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공예.lst"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104번째 줄: | 104번째 줄: | ||
대만 Place 대만고궁박물원 | 대만 Place 대만고궁박물원 | ||
향로 Category 향로(香爐) | 향로 Category 향로(香爐) | ||
− | |||
− | |||
− | |||
− | |||
− | |||
− | |||
− | |||
수로 CraftObject 짐승모양향로(수로,獸爐)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cnkd_030r_0020 | 수로 CraftObject 짐승모양향로(수로,獸爐)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cnkd_030r_0020 | ||
공식의례 Concept 국가적_공식의례 | 공식의례 Concept 국가적_공식의례 |
2025년 5월 15일 (목) 16:04 판
#Project 고려시대 공예와 문화(고려도경을 중심으로) #Class Actor/Agent Red box Event Orange box Place Yellow box Architecture Green box Object Blue box Heritage #00FF00 box Concept #212121 box Record #1abc9c box Bibliography #aed6f1 box WebResources #aeb6bf box CraftObject #6600CC box Category #7F00FF box Material #9933FF box Technique #B266FF box Form/Shape #CC99FF box Decoration/Pattern #E5CCFF box Nationality/Period #FF99CC box Site #99CCFF box Institution/Country #bbdefb box #Relation ~가_아버지이다 ~가_어머니이다 ~가_사촌이다 창작자는~이다 ~에_의해_영향받다 (유물의)기증자는~이다 ~를_포함하다 ~에_소속하다 ~의_일원이다 부분~이_있다 관직~를_역임했다 임시로~의_직책을_수행하다 ~의_생가/출생지이다 ~의_유적지이다 소재지(소장처)는~이다 ~지역에서_생산된다 ~에서_만든다 ~에_위치하다 (사건이)일어나다 (사건이)장소에서_일어나다 (인물이)사건~을_주도하다 ~에_묘사되어_있다 ~에_언급되다 판본~이_있다 ~를_문서화하다 (문화재)~로_지정되다 ~와_같다 ~와_관계가_있다 ~과_관계가_있을_지도_모른다 ~로_만들었다 ~에_쓰인다 ~유형이다 ~기법으로_만들어졌다 ~모양/형태이다 ~문양/장식이_있다 국적/시대의_것이다 ~에서_생산되었다 ~에서_출토되었다 ~에서_소장하고_있다 ~에_쓰인다 #Nodes 휘종 Actor/Agent 휘종(徽宗,8대) 송 Place 송(宋,선화5년) 인종 Actor/Agent 인종(仁宗,고려17대,1122~1146) 고려 Place 고려(高麗,918~1392) 사절단 Actor/Agent 사절단 상절 Concept 상절(上節)_25명 파견 Event 파견 부묵경 Actor/Agent 부묵경(傅墨卿) 중서사인 Concept 중서사인(中書舍人) 부사 Concept 부사(副使) 노윤적 Actor/Agent 노윤적(路允迪) 급사중 Concept 급사중(給事中) 정사 Concept 정사(正使) 서긍 Actor/Agent 서긍(徐兢,1091~1153) 고향 Place 화주(和州)_역양(歷陽) 서굉중 Actor/Agent 서굉중(徐閎中) 갈씨 Actor/Agent 갈씨(葛氏) 순천관 Architecture 순천관(順天館) 관사 Concept 관사(館舍) 개경 Place 개경(고려수도,현재의_개성) 만월대 Place 만월대(滿月臺) 세계유산 Heritage 유네스코세계유산 김홍도 Actor/Agent 김홍도(金弘道,1745~1806) 만월대계회도 Heritage 《만월대계회도》 북한국보 Heritage 북한_국보(구)제122호 북한 Plac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회경전 Architecture 회경전(會慶殿) 건덕전 Architecture 건덕전(乾德殿) 개성전도 Record 개성전도(開城全圖,1872,조선,고종9년) https://kyudb.snu.ac.kr/book/text.do 서울대 Institution/Country 서울대학교_규장각한국학연구원(한국) 고려도경 Record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선화박고도 Record 선화박고도(宣和博古圖) 서천 Actor/Agent 서천 초판본 Record 초판본(初版本) 대만 Place 대만고궁박물원 향로 Category 향로(香爐) 수로 CraftObject 짐승모양향로(수로,獸爐) https://db.history.go.kr/goryeo/level.do?levelId=cnkd_030r_0020 공식의례 Concept 국가적_공식의례 종교의례 Concept 종교의례 보온 Concept 손_보온 짐승 Form/Shape 짐승모양 모자사자 Heritage 청자주전자및받침 https://www.emuseum.go.kr/detail?relicId=PS0100100100500099000000 주전자 Category 주전자 청자 Material 도자기_청자(靑瓷) 사자 Form/Shape 사자(獅子) 꽃 Form/Shape 꽃 국중박 Institution/Country 국립중앙박물관(한국) 사자향로 Heritage 청동사자장식향로 청동 Material 청동(구리,주석_등_합금) 리움 Institution/Country 리움미술관(한국) 박산로 CraftObject 박산로(博山爐) 정로 CraftObject 정로(鼎爐) 도로 CraftObject 도기향로(도로,陶爐) 온로 CraftObject 화로(온로,溫爐) 주합 CraftObject 술통(주합,酒榼) 부용준 CraftObject 부용준(芙蓉尊) 와준 CraftObject 질그릇술독(와준,瓦尊) 등준 