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원석의 아차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잔글 (→0616 이후)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acha/장원석/장원석_0624-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acha/장원석/장원석_0624-0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 | |||
| + | ==[[장원석]] 작성 기사 목록==  | ||
| + | |||
===0616 이후===  | ===0616 이후===  | ||
| − | *[[살곶이 다리]]  | + | *유적 : [[살곶이 다리]]  | 
| − | *[[사복시]]  | + | *개념 : [[사복시]]  | 
| − |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 + | *유물 :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 
| − | *[[진헌마 정색도]]  | + | *유물 : [[진헌마 정색도]]  | 
| − | *[[흥선대원군]]  | + | *인물 : [[흥선대원군]]  | 
| − | *[[한양대학교]]  | + | *장소 : [[한양대학교]]  | 
| − | *[[화랑대]]  | + | *개념 :[[화랑대]]  | 
| − | *[[공릉동]]  | + | *장소 : [[공릉동]]  | 
| − | *[[삼군부]]  | + | *개념 : [[삼군부]]  | 
| − | *[[삼군부 청헌당]]  | + | *유적 : [[삼군부 청헌당]]  | 
| − | *[[삼군부 총무당]]  | + | *유적 : [[삼군부 총무당]]  | 
| − | *[[육군사관학교]]  | + | *유적 : [[종친부]]  | 
| − | *[[신관호]]  | + | *장소 : [[육군사관학교]]  | 
| + | *인물 : [[신관호]]  | ||
===0414 과제===  | ===0414 과제===  | ||
| − | *[[살곶이 목장]]  | + | *장소 : [[살곶이 목장]]  | 
| − | *[[화양정]]  | + | *유적 : [[화양정]]  | 
| − | *[[영화사]]    | + | *장소 : [[영화사]]    | 
| − | *[[아차산 봉수대지]]  | + | *유적 : [[아차산 봉수대지]]  | 
| − | *[[아차산 삼층석탑]]  | + | *유적 : [[아차산 삼층석탑]]  | 
| − | *[[아차산 횡혈식 석실분]]  | + | *유적 : [[아차산 횡혈식 석실분]]  | 
| − | *[[아차산 다비터]]  | + | *유적 : [[아차산 다비터]]  | 
| − | *[[아차산 생태공원]]  | + | *장소 : [[아차산 생태공원]]  | 
| − | *[[남행산]]  | + | *개념 : [[남행산]]  | 
| + | |||
| + | == 클래스 구성 ==  | ||
| + | * 장소  | ||
| + | ** 행정구역에서 일정한 영역을 가진 소규모 지역까지를 의미함  | ||
| + | ** 사람들이 특정한 목적으로 모이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  | ||
| + | ** 시간에 따른 장소명의 명칭과 영역의 변화는 반영하지 않음   | ||
| + | ** 장소 성격에 따른 상세 구별은 하지 않음.  | ||
| + |   예) 살곶이 목장, 한양대학교, 육군사관학교, 공릉동, 영화사, 아차산 생태공원  | ||
| + | |||
| + | * 유적  | ||
| + | ** 선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모든 자취, 건축물 및 역사적 장소 등  | ||
| + |   예) 살곶이다리, 삼군부 청헌당, 삼군부 총무당, 종친부, 화양정, 아차산 봉수대지, 아차산 삼층석탑, 아차산 횡혈식 석실분, 아차산 다비터  | ||
| + | |||
| + | *유물  | ||
| + | ** 선대가 후대에 남긴 물건  | ||
| + |   예)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진헌마 정색도  | ||
| + | |||
| + | * 인물  | ||
| + | ** 개별인물을 지칭함  | ||
| + | ** 인물의 성격을 따로 구별하지 않음  | ||
| + |   예) 신관호, 흥선대원군   | ||
| + | |||
| + | * 사건  | ||
