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피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관련 정보 : (1784)) |
(→관련 정보 : (1784))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 ||
−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 <gallery> |
+ | 파일:보양청계병.jpg|[[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
+ | 파일:내시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내시]]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 | 파일:학생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학생]]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
+ | </gallery> | ||
− |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문효세자]], [[대신]], [[내시]], [[학생]] 및 기타관원들이 흑피화를 신었다. |
+ | |||
+ |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노드||관계||노드 | !노드||관계||노드 | ||
31번째 줄: | 37번째 줄: | ||
*(흉배) <br>[[용보]] <br>[[흉배]] <br><br> | *(흉배) <br>[[용보]] <br>[[흉배]] <br><br> | ||
*(허리띠) <br>[[삽금대]] <br>[[삽은대]] <br>[[서대]] <br>[[세조대]] <br>[[소금대]] <br>[[소은대]] <br>[[옥대]] <br>[[흑각대]] <br><br> | *(허리띠) <br>[[삽금대]] <br>[[삽은대]] <br>[[서대]] <br>[[세조대]] <br>[[소금대]] <br>[[소은대]] <br>[[옥대]] <br>[[흑각대]] <br><br> | ||
− | *(신) <br>[[정 | + | *(신) <br>[[정]] |
− | + | ||
|- | |- | ||
|흑피화||~에 그려져 있다||[[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흑피화||~에 그려져 있다||[[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2016년 12월 1일 (목) 02:04 기준 최신판
왕의 흑피화 도식(1744)
『국조속오례의보서례(國朝續五禮儀補序例)』 권2 「가례(嘉禮)」 ′전하 시사복 도설(殿下視事服圖說)′
- 흑피화(黑皮靴)는 가죽으로 만든 검은색 신이라는 뜻으로 흑화(黑靴)라고도 하며, 흑화는 흑색의 목이 긴 신[靴]을 말한다.[1]
- 화(靴)의 구성은 발을 감싸는 혜(鞋) 부분과 정강이까지 올라오는 신목 부분인 말(襪)로 되어 있으며, 혜와 말의 봉재된 솔기 사이에는 휘(揮)라고 하는 가느다란 가죽선을 넣어 주었고, 말 위쪽 부분은 깃[衿]을 대고 도리[回伊]를 둘러 마무리하였다.[2]
- 『국조속오례의보서례』에서 왕이 곤룡포에 신는 흑화를 흑궤자피화(黑麂子皮靴)라 하였고, 왕세자가 곤룡포에 신는 흑화는 왕의 흑화 제도를 따른다 하였다.[3]
- 『상방정례(尙方定例)』 ′준절식(準折式)′에 따르면 흑궤자피화의 안감은 백녹피(白鹿皮)를 사용하고 신의 아랫부분[下粧] · 깃 · 도리를 포함하여 신 전체를 흑궤자피로 제작한다고 하였다.[4]
- 화에는 정(精)을 함께 신는다.
- 문무관도 차림새에 따라 흑피화를 신었다.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문효세자, 대신, 내시, 학생 및 기타관원들이 흑피화를 신었다.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 관계 | 노드 |
---|---|---|
~을 착용하였다 | 흑피화 | |
흑피화 | ~의 구성요소다 | 시복 왕세자 관례 전 책복 |
흑피화 | ~와 함께 착용한다 | |
흑피화 | ~에 그려져 있다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흑피화 | ~에 규정되어 있다 | 경국대전 국조속오례의보서례 상방정례 속대전 |
Writer : 김현승
Main :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