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위치)
(각주)
 
(3명의 사용자에 의한 1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개관==
+
{{문화유산정보
전남 강진군 성전면(城田面) 월출산(月出山) 남동쪽에 있는 고찰.
+
|대표명칭 = 무위사
 +
|지정번호 =  
 +
|지정일 =  
 +
|지정명칭 =  
 +
|한자명칭 = 無爲寺
 +
|영문명칭 = Muwisa Temple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사찰
 +
|건립·제작 = 617년(신라 진평왕 39)
 +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
|위도 = 34.738403
 +
|경도 = 126.686308
 +
|사진 = 강진_무위사.jpg
 +
|웹사이트 = http://www.muwisa.com/
 +
}}
  
  
==경내 문화재==
+
==개관(Introduction)==
국보 제13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A traditional temple located in Seongj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국보 제313호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康津 無爲寺 極樂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
보물 제507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전남 강진군 성전면(城田面) 월출산(月出山) 남동쪽에 있는 고찰.
보물 제1312호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康津 無爲寺 阿彌陀如來三尊坐像
+
보물 제1314호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 無爲寺極樂殿白衣觀音圖
+
보물 제1315호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 無爲寺極樂殿內壁四面壁畵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6호 무위사삼층석탑 無爲寺三層石塔
+
  
==위치==
+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0908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705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
 +
 
 +
1407년(태종 7)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 자복사(資福寺)<ref>조선 시대에 국가에 복이 있기를 기원하기 위하여 각 지방에 정책적으로 지정하였던 절. 주로 이전부터 내려오던 명찰을 종파별로 나누어 지정하였음. 출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ref>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
 
 +
==경내 문화재(Cultural Heritages in the themple)==
 +
*국보 제13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0130000,36&flag=Y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국보 제313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1,03130000,36&flag=Y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康津 無爲寺 極樂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
*보물 제507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070000,36&flag=Y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
*보물 제1312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120000,36&flag=Y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康津 無爲寺 阿彌陀如來三尊坐像)]
 +
*보물 제1314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140000,36&flag=Y 무위사극락전백의관음도(無爲寺極樂殿白衣觀音圖)]
 +
*보물 제1315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3150000,36&flag=Y 무위사극락전내벽사면벽화(無爲寺極樂殿內壁四面壁畵)]
 +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6호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0760000,36&flag=Y 무위사삼층석탑(無爲寺三層石塔)]
 +
 
 +
==사진(Images)==
 +
<html>
 +
<image src="http://encykorea.aks.ac.kr/ImageView.aspx?fi=58d5e301-85b2-4ac1-a41f-780d40376e41&w=740&h=570&t=origin&iwm=1" width="300" height="200">
 +
</html>
 +
 
 +
==위치(Location)==
 
<html>
 
<html>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419162.4468540057!2d126.58889223288696!3d34.83846831111132!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724c24efbd4d5b%3A0x95acdc2606bb0666!2z66y07JyE7IKs!5e0!3m2!1sko!2s!4v1475112337723" width="600" height="450" frameborder="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419162.4468540057!2d126.58889223288696!3d34.83846831111132!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724c24efbd4d5b%3A0x95acdc2606bb0666!2z66y07JyE7IKs!5e0!3m2!1sko!2s!4v1475112337723" width="600" height="450" frameborder="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
 +
==각주(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2016 가을 답사 자료집]]
 +
[[분류:사찰]]
 +
[[분류:전라남도]]
 +
[[분류:강진군 문화유산]]

2016년 10월 12일 (수) 15:11 기준 최신판


개관(Introduction)

A traditional temple located in Seongjeon-myeon, Gangjin-gun, Jeollanam-do.

전남 강진군 성전면(城田面) 월출산(月出山) 남동쪽에 있는 고찰.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

1407년(태종 7)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 자복사(資福寺)[1]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경내 문화재(Cultural Heritages in the themple)

사진(Images)

위치(Location)

각주(References)

  1. 조선 시대에 국가에 복이 있기를 기원하기 위하여 각 지방에 정책적으로 지정하였던 절. 주로 이전부터 내려오던 명찰을 종파별로 나누어 지정하였음. 출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한국고전용어사전,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