| + | ** 시공간적인 교차지점에 발생하는 이벤트  | ||
| + | ** 사건의 유형은 따로 구별하지 않음  | ||
| + |   예) 아차산 해맞이축제, 남연군 묘 도굴사건  | ||
| + | |||
| + | * 개념  | ||
| + | ** 이전 시대의 관청  | ||
| + | ** 땅 이름  | ||
| + | ** 장소의 이칭(별칭)  | ||
| + |   예) 사복시, 화랑대, 삼군부, 남행산  | ||
| + | |||
| + | |||
| + | == 릴레이션 구성 ==  | ||
| + | * 보편 관계  | ||
| + | **A는(은)_B에_위치한다.  | ||
| + | **A에서_B가_열린다.  | ||
| + | **A는(은)_B와_관련된다.  | ||
| + | **A는(은)_B에_있다.  | ||
| + | **A는(은)_B의_이전_명칭이다.  | ||
| + | |||
| + | ==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 ||
| + | * 설계 주안점  | ||
| + | ** 장소와 장소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거나 간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경우 관계 생성  | ||
| + | |||
| + | == 작업의 한계와 개선 방안 ==  | ||
| + | * Class의 세부 Atribute를 설정하지 않음.  | ||
| + | ** Class의 상세 분류를 활용하여 세밀한 분석이 어려움.  | ||
| + | ** Attribute의 특성을 그래프로 드러내지 못함.  | ||
| + |  - 예) 아차산과 아차산 생태공원 둘다 장소로 분류되어 둘 사이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 ||
| + | ** Relation의 단순화로 맥락을 온전히 전달하지 못함.  | ||
| + |  - 예) '경복궁이 흥선대원군과 관련이 있다' 는 정도로 기술되는 한계점.  | ||
| + | |||
| + | * Class의 Attribute가 적당한지 새로운 노드의 연결성이 적절한지.  | ||
| + | ** 장소와  그 장소의 특성이 반영된 개념 사이의 위계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고민이 필요함.  | ||
| + | **일단 이 둘의 경우 분리하여서 처리하거나, 포함시킴.  | ||
| + |  - 예) 육군사관학교, 공릉동, 태릉, 화랑대  | ||
| + | |||
| + | * 장소의 시간성을 동시에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  | ||
| + | ** 시대별 및 시기별 행정구역 소속 및 변화 문제.  | ||
| + |   - 예) 조선시대 행정구역 및 현재 행정구역 변동의 반영이 어려움.  | ||
| + | |||
| + | * 시각화 방법 개선 필요.  | ||
| + | ** 다양한 컬러와 도형과 모양으로 노드 간의 관계 설정 필요.  | ||
| + | ** 관계를 나타내는 선의 두께도 컬러와 모양, 두께 등으로 노드 간의 관계 설정 필요.  | ||
| + | ** 현재 2차원의 모니터안에 2차원으로 재현된 그래프를 3차원(XYZ축 도입)으로 개선하여 연도별 장소의 시간성 반영(명칭 및 위치 변화 등)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 ||
| + | ** Node의 크기의 경우 글자수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그래프의 정보 전달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 ||
| + | == 출전 ==  | ||
| + | <references/>  | ||
| + | {분류:장원석]]  | ||
[[분류:아차산성]]  | [[분류:아차산성]]  | ||
2016년 6월 25일 (토) 12:01 판
목차
장원석의 아차산성 지식 네트워크
장원석 작성 기사 목록
0616 이후
- 유적 : 살곶이 다리
 - 개념 : 사복시
 - 유물 :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 유물 : 진헌마 정색도
 - 인물 : 흥선대원군
 - 장소 : 한양대학교
 - 개념 :화랑대
 - 장소 : 공릉동
 - 개념 : 삼군부
 - 유적 : 삼군부 청헌당
 - 유적 : 삼군부 총무당
 - 유적 : 종친부
 - 장소 : 육군사관학교
 - 인물 : 신관호
 
