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신자의 자기기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배신자의 자기기만(Betrayal Rationalization)은 현대 심리학, 트라우마 연구, 범죄심리학/도덕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자신이 이상화하던...)
 
 
(같은 사용자에 의한 하나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6번째 줄: 6번째 줄:
  
 
참고 자료
 
참고 자료
* Jennifer Freyd, Betrayal Trauma: The Logic of Forgetting Childhood Abuse (1996)
+
* [https://psycnet.apa.org/record/1996-98930-000 Jennifer Freyd, Betrayal Trauma: The Logic of Forgetting Childhood Abuse (1996)]
 +
 
 +
[[Category: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KU 디지털 큐레이션 콘텐츠 2025]]
 +
[[Category:욕망하는 여성들]]

2025년 6월 20일 (금) 19:32 기준 최신판

배신자의 자기기만(Betrayal Rationalization)은 현대 심리학, 트라우마 연구, 범죄심리학/도덕심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자신이 이상화하던 대상에게 실망하거나 자신의 기대에 어긋난 행동을 당했을 때,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해 그 대상에게 가한 자신의 공격적/복수적 행위를 스스로 정당화하는 심리 상태를 뜻한다.

예를 들어,‘쟤가 나한테 그렇게 했으니까 나도 이렇게 해도 돼’ 혹은 ‘쟤는 원래 그럴 놈이었어’라는 사고 구조이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