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량(영화, 201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역사적 배경)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시놉시스'''== | =='''시놉시스'''== | ||
− | 1597년 임진왜란 6년, 오랜 전쟁으로 인해 혼란이 극에 달한 조선. 무서운 속도로 한양으로 북상하는 왜군에 의해 국가존망의 위기에 처하자 누명을 쓰고 파면 당했던 이순신 장군(최민식)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다. 하지만 그에게 남은 건 전의를 상실한 병사와 두려움에 가득 찬 백성, 그리고 12척의 배 뿐. 마지막 희망이었던 거북선마저 불타고 잔혹한 성격과 뛰어난 지략을 지닌 용병 구루지마(류승룡)가 왜군 수장으로 나서자 조선은 더욱 술렁인다. 330척에 달하는 왜군의 배가 속속 집결하고 압도적인 수의 열세에 모두가 패배를 직감하는 순간, 이순신 장군은 단 12척의 배를 이끌고 명량 바다를 향해 나서는데…! 12척의 조선 vs 330척의 왜군 역사를 바꾼 위대한 전쟁이 시작된다!<ref>[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1827015&qvt=0&query=%EC%98%81%ED%99%94%20%EB%AA%85%EB%9F%89 명량], 네이버 영화.</ref> | + | 1597년 임진왜란 6년, 오랜 전쟁으로 인해 혼란이 극에 달한 조선. 무서운 속도로 한양으로 북상하는 왜군에 의해 국가존망의 위기에 처하자 누명을 쓰고 파면 당했던 [[이순신]] 장군(최민식)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다. 하지만 그에게 남은 건 전의를 상실한 병사와 두려움에 가득 찬 백성, 그리고 12척의 배 뿐. 마지막 희망이었던 거북선마저 불타고 잔혹한 성격과 뛰어난 지략을 지닌 용병 구루지마(류승룡)가 왜군 수장으로 나서자 조선은 더욱 술렁인다. 330척에 달하는 왜군의 배가 속속 집결하고 압도적인 수의 열세에 모두가 패배를 직감하는 순간, 이순신 장군은 단 12척의 배를 이끌고 명량 바다를 향해 나서는데…! 12척의 조선 vs 330척의 왜군 역사를 바꾼 위대한 전쟁이 시작된다!<ref>[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1827015&qvt=0&query=%EC%98%81%ED%99%94%20%EB%AA%85%EB%9F%89 명량], 네이버 영화.</ref> |
+ | =='''출연진'''== | ||
+ | *'''주연''' | ||
+ | **'''[[최민식]]'''-[[이순신]] 역 | ||
+ | **'''류승룡'''-구루지마 역 | ||
+ | **'''조진웅'''-와키자카 역 | ||
+ | *'''조연''' | ||
+ | **'''진구'''-임준영 역 | ||
+ | **'''이정현'''-정씨 여인 역 | ||
+ | **'''김명곤'''-도도 역 | ||
+ | **'''권율'''-이회 역 | ||
+ | **'''노민우'''-하루 역 | ||
=='''예고편'''== | =='''예고편'''==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spQtwggaCy4?si=LUanI9ZbsZW61i5q"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spQtwggaCy4?si=LUanI9ZbsZW61i5q"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 ||
</html> | </html> | ||
+ | |||
+ | =='''포스터/스틸컷'''==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500px caption="포스터" > | ||
+ | 파일:명량 포스터(한국).jpg|(한글) | ||
+ | 파일:명량 포스터(영문).jpg|(영문) | ||
+ | </gallery> |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300px caption= "스틸컷"> | ||
+ | 파일:명량 스틸컷1.jpg | ||
+ | 파일:명량 스틸컷2.jpg | ||
+ | 파일:명량 스틸컷3.jpg | ||
+ | 파일:명량 스틸컷4.jpg | ||
+ | 파일:명량 스틸컷5.jpg | ||
+ | </gallery> | ||
+ | |||
+ |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출처: [https://www.imdb.com/title/tt3541262/mediaindex/?ref_=mv?ref_=mv_sm '''IMDb "The Admiral: Roaring Currents" Photo''']</div> | ||
=='''명대사'''== | =='''명대사'''== | ||
46번째 줄: | 74번째 줄: | ||
*영화부문 대상 (최민식) | *영화부문 대상 (최민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촬영지 정보'''== | =='''촬영지 정보'''== | ||
