) 출신. 어려서는 [[신채호]](申采浩)와 함께 한학을 수학했으며, 서울의 측량학교·외국어학교와 보성전문학교 법학과를 수료하였다. 그 뒤 청주 측량학교와 서울 태극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
한편 ≪소년(少年)≫ 편집에 관여하고, 신민회(新民會)와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에 가입,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 국권 상실 뒤에는 국내외를 돌아다니며 만주에 성덕태상점(誠德泰商店)을 개설하는 등,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주력하였다. | 한편 ≪소년(少年)≫ 편집에 관여하고, 신민회(新民會)와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에 가입,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 국권 상실 뒤에는 국내외를 돌아다니며 만주에 성덕태상점(誠德泰商店)을 개설하는 등,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주력하였다. | ||
− | 3·1운동 후에는 상해(上海)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는데, | + | 3·1운동 후에는 상해(上海)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는데, [[신채호]]와 함께 이승만 노선(李承晩路線)에 반대하여 손을 떼었다. 그 뒤 만주의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와 광한단(光韓團)에서 활약하다, 1921년 귀국하여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의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
− | 이어 무산자동지회·조선노동연맹회·신사상연구회·화요회·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등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이 때의 | + | 이어 무산자동지회·조선노동연맹회·신사상연구회·화요회·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등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이 때의 [[신백우]]는 사회주의자로서 1924년 공산주의운동 관계로 붙잡히기도 했는데, 1925년 출옥한 뒤에는 공산주의 계열과 손을 끊었다. 그 뒤 농촌운동과 고령신씨 문중 사업에만 열중하다가 광복을 맞았다. |
− |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조직부장을 비롯해 대한독립촉성회 등을 통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다가 1946년 중반 이후부터는 대종교 사업(大倧敎事業)에 전심하였다. 1955년에 원로원참의에 뽑히기까지 교단 내의 많은 자리를 거치면서 포교에 공헌이 컸다. 1963년 대통령표창,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f>[http:// | + |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조직부장을 비롯해 대한독립촉성회 등을 통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다가 1946년 중반 이후부터는 대종교 사업(大倧敎事業)에 전심하였다. 1955년에 원로원참의에 뽑히기까지 교단 내의 많은 자리를 거치면서 포교에 공헌이 컸다. 1963년 대통령표창,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83 민족문화대백과사전 '신백우']</ref> |
− | ==References== | + | ==갤러리 Gallery== |
+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 ||
+ | 파일:sinbaegu.jpg|Sin Baeg-u<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983 한국민속문화대백화서전 '신백우']</ref> | ||
+ | 파일:sinchaeho_sinbaegu_singyusik.jpg|Sin Chae-ho, Sin Baeg-u, and Sin Gyu-sik<ref>[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ily2019&logNo=220681707114&categoryNo=0&parentCategoryNo=0&viewDate=¤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 한국민속문화대백화서전 '신채호']</ref> | ||
+ | </gallery> | ||
+ | {{RE | ||
+ | |관계1= isPartOf | ||
+ | |관련기사1 = 고령신씨 | ||
+ | |관계2= WorkedWith | ||
+ | |관련기사2 = 신채호 | ||
+ | |관계3= wasInvolvedIn | ||
+ | |관련기사3 = 독립운동 | ||
+ | |관계4= wasBornIn | ||
+ | |관련기사4 = 1888 | ||
+ | |관계5= wasBornIn | ||
+ | |관련기사5 = 충청북도 청원군 | ||
+ | |관계6= DiedIn | ||
+ | |관련기사6 = 1962 | ||
+ | }} | ||
+ | |||
+ | ==주석 References== | ||
<references/> | <references/> |
2016년 12월 27일 (화) 12:11 기준 최신판
Sin Baeg-u | |
---|---|
이름 Name | |
국문 Korean | 신백우 |
한자 Chinese | 申伯雨 |
영문 English | Sin Baeg-u (RR) |
Sin Baegu (MR) | |
본관 Origin | |
생일 Birth | 1888년 ?월 ?일 |
출생지 Birthplace | 충청북도 청원군 |
사망일 Death | 1962년 ?월 ?일 |
사망지 Place of Death |
? |
본관 Clan | 고령신씨 |
부모 Parents |
부 ? |
모 ? | |
직업 Occupation | |
직업 Occupation | 독립운동가 |
추가정보 More Info | 링크 Link |
조선 말기의 계몽·독립운동가. 본관은 고령(高靈). 호는 경부(畊夫). 충청북도 청원(淸原) 출신. 어려서는 신채호(申采浩)와 함께 한학을 수학했으며, 서울의 측량학교·외국어학교와 보성전문학교 법학과를 수료하였다. 그 뒤 청주 측량학교와 서울 태극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한편 ≪소년(少年)≫ 편집에 관여하고, 신민회(新民會)와 대동청년단(大東靑年團)에 가입,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0년 국권 상실 뒤에는 국내외를 돌아다니며 만주에 성덕태상점(誠德泰商店)을 개설하는 등, 독립운동기지 건설에 주력하였다.
3·1운동 후에는 상해(上海)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였는데, 신채호와 함께 이승만 노선(李承晩路線)에 반대하여 손을 떼었다. 그 뒤 만주의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와 광한단(光韓團)에서 활약하다, 1921년 귀국하여 조선노동공제회(朝鮮勞動共濟會)의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이어 무산자동지회·조선노동연맹회·신사상연구회·화요회·조선노농총동맹(朝鮮勞農總同盟) 등의 간부로 활약하였다. 이 때의 신백우는 사회주의자로서 1924년 공산주의운동 관계로 붙잡히기도 했는데, 1925년 출옥한 뒤에는 공산주의 계열과 손을 끊었다. 그 뒤 농촌운동과 고령신씨 문중 사업에만 열중하다가 광복을 맞았다.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중앙위원회 조직부장을 비롯해 대한독립촉성회 등을 통한 정치 활동을 전개하다가 1946년 중반 이후부터는 대종교 사업(大倧敎事業)에 전심하였다. 1955년에 원로원참의에 뽑히기까지 교단 내의 많은 자리를 거치면서 포교에 공헌이 컸다. 1963년 대통령표창,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