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작품에 공통적으로 출연하는 배우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결론) |
|||
28번째 줄: | 28번째 줄: | ||
===김종구 배우=== | ===김종구 배우=== | ||
[[파일:김종구.png|500px|center|김종구]] | [[파일:김종구.png|500px|center|김종구]] | ||
− | *'''초''' (작품 : <스모크>) | + | *'''초''' (작품 : <[[스모크|스모크]]>) |
절망하는 일제강점기의 예술가. | 절망하는 일제강점기의 예술가.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끝이 없어보이는 절망을 한 후에 결국 예술가로 남아 살아가자는 다짐을 하는 인물이다. | 끝이 없어보이는 절망을 한 후에 결국 예술가로 남아 살아가자는 다짐을 하는 인물이다. | ||
− | *'''김해진'''(작품 : <팬레터>) | + | *'''김해진'''(작품 : <[[팬레터|팬레터]]>) |
절망하는 일제강점기의 예술가. | 절망하는 일제강점기의 예술가.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결말에는 병세가 악화되어 죽고, 편지속 뮤즈 히카루를 만들어낸 문학도 세훈을 용서하는 편지를 쓴다. | 결말에는 병세가 악화되어 죽고, 편지속 뮤즈 히카루를 만들어낸 문학도 세훈을 용서하는 편지를 쓴다. | ||
− | *'''김환기''' (작품 : <라흐헤스트>) | + | *'''김환기''' (작품 : <[[라흐헤스트|라흐헤스트]]>) |
김향안의 자상한 남편. | 김향안의 자상한 남편. | ||
54번째 줄: | 54번째 줄: | ||
===허혜진 배우=== | ===허혜진 배우=== | ||
[[파일:허혜진.png|500px|center|허혜진]] | [[파일:허혜진.png|500px|center|허혜진]] | ||
− | *'''히카루'''(작품 : <팬레터>) | + | *'''히카루'''(작품 : <[[팬레터|팬레터]]>) |
'김해진'을 현혹하는 편지 속 뮤즈. '정세훈'의 필명이기도 하다. | '김해진'을 현혹하는 편지 속 뮤즈. '정세훈'의 필명이기도 하다. | ||
61번째 줄: | 61번째 줄: | ||
'김해진'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작품 후반에는 카리스마 있고 어두운 여성캐릭터로 변모한다. | '김해진'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작품 후반에는 카리스마 있고 어두운 여성캐릭터로 변모한다. | ||
− | *'''홍'''(작품 : <스모크>) | + | *'''홍'''(작품 : <[[스모크|스모크]]>) |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 내면의 여성성,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의 아내 변동림으로 보여진다. |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 내면의 여성성,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의 아내 변동림으로 보여진다. | ||
===윤소호, 박준휘 배우=== | ===윤소호, 박준휘 배우=== | ||
[[파일:박준휘,윤소호.png|500px|center|박준휘,윤소호]] | [[파일:박준휘,윤소호.png|500px|center|박준휘,윤소호]] | ||
− | *'''정세훈'''(작품 : <팬레터>) | + | *'''정세훈'''(작품 : <[[팬레터|팬레터]]>) |
− | *'''해'''(작품 : <스모크>) | + | *'''해'''(작품 : <[[스모크|스모크]]>) |
===최지혜 배우=== | ===최지혜 배우=== | ||
− | *'''히카루'''(작품 : <팬레터>) | + | *'''히카루'''(작품 : <[[팬레터|팬레터]]>) |
'김해진'을 현혹하는 편지 속 뮤즈. '정세훈'의 필명이기도 하다. | '김해진'을 현혹하는 편지 속 뮤즈. '정세훈'의 필명이기도 하다.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김해진'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작품 후반에는 카리스마 있고 어두운 여성캐릭터로 변모한다. | '김해진'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작품 후반에는 카리스마 있고 어두운 여성캐릭터로 변모한다. | ||
− | *'''홍'''(작품 : <스모크>) | + | *'''홍'''(작품 : <[[스모크|스모크]]>) |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 내면의 여성성,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의 아내 변동림으로 보여진다. |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 내면의 여성성,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의 아내 변동림으로 보여진다. | ||
2025년 5월 27일 (화) 13:41 판
목차
내용
대학로 마니아 뮤지컬 시장에 올라오는 작품들의 공통된 특징은 한정된 소재로 작품을 만들고, 한정된 배우풀 안에서 공연이 올라간다는 점이다.
