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차산성 삼족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문서)
 
(같은 사용자에 의한 10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사물 정보
 +
|대표명칭 = 아차산성 삼족기
 +
|시대 = [[백제]]
 +
|발견지 = [[아차산성]]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 산16-46
 +
|사진 = 삼족기.jpg
 +
}}
 
=='''개관'''==
 
=='''개관'''==
[[파일:삼족기.jpg|thumb|500px|아차산성 삼족기 도면<ref>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81쪽.</ref>]]
 
 
[[아차산성]] 성벽과 성 내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수천여점의 기와와 함께 12개 기종 945점의 토기와 88점의 철기류가 출토되었다. 토기류는 모두 전형적인 [[신라]] 토기의 특징을 보이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029&cid=46620&categoryId=46620 삼족기] 1점을 제외하고는 [[백제]] 및 [[고구려]] 토기는 확인되지 않았다.
 
[[아차산성]] 성벽과 성 내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수천여점의 기와와 함께 12개 기종 945점의 토기와 88점의 철기류가 출토되었다. 토기류는 모두 전형적인 [[신라]] 토기의 특징을 보이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029&cid=46620&categoryId=46620 삼족기] 1점을 제외하고는 [[백제]] 및 [[고구려]] 토기는 확인되지 않았다.
  
 +
==='''아차산성 삼족기'''와 [[아차산성]]===
 
'''아차산성 삼족기'''는 1997년의 수습조사에서 출토되었는데, 배신부가 납작하고 다리가 뚜껑받이 턱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삼족기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4691&cid=49332&categoryId=49332 한성백제]기에는 볼 수 없는 것으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4693&cid=49332&categoryId=49332 사비백제]기 삼족기의 특징이다. 이는 [[아차산성]]의 축조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지만, 사비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029&cid=46620&categoryId=46620 삼족기]가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점은 551년 [[백제]]가 [[한강]]유역을 일시적으로 되찾았던 역사적 사실과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아차산성 삼족기'''는 1997년의 수습조사에서 출토되었는데, 배신부가 납작하고 다리가 뚜껑받이 턱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삼족기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4691&cid=49332&categoryId=49332 한성백제]기에는 볼 수 없는 것으로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94693&cid=49332&categoryId=49332 사비백제]기 삼족기의 특징이다. 이는 [[아차산성]]의 축조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지만, 사비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5029&cid=46620&categoryId=46620 삼족기]가 [[아차산성]]에서 출토된 점은 551년 [[백제]]가 [[한강]]유역을 일시적으로 되찾았던 역사적 사실과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17번째 줄: 24번째 줄: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 있다||[[아차산]]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발견되었다||[[아차산]]
 
|-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 속한다||[[아차산성]]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발견되었다||[[아차산성]]
 
|-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조사되었다||[[국립문화재연구소]]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조사되었다||[[국립문화재연구소]]
 
|-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의 유물이다 ||[[백제]]시대
+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시대에 만들어졌다||[[백제]]
 
|}
 
|}
  
29번째 줄: 36번째 줄:
 
<gallery>
 
<gallery>
 
파일:삼족기2.jpg|백제 삼족기<ref>그림출처: [http://history.songpa.go.kr/jboard/html/history_view.php?idx=7193&p=30&st=&po=&pr=&kd= 송파구 인터넷 기록관 http://history.songpa.go.kr/jboard/html/history_view.php?idx=7193&p=30&st=&po=&pr=&kd=]</ref>
 
파일:삼족기2.jpg|백제 삼족기<ref>그림출처: [http://history.songpa.go.kr/jboard/html/history_view.php?idx=7193&p=30&st=&po=&pr=&kd= 송파구 인터넷 기록관 http://history.songpa.go.kr/jboard/html/history_view.php?idx=7193&p=30&st=&po=&pr=&kd=]</ref>
 +
파일:삼족기.jpg|아차산성 삼족기 도면<ref>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81쪽.</ref>
 
</gallery>
 
</gallery>
  
38번째 줄: 46번째 줄:
  
  
 +
[[분류:아차산성]]
 
[[분류:김지선]]
 
[[분류:김지선]]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분류:사물]]
 
[[분류:사물]]

2016년 6월 24일 (금) 02:05 기준 최신판

개관

아차산성 성벽과 성 내부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수천여점의 기와와 함께 12개 기종 945점의 토기와 88점의 철기류가 출토되었다. 토기류는 모두 전형적인 신라 토기의 특징을 보이며, 삼족기 1점을 제외하고는 백제고구려 토기는 확인되지 않았다.

아차산성 삼족기아차산성

아차산성 삼족기는 1997년의 수습조사에서 출토되었는데, 배신부가 납작하고 다리가 뚜껑받이 턱 바로 밑에 위치하고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의 삼족기는 한성백제기에는 볼 수 없는 것으로 사비백제기 삼족기의 특징이다. 이는 아차산성의 축조와는 관련이 없는 것이지만, 사비기 삼족기아차산성에서 출토된 점은 551년 백제한강유역을 일시적으로 되찾았던 역사적 사실과 관련하여 중요한 자료로 생각된다.

지도

클래스

  • 사물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아차산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발견되었다 아차산성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에서 조사되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
아차산성 삼족기 A는 B시대에 만들어졌다 백제

갤러리

주석

  1. 이동 그림출처: 송파구 인터넷 기록관 http://history.songpa.go.kr/jboard/html/history_view.php?idx=7193&p=30&st=&po=&pr=&kd=
  2. 이동 그림출처: 최종택, 「아차산성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성과와 과제」, 『사총』, 제 81집, 2014, 81쪽.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