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군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명의 사용자에 의한 2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 | {{기관정보 |
− | | | + | |기관대표명칭 = 삼군부 |
− | | | + | |한자명칭 = 三軍府 |
− | |시대 | + | |영문명칭 = Samgunbu |
+ | |설립시기 = 고려 말 - 조선 | ||
+ | |설립주체 = 이성계 | ||
+ | |기관역할 = 군무(軍務)를 관장 | ||
+ | |시대 = 조선시대 | ||
+ | |사진 = 삼군부_사진.png | ||
}} | }} | ||
== 개요 == | == 개요 == | ||
− | + | [[삼군부]]는 조선 말기 관청으로 1865년(고종 2) 예조(禮曹)를 옮긴 자리에 [[훈련도감(訓練都監)]]의 [[신영(新營)]] · [[남영(南營)]] · [[마병소(馬兵所)]]를 합설하여 삼군부라 불렀으니 옛 [[의흥삼군부]]가 있던 자리이다. [[흥선대원군|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정치 · 군사의 양권을 장악해온 [[비변사]]를 폐지하고, 그 대신 초기의 관제대로 삼군부를 다시 부활시켜, 정치는 [[의정부]]에서, 군사는 삼군부에서 맡도록 한 것이다. | |
− | 조선초기에도 삼군부가 있었는데 조선말의 삼군부와는 성격이 다르다. 고려 말 | + | 조선초기에도 삼군부가 있었는데 조선말의 삼군부와는 성격이 다르다. 고려 말 [[이성계]]가 병권(兵權)을 장악하기 위하여 설치한 [[삼군총제부|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 설치하여 [[정도전|정도전(鄭道傳)]]을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로 임명하여 종래의 십위군(十衛軍)을 중·좌·우군의 3군으로 나누어 귀속시키고 자체의 감독권 및 지휘권도 갖는 최초의 강력한 중앙 군사체제를 갖추었다. |
− | 삼군부의 체제는 후에 오위(五衛)체제로 군제(軍制)가 개편되기까지의 중앙부대인 동시에 왕권(王權)과 수도를 방위하는 병력을 지 휘·감독하는 최고 군부(軍府)로 군림하게 된다. 1400년(정종 2) 중추원(中樞院)에서 관장하던 군무의 일부를 흡수, 삼군부로 개칭하 였고, 태종 때 승추부(承樞府)·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등으로 개칭하였다가 1451년(문종 1) 삼군은 5 위사(五衛司:義興·忠佐·忠武·龍·虎賁)로 고쳤으며 1466년(세조 12)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체제가 바뀌었다. | + | 삼군부의 체제는 후에 오위(五衛)체제로 군제(軍制)가 개편되기까지의 중앙부대인 동시에 왕권(王權)과 수도를 방위하는 병력을 지 휘·감독하는 최고 군부(軍府)로 군림하게 된다. 1400년(정종 2) [[중추원|중추원(中樞院)]]에서 관장하던 군무의 일부를 흡수, 삼군부로 개칭하 였고, 태종 때 승추부(承樞府)·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등으로 개칭하였다가 1451년(문종 1) 삼군은 5 위사(五衛司:義興·忠佐·忠武·龍·虎賁)로 고쳤으며 1466년(세조 12)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체제가 바뀌었다. |
− | 조선말기의 삼군부는 865년(고종 2) 예조(禮曹)를 옮긴 자리에 훈련도감(訓練都監)의 신영(新營) · 남영(南營) · 마병소(馬兵所)를 합설한 것이다. 옛 | + | 조선말기의 삼군부는 865년(고종 2) 예조(禮曹)를 옮긴 자리에 훈련도감(訓練都監)의 신영(新營) · 남영(南營) · 마병소(馬兵所)를 합설한 것이다. 옛 [[예조]]자리가 삼군부로 바뀌고, 예조의 청사가 삼군부청사로 이용되게 된다. 청사 앞 공간은 연병장으로 쓰여 [[별기군]]들이 이 곳에서 훈련을 했다고 한다. |
<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0223&index_id=cp02230052&content_id=cp022300520001&search_left_menu=4 삼군부,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10&cp_code=cp0223&index_id=cp02230052&content_id=cp022300520001&search_left_menu=4 삼군부,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
+ |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9107&cid=40942&categoryId=31667 삼군부, 두산백과]</ref> | ||
+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육조거리.png | 육조거리 | ||
+ | 파일:삼군부 사진.png | 삼군부 | ||
+ | 파일:총무당.jpg | 총무당 | ||
+ | 파일:삼군부 총무당_20160625-1.jpg | 총무당 2016.06.25 | ||
+ | 파일:삼군부 충무당_현판_20160625.jpg | 총무당 현판 2016.06.25 | ||
