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onligh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❷ 침묵과 시선의 감정)
(이미지)
 
(같은 사용자에 의한 1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정의</span>'''==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정의</span>'''==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c3e50, #ffb347); color: #fdfdfd; padding: 20px; border: 2px solid #ffa500; border-radius: 10px; font-family: 'Georgia', serif; font-size: 105%; line-height: 1.8;">   
 
<div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2c3e50, #ffb347); color: #fdfdfd; padding: 20px; border: 2px solid #ffa500; border-radius: 10px; font-family: 'Georgia', serif; font-size: 105%; line-height: 1.8;">   
<b>《Moonlight》</b>는 2016년 A24가 제작하고 Barry Jenkins가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   
+
<b>《Moonlight》</b>는 2016년 A24가 제작하고 Barry Jenkins가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ref>https://a24films.com/films/moonlight</ref>  
 
주인공 샤이론은 가난한 흑인 지역에서 자라며 <b style="color:#ffd580;">성 정체성, 사회적 소외, 자아 탐색</b>의 여정을 세 시기로 겪는다.   
 
주인공 샤이론은 가난한 흑인 지역에서 자라며 <b style="color:#ffd580;">성 정체성, 사회적 소외, 자아 탐색</b>의 여정을 세 시기로 겪는다.   
 
<b style="color:#ffe5b4;">Mahershala Ali</b>는 후안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ref>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2017</ref>   
 
<b style="color:#ffe5b4;">Mahershala Ali</b>는 후안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ref>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2017</ref>   
《Moonlight》는 감정을 말보다 침묵과 색으로 전하며, 한 인간의 존재를 조용하지만 선명하게 마주하게 만든다.
+
《Moonlight》는 감정을 말보다 침묵과 색으로 전하며, 한 인간의 존재를 조용하지만 선명하게 마주하게 만든다.<ref>https://www.theatlantic.com/entertainment/archive/2016/10/moonlight-review/504965/</ref>
 
</div>
 
</div>
  
18번째 줄: 18번째 줄: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❷ 침묵과 시선의 감정</span> ===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❷ 침묵과 시선의 감정</span> ===   
 
<div style="background-color:#fff7ed; border: 1px solid #f1c27d; padding: 18px; border-radius: 6px; font-family: 'Garamond', serif; font-size: 103%; line-height: 1.8;">
 
<div style="background-color:#fff7ed; border: 1px solid #f1c27d; padding: 18px; border-radius: 6px; font-family: 'Garamond', serif; font-size: 103%; line-height: 1.8;">
 +
 
<b style="color:#d2691e;">• 멜랑콜리</b>: 말하지 못하는 고통이 화면 전체를 감싼다.   
 
<b style="color:#d2691e;">• 멜랑콜리</b>: 말하지 못하는 고통이 화면 전체를 감싼다.   
  
31번째 줄: 32번째 줄:
 
<div style="background:#fff6eb; border-left: 4px solid #ffcc99; padding: 14px; font-size: 103%; line-height: 1.7;">   
 
<div style="background:#fff6eb; border-left: 4px solid #ffcc99; padding: 14px; font-size: 103%; line-height: 1.7;">   
 
《Moonlight》는 다음의 시맨틱 정체성과 깊게 연결된다:   
 
《Moonlight》는 다음의 시맨틱 정체성과 깊게 연결된다:   
 +
 
• <b>성 정체성</b>: 자기 내면의 욕망을 억누른 채 자란 퀴어 주인공   
 
• <b>성 정체성</b>: 자기 내면의 욕망을 억누른 채 자란 퀴어 주인공   
 +
 
• <b>흑인 청소년</b>: 빈곤과 인종적 낙인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   
 
• <b>흑인 청소년</b>: 빈곤과 인종적 낙인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   
 +
 
• <b>자아 탐색</b>: 이름을 바꾸며 쌓이는 내면의 다층성   
 
• <b>자아 탐색</b>: 이름을 바꾸며 쌓이는 내면의 다층성   
 +
 
• <b>사회적 소외</b>: 가정, 학교, 지역에서의 배제   
 
• <b>사회적 소외</b>: 가정, 학교, 지역에서의 배제   
 +
 
• <b>용서</b>: 용서를 갈망하지만 말하지 못하는 침묵의 내러티브<ref>https://www.nytimes.com/2016/10/21/movies/moonlight-review.html</ref>   
 
• <b>용서</b>: 용서를 갈망하지만 말하지 못하는 침묵의 내러티브<ref>https://www.nytimes.com/2016/10/21/movies/moonlight-review.html</ref>   
 +
 
<b>이 영화는 시맨틱 그래프 상에서 '감정과 정체성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대표 사례다.</b>   
 
<b>이 영화는 시맨틱 그래프 상에서 '감정과 정체성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대표 사례다.</b>   
 
</div>
 
</div>
45번째 줄: 52번째 줄:
 
<li>클로즈업은 인물 간 거리를 재며 감정 흐름을 만든다.</li>
 
<li>클로즈업은 인물 간 거리를 재며 감정 흐름을 만든다.</li>
 
</ul>   
 
</ul>   
이러한 시청각 표현 방식은 **‘말하지 않지만 전해지는 감정’**이라는 A24 감성의 정수다.<ref>https://www.rogerebert.com/reviews/moonlight-2016</ref>
+
이러한 시청각 표현 방식은 ‘말하지 않지만 전해지는 감정’이라는 A24 감성의 핵심이다.<ref>https://www.rogerebert.com/reviews/moonlight-2016</ref>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❺ 관객에게 남겨진 질문</span> ===   
 