때문에 이상이라는 한정된 소재를 다룬 여러 작품들에서도 공통적으로 출연한 배우들이 있다.
이들의 출연 작품과 맡았던 역할을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마니아 시장에서 사랑받는 배우들이 어떤 특징을 가졌고,
관객들은 어떤 내용과 캐릭터를 좋아하는지까지 알아볼 수 있다.
네트워크 그래프
멀티미디어
이미지
동영상
뮤지컬 <라흐헤스트> 넘버 - "향안, 그 이름을 내게 줘요"
- 이상과 사별한 변동림이 김환기와 새로운 삶을 시작하기 위해 그의 이름을 달라고 하는 장면.
배우 스타일 분석
김종구 배우
- 초 (작품 : <스모크>)
절망하는 일제강점기의 예술가.
초반에는 비관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다가 주변 인물(해, 홍)의 영향을 받고 글을 쓰면서 세상에 대한 관점을 변화해간다.
끝이 없어보이는 절망을 한 후에 결국 예술가로 남아 살아가자는 다짐을 하는 인물이다.
- 김해진(작품 : <팬레터>)
절망하는 일제강점기의 예술가.
폐결핵에 걸려 하루하루 쇠약해져가는 인물이다.
편지 속 뮤즈 히카루에게 현혹되어 자신의 몸이 망가져가는 지도 모른채 그녀의 세계로 빠져든다.
결말에는 병세가 악화되어 죽고, 편지속 뮤즈 히카루를 만들어낸 문학도 세훈을 용서하는 편지를 쓴다.
- 김환기 (작품 : <라흐헤스트>)
김향안의 자상한 남편.
젊은시절 당시에 변동림이었던 김향안에게 꾸준히 구애를 하고, 자신의 아호인 김향안이라는 이름을 달라는 변동림의 부탁을 들어준다.
파리에서 아내 김향안과 함께 살아가며 행복한 작품세계를 펼친다.
허혜진 배우
- 히카루(작품 : <팬레터>)
'김해진'을 현혹하는 편지 속 뮤즈. '정세훈'의 필명이기도 하다.
초반에는 문학을 사랑하는 순수한 소녀의 이미지로 등장하지만,
'김해진'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작품 후반에는 카리스마 있고 어두운 여성캐릭터로 변모한다.
- 홍(작품 : <스모크>)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 내면의 여성성,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의 아내 변동림으로 보여진다.
윤소호, 박준휘 배우
최지혜 배우
- 히카루(작품 : <팬레터>)
'김해진'을 현혹하는 편지 속 뮤즈. '정세훈'의 필명이기도 하다.
초반에는 문학을 사랑하는 순수한 소녀의 이미지로 등장하지만,
'김해진'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작품 후반에는 카리스마 있고 어두운 여성캐릭터로 변모한다.
- 홍(작품 : <스모크>)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 내면의 여성성, 어떤 장면에서는 '이상'의 아내 변동림으로 보여진다.
결론
다른 작품이지만 소재가 비슷하기에, 네 작품에는 비슷한 캐릭터가 존재한다. 다른 작품에서 성격이 비슷한 배역을 맡았다면, 배우 개개인이 어떤 역할에 잘 어울리는지도 알 수 있다.
- 김종구 : <팬레터> <스모크> <라흐헤스트> 출연.
위엄있는 중년 남성 캐릭터에 잘 어울린다.
- 박준휘,윤소호 : <팬레터> 세훈 역, <스모크> 해 역.
소년 같은 캐릭터에 잘 어울린다.
- 허혜진 : <팬레터> 히카루 역, <스모크> 홍 역.
카리스마있는 여자 캐릭터에 잘 어울린다.
- 최지혜 : <스모크> 홍 역, <라흐헤스트> 변동림 역.
때로는 강단있고, 때로는 따뜻한 여자 캐릭터에 잘 어울린다.
박준휘-윤소호 배우와, 허혜진-최지혜 배우처럼
비슷한 이미지를 가진 배우가 여러명 있는 것으로 보아, 관객들이 좋아하는 캐릭터상이 카테고리화 되어 있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마니아 시장에서 많이 소비되는 캐릭터는 중년 남성 캐릭터/ 소년 캐릭터/ 카리스마 있는 여성 캐릭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