*'''광양항''' | *'''광양항''' | ||
− | 배 | + | <html><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13086.575997452152!2d127.67092285840585!3d34.91538246085719!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356e72f80007c2b1%3A0x214c14ae97dce89a!2z6rSR7JaR7ZWt!5e0!3m2!1sko!2skr!4v1743177938748!5m2!1sko!2skr" width="600" height="4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html> |
+ | |||
+ | 배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바다와도 맞닿아 있어 촬영 장소로 선정되었고, 영화 분량의 70%를 광양항에서 촬영하였다.<ref>[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064501?sid=115 영화 '명량' 주 활영지 주목], KBS 뉴스.</ref> | ||
*'''전라남도 진도군''' | *'''전라남도 진도군''' | ||
*'''전라남도 해남군''' | *'''전라남도 해남군''' | ||
92번째 줄: | 111번째 줄: | ||
*전라좌수사 | *전라좌수사 | ||
*삼도수군통제사 | *삼도수군통제사 | ||
+ | |||
+ | ====4)이순신이 이끈 대표 전투<ref>[https://www.gyeongnam.go.kr/yisunshin/index.gyeong?menuCd=DOM_000009301002001000 전쟁연표],충무공 이순신</ref>==== | ||
+ | {|class="wikitable sotable" style="width:80%;" | ||
+ | !style="width:5%"|연도|| style="width:10%"|전투|| style="width:60%"|내용 | ||
+ | |- | ||
+ | |1592년|| 옥포해전|| 임진왜란 첫 승리로, 일본군의 해상 보급로를 차단. | ||
+ | |- | ||
+ | |1592년|| 사천해전|| 거북선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일본군을 격파. | ||
+ | |- | ||
+ | |1592년|| 한산도 대첩|| 학익진 전술을 사용해 일본군을 대파, 조선 수군의 위상을 높임. | ||
+ | |- | ||
+ | |1597년|| 명량 해전|| 12척의 배로 일본군 최소 130척 이상을 상대해 대승을 거둠. | ||
+ | |- | ||
+ | |1598년|| 노량 해전||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마지막 전투로, 일본군의 철수를 막아냄. | ||
+ | |} | ||
===2.명량해전=== | ===2.명량해전=== | ||
− | |||
− | ==평점과 한줄평==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1597년(선조 30) 9월 16일 명량 해협에서 이순신(李舜臣)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압도적 다수의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ref>[https://contents.history.go.kr/front/kc/main.do?levelId=kc_i302300&whereStr=%40where+%7B+IDX_TITLE%28HASALL%7C%27%EB%AA%85%EB%9F%89%ED%95%B4%EC%A0%84%27%7C1000%7C0%29+or+IDX_CONTENT%28HASALL%7C%27%EB%AA%85%EB%9F%89%ED%95%B4%EC%A0%84%27%7C100%7C0%29+or+IDX_ALL%28HASALL%7C%27%EB%AA%85%EB%9F%89%ED%95%B4%EC%A0%84%27%7C1%7C0%29+%7D 명량해전],우리역사넷</ref> | ||
+ | |} | ||
+ | |||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tsyOOI13qjA?si=Rla-T8PaPIJE5JyG"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html><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QzxxbOw__U?si=FC4gV_6_pKzkjX8t"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1597년 9월 16일, 지금의 전라남도 해남 울돌목(명량 해협)에서 벌어진 전투. | ||
+ | |||
+ | 당시 조선은 수군의 전력이 일본군에 비해 압도적으로 열세한 상황이었음에도, 이순신 장군은 최대 시속 20km<ref>[https://www.hani.co.kr/arti/sports/sports_general/381068.html‘이순신 장군의 바다’ 울돌목…시속 20km 물살에 풍덩],한겨레 신문</ref>에 달하는 급류가 흐르는 울돌목의 지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일본군의 대규모 함선에 맞서 승리를 이끌어냈다. | ||