+ | 파일:청헌당_old.png | 청헌당 | ||
+ | 파일:청헌당.jpg | 청헌당 | ||
+ | 파일:청헌당_19670401_동아일보.jpg | 청헌당 철거 당시 신문기사 1967.04.01 | ||
+ | </gallery> | ||
==지도== | ==지도== | ||
− | <googlemap height=" | + | <googlemap height="300" lat="37.575122" lon="126.974835" type="terrain" zoom="15"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37.575122, 126.975125, [[ | + | 37.575122, 126.975125, [[서울시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종합청사]] |
</googlemap> | </googlemap> | ||
28번째 줄: | 46번째 줄: |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 | |- | ||
− | |삼군부 || A는 B에 위치해 있었다. || [[육조거리]]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 + | |삼군부 || A는 B에 위치해 있었다. || [[육조거리]],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
|- | |- | ||
− | |삼군부 || A는 B은 육군사관학교에 위치하고 있다. || [[청헌당]] [[육군사관학교]] | + | |삼군부 || A는 B은 육군사관학교에 위치하고 있다. || [[삼군부 청헌당]], [[육군사관학교]] |
|- | |- | ||
− | |삼군부 || A는 B은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하고 있다. || [[총무당]] | + | |삼군부 || A는 B은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하고 있다. || [[삼군부 총무당]] |
|- | |- | ||
|삼군부 || A는 B은 없어졌다.|| [[덕의당]] | |삼군부 || A는 B은 없어졌다.|| [[덕의당]] |
2016년 6월 25일 (토) 22:34 기준 최신판
삼군부 | |
---|---|
한자 명칭 | 三軍府 |
영문 명칭 | Samgunbu |
설립 시기 | 고려 말 - 조선 |
설립 주체 | 이성계 |
기관 역할 | 군무(軍務)를 관장 |
시대 | 조선시대 |
개요
삼군부는 조선 말기 관청으로 1865년(고종 2) 예조(禮曹)를 옮긴 자리에 훈련도감(訓練都監)의 신영(新營) · 남영(南營) · 마병소(馬兵所)를 합설하여 삼군부라 불렀으니 옛 의흥삼군부가 있던 자리이다.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정치 · 군사의 양권을 장악해온 비변사를 폐지하고, 그 대신 초기의 관제대로 삼군부를 다시 부활시켜, 정치는 의정부에서, 군사는 삼군부에서 맡도록 한 것이다.
조선초기에도 삼군부가 있었는데 조선말의 삼군부와는 성격이 다르다. 고려 말 이성계가 병권(兵權)을 장악하기 위하여 설치한 삼군총제부(三軍摠制府)를 1393년(태조 2)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 설치하여 정도전(鄭道傳)을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로 임명하여 종래의 십위군(十衛軍)을 중·좌·우군의 3군으로 나누어 귀속시키고 자체의 감독권 및 지휘권도 갖는 최초의 강력한 중앙 군사체제를 갖추었다.
삼군부의 체제는 후에 오위(五衛)체제로 군제(軍制)가 개편되기까지의 중앙부대인 동시에 왕권(王權)과 수도를 방위하는 병력을 지 휘·감독하는 최고 군부(軍府)로 군림하게 된다. 1400년(정종 2) 중추원(中樞院)에서 관장하던 군무의 일부를 흡수, 삼군부로 개칭하 였고, 태종 때 승추부(承樞府)·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등으로 개칭하였다가 1451년(문종 1) 삼군은 5 위사(五衛司:義興·忠佐·忠武·龍·虎賁)로 고쳤으며 1466년(세조 12)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체제가 바뀌었다.
조선말기의 삼군부는 865년(고종 2) 예조(禮曹)를 옮긴 자리에 훈련도감(訓練都監)의 신영(新營) · 남영(南營) · 마병소(馬兵所)를 합설한 것이다. 옛 예조자리가 삼군부로 바뀌고, 예조의 청사가 삼군부청사로 이용되게 된다. 청사 앞 공간은 연병장으로 쓰여 별기군들이 이 곳에서 훈련을 했다고 한다. [1] [2]
갤러리
지도
클래스
- 장소
- 장소-관청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삼군부 | A는 B에 위치해 있었다. | 육조거리,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
삼군부 | A는 B은 육군사관학교에 위치하고 있다. | 삼군부 청헌당, 육군사관학교 |
삼군부 | A는 B은 성북구 삼선동에 위치하고 있다. | 삼군부 총무당 |
삼군부 | A는 B은 없어졌다. | 덕의당 |
기여
- 장원석: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