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을 소재로 한 4작품의 마케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90번째 줄: | 90번째 줄: | ||
==='''동영상'''=== | ==='''동영상'''===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OG3R6ol4YBc?si=NSxjDUKOB3sMtKGW"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뮤지컬 <라흐헤스트> 온라인 프로모션 - "각설탕만 만지작 만지작" 넘버의 컨셉영상. | ||
=='''결론'''== | =='''결론'''== | ||
− | *두 남편과의 | + | *두 남편과의 사 |
+ | 별을 담은 <라흐헤스트>와 예술가로써의 좌절 부분이 길게 다뤄진 <스모크>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손수건이 MD로 나와있다. 이를 통해 본 시장에서 마케팅하는 '''뮤지컬의 내용이 슬플 때 기획사 측에서 손수건을 MD상품으로 기획'''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
*캘린더나 포스트잇 같은 '''생활용품'''이 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관객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작품과 관련한 상품을 사용함으로써 평소에도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상기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캘린더나 포스트잇 같은 '''생활용품'''이 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관객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작품과 관련한 상품을 사용함으로써 평소에도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상기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
*최근에 올라온 두 작품 <스모크>와 <라흐헤스트>에서 일관적으로 '폴라로이드 증정 이벤트'<ref> 티켓 한 장 당 당일 출연 배우 중 한 명의 폴라로이드를 증정하는 이벤트. 이를 이용하여 최근 일부 팬들은 한 회차의 티켓을 수십장 사서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의 예쁜 폴라로이드가 나올 때까지 폴라로이드 '''뽑기'''를 하는 문화가 생겨났다. 그렇게 될 경우 기획사 입장에서는 (비록 많은 좌석수를 한 관객이 예매하여 정작 객석은 텅 비더라도) 폴라로이드를 증정하는 회차는 서버상으로는 매진이 되기에 해당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열고 있다. </ref>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본 마케팅 방안이 최근 시작된 마케팅 방안라는걸 알 수 있다. | *최근에 올라온 두 작품 <스모크>와 <라흐헤스트>에서 일관적으로 '폴라로이드 증정 이벤트'<ref> 티켓 한 장 당 당일 출연 배우 중 한 명의 폴라로이드를 증정하는 이벤트. 이를 이용하여 최근 일부 팬들은 한 회차의 티켓을 수십장 사서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의 예쁜 폴라로이드가 나올 때까지 폴라로이드 '''뽑기'''를 하는 문화가 생겨났다. 그렇게 될 경우 기획사 입장에서는 (비록 많은 좌석수를 한 관객이 예매하여 정작 객석은 텅 비더라도) 폴라로이드를 증정하는 회차는 서버상으로는 매진이 되기에 해당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열고 있다. </ref>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본 마케팅 방안이 최근 시작된 마케팅 방안라는걸 알 수 있다. |
2025년 5월 26일 (월) 03:14 판
내용
'이상'의 삶과 작품을 다룬 뮤지컬에는 <팬레터>, <스모크>, <굳빠이, 이상>, <라흐헤스트>가 있다. 본 페이지에서는 기획사가 작품들을 관객들에게 어떻게 마케팅을 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 시장이 타겟층으로 하는 관객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각 작품을 올린 기획사의 인스타그램을 참조하였으며, 네 작품의 최근 한두시즌에 사용되었던 마케팅 방안을 중점적으로 조사하여 페이지를 구성하였다.