+ | |||
+ | 오늘날까지도 명량 해전은 소규모 병력으로 대규모 적군을 물리친, 기적과도 같은 해상 전투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며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과 전략적 판단력이 잘 드러나는 명전투로 평가받고 있다. | ||
+ | |||
+ | =='''평점과 한줄평'''== | ||
+ | |||
+ | |||
+ | {|class="wikitable sotable" style="width:90%;"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etc&mra=bkEw&pkid=68&os=1827015&qvt=0&query=%EC%98%81%ED%99%94%20%EB%AA%85%EB%9F%89%20%EA%B4%80%EB%9E%8C%ED%8F%89 네이버 영화 '명량' 관람평] | ||
+ | !style="width:13%"|닉네임|| style="width:17%"|평점|| style="width:60%"|한줄평 | ||
+ | |- | ||
+ | |h100****|| ★★★★★|| 이순신, 그는 신이다. | ||
+ | |- | ||
+ | |juli****|| ★★★★★|| 최민식이 아니었다면 누가 해냈을까 싶을 정도, 최고다! 소름 돋는 연기력.. b | ||
+ | |- | ||
+ | |smk9****|| ★★★★+0.5|| 슬프고도 웅장한 전투. 감사합니다. | ||
+ | |} | ||
+ | |||
=='''출처'''== | =='''출처'''== |
2025년 3월 29일 (토) 02:02 기준 최신판
명량 | |
작품명(국문) | 명량 |
---|---|
작품명(영문) | The Admiral: Roaring Currents |
국가 | 대한민국 |
감독 | 김한민 |
각본 | 전철홍,김한민 |
개봉일 | 2014년 7월 30일 |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장르 | 액션,드라마,사극,전쟁,스릴러 |
러닝타임 | 128분 (2시간 8분 20초) |
관객수 | 17,616,141명(2025.03.25 기준) |
목차
[숨기기]시놉시스
1597년 임진왜란 6년, 오랜 전쟁으로 인해 혼란이 극에 달한 조선. 무서운 속도로 한양으로 북상하는 왜군에 의해 국가존망의 위기에 처하자 누명을 쓰고 파면 당했던 이순신 장군(최민식)이 삼도수군통제사로 재임명된다. 하지만 그에게 남은 건 전의를 상실한 병사와 두려움에 가득 찬 백성, 그리고 12척의 배 뿐. 마지막 희망이었던 거북선마저 불타고 잔혹한 성격과 뛰어난 지략을 지닌 용병 구루지마(류승룡)가 왜군 수장으로 나서자 조선은 더욱 술렁인다. 330척에 달하는 왜군의 배가 속속 집결하고 압도적인 수의 열세에 모두가 패배를 직감하는 순간, 이순신 장군은 단 12척의 배를 이끌고 명량 바다를 향해 나서는데…! 12척의 조선 vs 330척의 왜군 역사를 바꾼 위대한 전쟁이 시작된다![1]
출연진
예고편
포스터/스틸컷
- 포스터
- 스틸컷
명대사
![]() |
살고자 하면 필히 죽을 것이고, 또한 죽고자 하면 살 것이니 | ![]() |
- 이순신 |
![]() |
전하,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사옵니다. | ![]() |
- 이순신 |
수상 이력
2014 대종상
- 최우수 작품상
- 남우 주연상 (최민식)
- 기획상 (김한민)
- 기술상 (윤대원)
2014 영평상
- 남우주연상 (최민식)
2014 청룡영화상
- 감독상 (김한민)
- 한국영화최다관객상
2015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대상 (최민식)
촬영지 정보
- 광양항
배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바다와도 맞닿아 있어 촬영 장소로 선정되었고, 영화 분량의 70%를 광양항에서 촬영하였다.[2]
- 전라남도 진도군
- 전라남도 해남군
역사적 배경
1.이순신에 대하여
1)가족 관계[3]
- 아버지-이정
하급 무관인 교위(校尉)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으나, 명예직 혹은 임시직에 불과했고 실제로는 벼슬을 하지 않고 평민으로 살아갔다 보는 편이 더 타당하다. 이순신이 함경도 건원보(乾源堡)의 군관으로 있던 1583년 11월, 향년 7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어머니-변씨(卞氏)
초계(草溪) 변(卞)씨 수림(守琳)의 딸. 1597년 4월 11일,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된 후 옥에서 나와 권율의 휘하로 백의종군하는 이순신을 찾아가는 배 위에서 83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형제-희신(羲臣), 요신(堯臣), 순신(舜臣), 우신(禹臣)
항렬자인 ‘신(臣)’자를 돌림자로 하였다.
