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콘텐츠 주제)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향낭은 향을 넣어 몸에 지닐 수 있도록 만든 주머니이다. 향은 부정不正을 없애고, 몸과 마음을 맑게 해 준다는 의미에서 종교 의식이나 제사 때 사용되었다. 또한 작은 향갑이나 주머니에 넣어 몸에 지니거나 방에 걸어두면 은은한 향기가 나게 하고, 비상시에는 구급약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 향낭은 향을 넣어 몸에 지닐 수 있도록 만든 주머니이다. 향은 부정不正을 없애고, 몸과 마음을 맑게 해 준다는 의미에서 종교 의식이나 제사 때 사용되었다. 또한 작은 향갑이나 주머니에 넣어 몸에 지니거나 방에 걸어두면 은은한 향기가 나게 하고, 비상시에는 구급약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 ||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향낭을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1123년 송의 사신으로 고려를 방문한 서긍이 쓴 «선화봉사고려도경»에는 고려의 귀부인이 비단향낭을 많이 차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고 기록되어 있어 향낭을 몸에 지니고 다니는 풍습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향낭을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1123년 송의 사신으로 고려를 방문한 서긍이 쓴 «선화봉사고려도경»에는 고려의 귀부인이 비단향낭을 많이 차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고 기록되어 있어 향낭을 몸에 지니고 다니는 풍습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향낭의 종류로는 수를 놓아 꾸민 수향낭, 특별한 장식 없이 사로 만든 사향낭, 가마 안에 다는 향낭, 그리고 궁중 침실의 벽면에 걸렸던 향낭 등이 있다. | 향낭의 종류로는 수를 놓아 꾸민 수향낭, 특별한 장식 없이 사로 만든 사향낭, 가마 안에 다는 향낭, 그리고 궁중 침실의 벽면에 걸렸던 향낭 등이 있다. | ||
+ | |||
+ | |||
+ | |||
+ | [[파일:향낭.jpg|200픽셀]] | ||
+ | |||
+ | |||
+ | <자료출처: 한국전통매듭, 균형과 질서의 미학. 국립중앙박물관. 2004> |
2016년 12월 26일 (월) 23:43 기준 최신판
향낭은 향을 넣어 몸에 지닐 수 있도록 만든 주머니이다. 향은 부정不正을 없애고, 몸과 마음을 맑게 해 준다는 의미에서 종교 의식이나 제사 때 사용되었다. 또한 작은 향갑이나 주머니에 넣어 몸에 지니거나 방에 걸어두면 은은한 향기가 나게 하고, 비상시에는 구급약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향낭을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1123년 송의 사신으로 고려를 방문한 서긍이 쓴 «선화봉사고려도경»에는 고려의 귀부인이 비단향낭을 많이 차는 것을 자랑으로 여긴다고 기록되어 있어 향낭을 몸에 지니고 다니는 풍습이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향낭의 종류로는 수를 놓아 꾸민 수향낭, 특별한 장식 없이 사로 만든 사향낭, 가마 안에 다는 향낭, 그리고 궁중 침실의 벽면에 걸렸던 향낭 등이 있다.
<자료출처: 한국전통매듭, 균형과 질서의 미학. 국립중앙박물관.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