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이상화란 대상(연인, 부모, 친구 등)을 전능하고 완전한 존재로 여기며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로 느끼는 정신 기제를 말한다. 나르시시즘적...)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이상화란 대상(연인, 부모, 친구 등)을 전능하고 완전한 존재로 여기며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로 느끼는 정신 기제를 말한다. 나르시시즘적 발달의 일부로, 특히 미성숙한 자아는 타인을 통해 이상적인 자기를 투사함으로써 안정감을 얻는다. | 이상화란 대상(연인, 부모, 친구 등)을 전능하고 완전한 존재로 여기며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로 느끼는 정신 기제를 말한다. 나르시시즘적 발달의 일부로, 특히 미성숙한 자아는 타인을 통해 이상적인 자기를 투사함으로써 안정감을 얻는다. | ||
+ | |||
+ | |||
+ | *참고자료 | ||
+ | Otto Kernberg,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1975) | ||
+ | Nancy McWilliams, Psychoanalytic Diagnosis (1994) — 이상화-탈이상화가 나르시시즘 성격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 | ||
+ | Heinz Kohut, The Analysis of the Self (1971) |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3%81%ED%99%94%EC%99%80_%ED%8F%89%EA%B0%80%EC%A0%88%ED%95%98 이상화의 개념] | [https://ko.wikipedia.org/wiki/%EC%9D%B4%EC%83%81%ED%99%94%EC%99%80_%ED%8F%89%EA%B0%80%EC%A0%88%ED%95%98 이상화의 개념] |
2025년 6월 17일 (화) 10:18 판
이상화란 대상(연인, 부모, 친구 등)을 전능하고 완전한 존재로 여기며 자신보다 우월한 존재로 느끼는 정신 기제를 말한다. 나르시시즘적 발달의 일부로, 특히 미성숙한 자아는 타인을 통해 이상적인 자기를 투사함으로써 안정감을 얻는다.
- 참고자료
Otto Kernberg,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1975) Nancy McWilliams, Psychoanalytic Diagnosis (1994) — 이상화-탈이상화가 나르시시즘 성격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설명 Heinz Kohut, The Analysis of the Self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