CraftObject 등나무술독(등준,藤尊) 도준 CraftObject 도기술병(도준,陶尊) 유앙 CraftObject 기름동이(유앙,油盎) 반잔 CraftObject 반잔(盤琖) 수병 CraftObject 물병(수병,水甁) 정병 CraftObject 정병(淨甁) 제병 CraftObject 휴대용병(제병,提甁) 화호 CraftObject 꽃병(화호,花壺) 탕호 CraftObject 보온병(탕호,湯壺) 면약호 CraftObject 면약호(面藥壺) 오화세 CraftObject 검은꽃장식물동이(오화세,烏花洗) 백동세 CraftObject 백동물동이(백동세,白銅洗) 수부 CraftObject 물솥(수부,水釜) 수앵 CraftObject 물항아리(수앵,水甖) 죽부 CraftObject 죽솥(죽부,鬻釜) 수옹 CraftObject 대형물항아리(수옹,水甕) 거종 CraftObject 거종(巨鐘) 식조 CraftObject 식탁보(식조,食罩) 등비 CraftObject 등나무광주리(등비,藤篚) 초점 CraftObject 가마니(초점,草苫) 도필 CraftObject 필기구(도필,刀筆) #Links 휘종 송 ~의_일원이다 인종 고려 ~의_일원이다 서굉중 서긍 ~가_아버지이다 갈씨 서긍 ~가_어머니이다 서천 서긍 ~가_사촌이다 서천 초판본 ~로_만들었다 초판본 대만 소재지(소장처)는~이다 고향 서긍 ~의_생가/출생지이다 고려도경 서긍 창작자는~이다 고려도경 초판본 ~와_관계가_있다 서천 고려도경 ~를_문서화하다 서긍 휘종 ~에_소속하다 서긍 상절 부분~이_있다 노윤적 휘종 ~에_소속하다 부묵경 휘종 ~에_소속하다 서긍 사절단 ~의_일원이다 노윤적 사절단 ~의_일원이다 부묵경 사절단 ~의_일원이다 노윤적 정사 임시로~의_직책을_수행하다 부묵경 부사 임시로~의_직책을_수행하다 고려도경 선화박고도 ~에_의해_영향받다 노윤적 급사중 관직~를_역임했다 부묵경 중서사인 관직~를_역임했다 사절단 상절 ~를_포함하다 사절단 파견 (사건이)일어나다 파견 고려 (사건이)일어나다 파견 순천관 (사건이)장소에서_일어나다 순천관 관사 ~와_같다 순천관 개경 ~에_위치하다 수로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수로 만월대 ~에_위치하다 만월대 개경 ~에_위치하다 만월대 고려 ~의_유적지이다 회경전 만월대 ~에_위치하다 건덕전 만월대 ~에_위치하다 만월대 세계유산 (문화재)~로_지정되다 세계유산 북한 ~에_위치하다 만월대 만월대계회도 ~와_관계가_있다 만월대 개성전도 ~와_관계가_있다 개성전도 서울대 ~에서_소장하고_있다 만월대계회도 북한국보 (문화재)~로_지정되다 만월대계회도 김홍도 창작자는~이다 수로 향로 ~유형이다 향로 공식의례 ~에_쓰인다 향로 종교의례 ~에_쓰인다 향로 보온 ~에_쓰인다 수로 짐승 ~모양/형태이다 수로 모자사자 ~과_관계가_있을_지도_모른다 모자사자 주전자 ~유형이다 모자사자 청자 ~로_만들었다 모자사자 사자 ~모양/형태이다 모자사자 꽃 ~모양/형태이다 모자사자 국중박 ~에서_소장하고_있다 수로 사자향로 ~과_관계가_있을_지도_모른다 사자향로 청동 ~로_만들었다 사자향로 리움 ~에서_소장하고_있다 박산로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도로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온로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주합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부용준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와준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등준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도준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유앙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반잔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수병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정병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제병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화호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탕호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면약호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오화세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백동세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수부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수앵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죽부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수옹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거종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식조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등비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초점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도필 고려도경 ~에_언급되다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