=== <span style="color:#ffc87c; font-weight:bold; font-size:120%;">❺ 관객에게 남겨진 질문</span> ===   
59번째 줄: 66번째 줄:
 
==='''<span style="color:#f4a460; font-weight:bold;">이미지</span>'''===   
 
==='''<span style="color:#f4a460; font-weight:bold;">이미지</span>'''===   
 
<gallery mode="packed" heights="160px">
 
<gallery mode="packed" heights="160px">
파일:MoonlightPoster.jpg|《Moonlight》 공식 포스터
+
파일:MoonlightPoster.jpg|《Moonlight》 공식 포스터<ref>IMDb, “Moonlight (2016)", https://en.wikipedia.org/wiki/Moonlight_(2016_film)</ref>
파일:BarryJenkins.jpeg|감독 Barry Jenkins
+
파일:Moonlight_Still.jpg|청소년기의 샤이론<ref>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94173</ref>
파일:MahershalaAli.jpeg|후안 역, Mahershala Ali
+
파일:Moonlight_Still.jpg|청소년기의 샤이론
+
 
</gallery>
 
</gallery>
  
68번째 줄: 73번째 줄: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9NJj12tJzqc" title="Moonlight Official Trailer"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9NJj12tJzqc" title="Moonlight Official Trailer"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주석</span>'''==
+
=='''<span style="font-size:170%; font-weight:bold; color:#ffb347; text-shadow:1px 1px 3px #000;">주석</span>'''==
 
<references/>
 
<references/>
  

2025년 6월 20일 (금) 22:33 기준 최신판

정의

《Moonlight》는 2016년 A24가 제작하고 Barry Jenkins가 연출한 드라마 영화이다.[1] 주인공 샤이론은 가난한 흑인 지역에서 자라며 성 정체성, 사회적 소외, 자아 탐색의 여정을 세 시기로 겪는다. Mahershala Ali는 후안 역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2] 《Moonlight》는 감정을 말보다 침묵과 색으로 전하며, 한 인간의 존재를 조용하지만 선명하게 마주하게 만든다.[3]

내용

❶ 세 개의 이름, 하나의 자아

샤이론은 유년기엔 '리틀', 청소년기엔 본명 '샤이론', 성인기엔 '블랙'이라 불린다. 이 이름들은 단지 별명이 아니라, 사회와 자기 정체성의 충돌 속에서 겹겹이 쌓인 자아의 레이어다. 그는 인종차별, 가정불화, 왕따, 성 정체성 억압을 겪으며, 자기 존재를 ‘발견’이 아닌 ‘조립’해간다.[4]

❷ 침묵과 시선의 감정

• 멜랑콜리: 말하지 못하는 고통이 화면 전체를 감싼다.

• 불안: 언제 폭력이 닥칠지 모르는 공간의 긴장.

• 용서: 어머니와 자신, 그리고 후안과의 관계 속에서 피어나는 느린 화해.

• 고립: 카메라 앵글은 샤이론을 철저히 혼자 두고, 관객은 그 외로움을 직접 응시하게 된다.[5]

❸ 정체성과 시맨틱 연결

《Moonlight》는 다음의 시맨틱 정체성과 깊게 연결된다:

성 정체성: 자기 내면의 욕망을 억누른 채 자란 퀴어 주인공

흑인 청소년: 빈곤과 인종적 낙인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

자아 탐색: 이름을 바꾸며 쌓이는 내면의 다층성

사회적 소외: 가정, 학교, 지역에서의 배제

용서: 용서를 갈망하지만 말하지 못하는 침묵의 내러티브[6]

이 영화는 시맨틱 그래프 상에서 '감정과 정체성의 교차점'에 위치하는 대표 사례다.

❹ 시선, 색감, 리듬

  • 광각 렌즈는 샤이론을 작게 만든다.
  • 자주 등장하는 파란빛은 ‘고립’과 ‘내면’을 상징한다.
  • 클로즈업은 인물 간 거리를 재며 감정 흐름을 만든다.

이러한 시청각 표현 방식은 ‘말하지 않지만 전해지는 감정’이라는 A24 감성의 핵심이다.[7]

❺ 관객에게 남겨진 질문

  • 우리는 누구의 이름으로 살아가고 있는가?
  • 말하지 못한 감정은 어떻게 기억되는가?
  • 사회가 규정한 '정체성'은 정말 진실한가?

《Moonlight》는 인물의 고통보다도 그 고통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을 응시하게 한다.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주석

  1. https://a24films.com/films/moonlight
  2. https://www.oscars.org/oscars/ceremonies/2017
  3. https://www.theatlantic.com/entertainment/archive/2016/10/moonlight-review/504965/
  4. https://www.indiewire.com/features/general/moonlight-analysis-identity-structure-1201739437/
  5. https://www.theatlantic.com/entertainment/archive/2016/10/moonlight-review/504965/
  6. https://www.nytimes.com/2016/10/21/movies/moonlight-review.html
  7. https://www.rogerebert.com/reviews/moonlight-2016
  8. IMDb, “Moonlight (2016)", https://en.wikipedia.org/wiki/Moonlight_(2016_film)
  9. https://www.jejusori.net/news/articleView.html?idxno=19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