네트워크 그래프
Class | Definition | Remarks |
---|---|---|
뮤지컬 작품 | musical | 이상을 소재로 다룬 뮤지컬 |
온라인 콘텐츠 | online | [마케팅] 작품과 관련해 기획사에서 제작한 홍보영상이나 카드뉴스 |
오프라인 콘텐츠 | offline | [마케팅] 뮤지컬을 홍보하기 위해 진행한 오프라인 콘텐츠 |
할인 | discount | [마케팅] 뮤지컬의 특색있는 할인 정책 |
MD | MD | [MD] 뮤지컬의 특색있는 기념상품(MD) |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
-의 상품이다 | MD | musical | 상품A는 뮤지컬B의 MD다 |
-의 온라인 프로모션이다 | online | musical | A는 뮤지컬B의 온라인 마케팅 방안이다 |
-의 오프라인 프로모션이다 | offline | musical | A는 뮤지컬B의 오프라인 마케팅 방안이다 |
-의 할인 프로모션이다 | discount | musical | A는 뮤지컬B의 할인 방안이다 |
MD
- 팬레터
- 프로그램북
- 손수건
- 캘린더
- 뱃지
- 포스트잇 : 안경, 편지, 꽃 3가지 디지안.
- 연필세트 : 편지로 소통하는 뮤지컬 속 캐럭터들을 떠올리게 한다.
- 스모크
- 프로그램북
- 파우치
- 원목거울 : 손거울 뒷면에 이상의 시 '거울'의 글귀가 새겨져 있다. 이상의 시와 뮤지컬 속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 에코백
- 캘린더
- 뱃지
- 꾿빠이, 이상
- 프로그램북
- 라흐헤스트
- 프로그램북
- 뱃지
- 에코백 : 사랑하는 사람의 말에 주저없이 가방 하나만 들고 이상을 따라 일본으로 떠났던 변동림의 모습과, 김환기를 따라 피리로 떠났던 김향안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 손수건
마케팅
- 팬레터
- 월요라이브
- 컨셉영상
- 스모크
- 월요라이브
- 꾿빠이, 이상
- [할인] 재관람 할인 : '서울예술단'이 제작한 작품을 관람한 관객 대상 할인.
- 라흐헤스트
- 월요라이
- 환기미술관 콘서트 : 김향안 - 김환기의 삶이 중요하게 다뤄졌기에, 김환기의 작품을 김향안이 큐레이션한 장소 환기미술관에서 뮤지컬 넘버를 부르는 미니콘서트를 진행했다.
- 배우들의 연습실 게임영상
- 공연 첫 주, 할인 쿠폰팩
- 친필엽서 증정
- 폴라로이드 증정
- 재관람 할인 : 응용한 더블적립 이벤트도 존재.
멀티미디어
이미지
- ''네 작품 MD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프로그램북''
동영상
뮤지컬 <라흐헤스트> 온라인 프로모션 - "각설탕만 만지작 만지작" 넘버의 컨셉영상.
결론
- 두 남편과의 사
별을 담은 <라흐헤스트>와 예술가로써의 좌절 부분이 길게 다뤄진 <스모크> 두 작품에 공통적으로 손수건이 MD로 나와있다. 이를 통해 본 시장에서 마케팅하는 뮤지컬의 내용이 슬플 때 기획사 측에서 손수건을 MD상품으로 기획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캘린더나 포스트잇 같은 생활용품이 상품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관객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작품과 관련한 상품을 사용함으로써 평소에도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을 상기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최근에 올라온 두 작품 <스모크>와 <라흐헤스트>에서 일관적으로 '폴라로이드 증정 이벤트'[1]가 있는 것으로 보아, 본 마케팅 방안이 최근 시작된 마케팅 방안라는걸 알 수 있다.
주석
- ↑ 티켓 한 장 당 당일 출연 배우 중 한 명의 폴라로이드를 증정하는 이벤트. 이를 이용하여 최근 일부 팬들은 한 회차의 티켓을 수십장 사서 자신이 좋아하는 배우의 예쁜 폴라로이드가 나올 때까지 폴라로이드 뽑기를 하는 문화가 생겨났다. 그렇게 될 경우 기획사 입장에서는 (비록 많은 좌석수를 한 관객이 예매하여 정작 객석은 텅 비더라도) 폴라로이드를 증정하는 회차는 서버상으로는 매진이 되기에 해당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