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2025 콘텐츠 제작노트: 전지적 독자 시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맨틱 스토리텔링)  | 
				 (→기획의도)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기획의도'''==  | =='''기획의도'''==  | ||
| − | '''콘텐츠 제목 : 문화원형의 집합체, 전지적 독자 시점'''  | + | ==='''콘텐츠 제목 : 문화원형의 집합체, 전지적 독자 시점'''===  |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은 문피아<ref>[https://novel.munpia.com/104753 문피아]</ref>에서 5천만, 네이버 시리즈<ref>[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3400123 네이버 시리즈]</ref>에서 2억 뷰를 돌파하며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은 유명 웹 소설이다. 이 작품은 단순한 판타지 장르에 그치지 않고, 설화와 신화, 세계 각국의 문화원형을 스토리 전반에 유기적으로 녹여냈다는 점에서 오락을 넘어 현대 콘텐츠 시장에서 문화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우수한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이 작품은 문화원형을 현대적 감각으로 되살리는 재창조의 장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전지적 독자 시점』이 그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사례라 할 수 있다.  |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은 문피아<ref>[https://novel.munpia.com/104753 문피아]</ref>에서 5천만, 네이버 시리즈<ref>[https://series.naver.com/novel/detail.series?productNo=3400123 네이버 시리즈]</ref>에서 2억 뷰를 돌파하며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은 유명 웹 소설이다. 이 작품은 단순한 판타지 장르에 그치지 않고, 설화와 신화, 세계 각국의 문화원형을 스토리 전반에 유기적으로 녹여냈다는 점에서 오락을 넘어 현대 콘텐츠 시장에서 문화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우수한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이 작품은 문화원형을 현대적 감각으로 되살리는 재창조의 장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전지적 독자 시점』이 그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사례라 할 수 있다.  |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지적 독자 시점』<ref>[https://namu.wiki/w/%EC%A0%84%EC%A7%80%EC%A0%81%20%EB%8F%85%EC%9E%90%20%EC%8B%9C%EC%A0%90 전지적 독자 시점]</ref> 의 스토리 속에서 문화원형이 어떻게 창의적으로 각색되어 현대 독자에게 전달되는지를 분석하고, 주요 등장인물과 그 모티프가 된 설화·신화 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인물 간 관계도와 문화원형 서사 흐름을 시각화하여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콘텐츠의 문화적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지적 독자 시점』<ref>[https://namu.wiki/w/%EC%A0%84%EC%A7%80%EC%A0%81%20%EB%8F%85%EC%9E%90%20%EC%8B%9C%EC%A0%90 전지적 독자 시점]</ref> 의 스토리 속에서 문화원형이 어떻게 창의적으로 각색되어 현대 독자에게 전달되는지를 분석하고, 주요 등장인물과 그 모티프가 된 설화·신화 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인물 간 관계도와 문화원형 서사 흐름을 시각화하여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콘텐츠의 문화적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
| − | |||
=='''내용'''==  | =='''내용'''==  | ||
2025년 5월 19일 (월) 23:41 판
| 전지적 독자 시점 | |
|   전지적 독자 시점, 나무위키.  |  
|
| 작품명(국문) | 전지적 독자 시점 | 
|---|---|
| 작품명(영문) | Omniscient Reader's Viewpoint | 
| 등급 | 전체 이용가 | 
| 장르 | 현대 퓨전 판타지, 성좌, 책빙의, 아포칼립스, 픽션 진입, 액션, 미션 | 
목차
기획의도
콘텐츠 제목 : 문화원형의 집합체, 전지적 독자 시점
웹소설 『전지적 독자 시점』은 문피아[1]에서 5천만, 네이버 시리즈[2]에서 2억 뷰를 돌파하며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은 유명 웹 소설이다. 이 작품은 단순한 판타지 장르에 그치지 않고, 설화와 신화, 세계 각국의 문화원형을 스토리 전반에 유기적으로 녹여냈다는 점에서 오락을 넘어 현대 콘텐츠 시장에서 문화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 우수한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다. 이 작품은 문화원형을 현대적 감각으로 되살리는 재창조의 장으로서의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K-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반드시 나아가야 할 방향이며, 『전지적 독자 시점』이 그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입증한 사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은 ‘공간 이동’, ‘차원 전이’ 등 서사적 장치를 통해 전통적으로 구전되거나 기록되어 온 고전 원형 서사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도깨비, 신화적 영웅 서사, 운명을 개척하는 인간상 등은 모두 독자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새롭게 변주되어, 장르 팬덤은 물론 작품의 모티프가 된 문화원형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 함께 끌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지적 독자 시점』[3] 의 스토리 속에서 문화원형이 어떻게 창의적으로 각색되어 현대 독자에게 전달되는지를 분석하고, 주요 등장인물과 그 모티프가 된 설화·신화 등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인물 간 관계도와 문화원형 서사 흐름을 시각화하여 웹툰 및 웹소설 기반 콘텐츠의 문화적 확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내용
페이지 제작 범위
본 작품은 인물 관계도가 상당히 복잡하므로 본편 완결본까지의 내용을 기준으로 하되, 임의로 주요 인물만을 추려서 제작하였음.
PV 영상
시맨틱 스토리텔링
온톨로지
CLASS
| Class | Definition | Remarks | Shape | Example | 
|---|---|---|---|---|
| 화신 | 화신 | 시나리오 수행 과정에서 성좌와 배후성 계약을 맺아 후원을 받는 존재 | black box | 김독자, 유상아 | 
| 성좌 | 성좌 | 시나리오를 관람하는 신비로운 존재 | black square | 해상전신, 구암신의 | 
| 성좌_외 | 성좌_외 | 성좌 외에 마왕, 이계의 신격, 도깨비, 혹부리, 개념 | black circle | 이야기의_왕, 지평선의_악마 | 
| 집단 | 집단 | 단체, 시공간, 성운 | black triangle | 차라투스투라, 누벨바그 | 
| 모티프 | 모티프 | 이야기의 원천 | black star | 그리스_로마_신화, 북유럽_신화 | 
| 진명 | 진명 | 진짜 이름 | black ellipse | 양철_나무꾼, 아바돈 | 
RELATION
| Relation | Domain | Range | Definition | Example | 
|---|---|---|---|---|
| ~의_배후성이다 | 성좌 | 화신 | 성좌 A는 화신 B의 배후성이다 | 절름발이_사기꾼 한명오 ~의_배후성이다 | 
| ~에_소속되어있다 | 화신, 성좌, 성좌_외 | 집단 | 성좌 A는 집단 B에 소속되어있다 | 악마_같은_불의_심판자 성운_에덴 ~에_소속되어있다 | 
| ~의_모티프이다 | 모티프 | 집단 | 모티프 A는 집단 B의 모티프이다 | 그리스_로마_신화 성운_올림포스 ~의_모티프이다 | 
| ~의_진명이다 | 진명 | 성좌 | 진명 A는 성좌 B의 진명이다 | 허준 구암신의 ~의_진명이다 | 
| ~의_제자이다 | 화신 | 화신 | 화신 A는 화신 B의 제자이다 | 김독자 키리오스_로드그라임 ~의_제자이다 | 
| ~의_양/친_부모이다 | 화신, 성좌, 성좌_외 | 화신, 성좌, 성좌_외 | 성좌 A는 화신 B의 양/친 부모이다 | 가장_어두운_봄의_여왕 김독자 ~의_양/친_부모이다 | 
| ~의_동료이다 | 화신, 성좌, 성좌_외 | 화신, 성좌, 성좌_외 | 화신 A는 화신 B의 동료이다 | 유상아 김독자 ~의_동료이다 | 
| ~와_적대관계이다 | 화신, 성좌, 성좌_외, 집단 | 화신, 성좌, 성좌_외, 집단 | 집단 A는 화신 B와 적대관계이다 | 성운_올림포스 김독자 ~와_적대관계이다 | 
클래스별 주요 노드
- 화신
- 김독자
 - 유상아
 - 이길영
 - 한명오
 - 한수영
 - 이수경
 - 한다름
 - 유중혁
 - 이지혜
 - 정희원
 - 이현성
 - 김남운
 - 공필두
 - 이설화
 - 신유승
 - 니르바나_뫼비우스
 - 안나_크로프트
 - 셀레나_킴
 - 이리스_블라지미로브나_레베제바
 - 키리오스_로드그라임
 - 장하영
 - 파천검성_남궁민영
 - 풍월을_읊는_개_파천신군
 