- 자녀
- 적자(嫡子)-이회,이열,이면
- 서자(庶子)-히훈(薰),이신(藎)
- 서녀(庶女) 2명
2)유년시절과 무과급제[4]
고려시대에 중랑장을 지낸 이돈수(李敦守)가 시조인 덕수이씨(德水李氏) 가문에 태어났다.[5] 이순신은 벼슬을 하지 못한 아버지의 영향으로 집안이 어려워지면서 가난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러나 집안 환경에 기죽지 않고, 어린 시절부터 친구들과 전쟁 놀이를 즐겨하며 활동적인 성격을 자랑했다. 1565년 8월, 이순신은 보성군수를 지낸 방진(方震)의 딸과 혼인을 하였고, 장인인 방진은 이순신에게 무관직을 적극 권유하였다. 그는 22세부터 본격적으로 무예를 연마하여 10년간 준비를 한 끝에 32세란 다소 늦은 나이에 무과에 급제했다.
3)관직생활[6]
- 동구비보 권관
- 훈련원봉사
- 충청병사 군관
- 발포 수군만호(파직)
- 훈련원 봉사(복귀)
- 건원보 권관
- 조산보만호와 녹둔도둔전관
- 정읍현감
- 전라좌수사
- 삼도수군통제사
4)이순신이 이끈 대표 전투[7]
연도 | 전투 | 내용 |
---|---|---|
1592년 | 옥포해전 | 임진왜란 첫 승리로, 일본군의 해상 보급로를 차단. |
1592년 | 사천해전 | 거북선을 처음으로 사용하여 일본군을 격파. |
1592년 | 한산도 대첩 | 학익진 전술을 사용해 일본군을 대파, 조선 수군의 위상을 높임. |
1597년 | 명량 해전 | 12척의 배로 일본군 최소 130척 이상을 상대해 대승을 거둠. |
1598년 | 노량 해전 | 이순신 장군이 전사한 마지막 전투로, 일본군의 철수를 막아냄. |
2.명량해전
1597년(선조 30) 9월 16일 명량 해협에서 이순신(李舜臣)이 이끄는 조선 수군이 압도적 다수의 일본 수군을 대파한 해전.[8] |
---|
1597년 9월 16일, 지금의 전라남도 해남 울돌목(명량 해협)에서 벌어진 전투.
당시 조선은 수군의 전력이 일본군에 비해 압도적으로 열세한 상황이었음에도, 이순신 장군은 최대 시속 20km[9]에 달하는 급류가 흐르는 울돌목의 지형적 특징을 이용하여 일본군의 대규모 함선에 맞서 승리를 이끌어냈다.
오늘날까지도 명량 해전은 소규모 병력으로 대규모 적군을 물리친, 기적과도 같은 해상 전투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며 이순신 장군의 리더십과 전략적 판단력이 잘 드러나는 명전투로 평가받고 있다.
평점과 한줄평
닉네임 | 평점 | 한줄평 |
---|---|---|
h100**** | ★★★★★ | 이순신, 그는 신이다. |
juli**** | ★★★★★ | 최민식이 아니었다면 누가 해냈을까 싶을 정도, 최고다! 소름 돋는 연기력.. b |
smk9**** | ★★★★+0.5 | 슬프고도 웅장한 전투.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