0414 과제
- 장소 : 살곶이 목장
 - 유적 : 화양정
 - 장소 : 영화사
 - 유적 : 아차산 봉수대지
 - 유적 : 아차산 삼층석탑
 - 유적 : 아차산 횡혈식 석실분
 - 유적 : 아차산 다비터
 - 장소 : 아차산 생태공원
 - 개념 : 남행산
 
클래스 구성
-  장소
- 행정구역에서 일정한 영역을 가진 소규모 지역까지를 의미함
 - 사람들이 특정한 목적으로 모이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
 - 시간에 따른 장소명의 명칭과 영역의 변화는 반영하지 않음
 - 장소 성격에 따른 상세 구별은 하지 않음.
 
 
예) 살곶이 목장, 한양대학교, 육군사관학교, 공릉동, 영화사, 아차산 생태공원
-  유적
- 선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모든 자취, 건축물 및 역사적 장소 등
 
 
예) 살곶이다리, 삼군부 청헌당, 삼군부 총무당, 종친부, 화양정, 아차산 봉수대지, 아차산 삼층석탑, 아차산 횡혈식 석실분, 아차산 다비터
- 유물
- 선대가 후대에 남긴 물건
 
 
예) 사복시 살곶이 목장지도, 진헌마 정색도
-  인물
- 개별인물을 지칭함
 - 인물의 성격을 따로 구별하지 않음
 
 
예) 신관호, 흥선대원군
-  사건
- 시공간적인 교차지점에 발생하는 이벤트
 - 사건의 유형은 따로 구별하지 않음
 
 
예) 아차산 해맞이축제, 남연군 묘 도굴사건
-  개념
- 이전 시대의 관청
 - 땅 이름
 - 장소의 이칭(별칭)
 
 
예) 사복시, 화랑대, 삼군부, 남행산
릴레이션 구성
-  보편 관계
- A는(은)_B에_위치한다.
 - A에서_B가_열린다.
 - A는(은)_B와_관련된다.
 - A는(은)_B에_있다.
 - A는(은)_B의_이전_명칭이다.
 
 
온톨로지 설계 주안점
-  설계 주안점
- 장소와 장소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거나 간접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경우 관계 생성
 
 
작업의 한계와 개선 방안
-  Class의 세부 Atribute를 설정하지 않음.
- Class의 상세 분류를 활용하여 세밀한 분석이 어려움.
 - Attribute의 특성을 그래프로 드러내지 못함.
 
 
- 예) 아차산과 아차산 생태공원 둘다 장소로 분류되어 둘 사이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함.
- Relation의 단순화로 맥락을 온전히 전달하지 못함.
 
- 예) '경복궁이 흥선대원군과 관련이 있다' 는 정도로 기술되는 한계점.
-  Class의 Attribute가 적당한지 새로운 노드의 연결성이 적절한지.
- 장소와 그 장소의 특성이 반영된 개념 사이의 위계를 어떻게 설정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고민이 필요함.
 - 일단 이 둘의 경우 분리하여서 처리하거나, 포함시킴.
 
 
- 예) 육군사관학교, 공릉동, 태릉, 화랑대
-  장소의 시간성을 동시에 설정하지 못하는 문제.
- 시대별 및 시기별 행정구역 소속 및 변화 문제.
 
 
- 예) 조선시대 행정구역 및 현재 행정구역 변동의 반영이 어려움.
-  시각화 방법 개선 필요.
- 다양한 컬러와 도형과 모양으로 노드 간의 관계 설정 필요.
 - 관계를 나타내는 선의 두께도 컬러와 모양, 두께 등으로 노드 간의 관계 설정 필요.
 - 현재 2차원의 모니터안에 2차원으로 재현된 그래프를 3차원(XYZ축 도입)으로 개선하여 연도별 장소의 시간성 반영(명칭 및 위치 변화 등)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
 - Node의 크기의 경우 글자수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그래프의 정보 전달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
 
 
출전
{분류:장원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