 
- 성좌
- 은밀한_모략가
 - 절름발이_사기꾼
 - 강철의_주인
 - 만다라의_수호자
 - 무저갱의_지배자
 - 가장_오래된_꿈
 - 해상전신
 - 구암신의
 - 고려제일검
 - 시조의_어머니
 - 구원의_마왕
 - 악마_같은_불의_심판자
 - 물병자리에_핀_백합
 - 붉은_코스모스의_지휘관
 - 버려진_미로의_연인
 - 술과_황홀경의_신
 - 부유한_밤의_아버지
 - 가장_어두운_봄의_여왕
 - 성별_바꾸기를_좋아하는_성좌
 - 전쟁의_종결자
 - 12월_25일의_주인
 - 인류의_시조
 - 지고한_빛의_신
 - 아비도스의_주인
 - 검은_늑대_사신
 - 정오의_태양
 - 긴고아의_죄수
 - 태양_사냥꾼
 - 흙으로_사람을_빚은_대모신
 - 심연의_흑염룡
 - 격노와_정욕의_마신
 - 지옥_동부의_지배자
 
 
- 성좌_외
- 꿈을_먹는_자
 - 형용할_수_없는_아득함
 - 기어다니는_혼돈
 - 비형
 - 비유
 - 지평선의_악마
 - 거신병_플루토
 
 
- 집단
- 차라투스투라
 - 누벨바그
 - 성운_김독자_컴퍼니
 - 성운_홍익
 - 성운_에덴
 - 성운_올림포스
 - 성운_명계
 - 성운_아스가르드
 - 성운_베다
 - 성운_파피루스
 - 성운_황제
 - 성운_흑운
 - 관리국
 - 제1_무림계
 - 마계
 - 이계의_신격
 - 혹부리
 
 
- 모티프
 
- 진명
- 양철_나무꾼
 - 아바돈
 - 석가모니
 - 이순신
 - 허준
 - 척준경
 - 웅녀
 - 대천사_우리엘
 - 대천사_가브리엘
 - 요피엘
 - 아리아드네
 - 디오니소스
 - 하데스
 - 페르세포네
 - 로키
 - 비다르
 - 미트라
 - 마누
 - 수르야
 - 오시리스
 - 아누비스
 - 라
 - 제천대성
 - 예
 - 여와
 - 아스모데우스
 - 아가레스
 - 나스_호르타스
 - 더_네임리스_미스트
 - 니알라토텝
 - 혹부리_왕
 - 도깨비_왕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