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KU조영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출처)
 
(2명의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47번째 줄: 47번째 줄:
 
<ref>조영은,
 
<ref>조영은,
 
내 뇌피셜</ref>
 
내 뇌피셜</ref>
 +
 +
=='''주석'''==
 +
<references/>
 +
 +
 
==폰트의 활용==
 
==폰트의 활용==
  
67번째 줄: 72번째 줄:
 
<html>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RYEXFQrjmg?si=_TpvrkM2BBXEi3Sq"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DRYEXFQrjmg?si=_TpvrkM2BBXEi3Sq" title="YouTube video player"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clipboard-write;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web-share" referrerpolicy="strict-origin-when-cross-origin" allowfullscreen></iframe>
<html/>
+
</html>
 +
 
 +
 
 +
 
 +
==메모==
 +
 
 +
''출처 표기'' 하기 중요
 +
웹에서 볼 수 있는 건 꼭 인베드 하기 외부 링크 넣어서
 +
사극 하니까 역사적 배경 섹션 넣어보기 네이버나 유튜브
 +
사극에 등장인물에 대한 역할적인 요소? 를 설명하는 부분 넣어보기
 +
 
 +
 
 +
 
 +
 
 +
[[분류: KU 디지털인문학입문 2025]]
 +
[[분류: KU조영은]]

2025년 3월 25일 (화) 14:32 기준 최신판


폰트 진짜 못생겼네요

진짜 못생김

가독성이 좋은 폰트

맑은고딕

  1. 맑은 고딕의 역사 [1]
시간정보 내용
1980년 한글이 기본 폰트로 맑은 고딕을 사용함.
1988년 파워포인트가 폰트에 맑은 고딕을 추가함.
1990년 파워포인트가 기본 폰트로 맑은 고딕을 사용함.
2000년~ 많은 사람들이 맑은 고딕을 사용하고 있음
    • 맑은 고딕 이름의 유래
      • 맑은 고딕의 개발 과정

바탕체

가독성이 구린 폰트

궁서체


궁서체는 진지한 느낌을 주는 폰트로, 나 지금 진지하다=궁서하다라는 표현으로 쓰이곤 했다. [1]

주석

  1. 이동 조영은, 내 뇌피셜


폰트의 활용

메모

출처 표기 하기 중요 웹에서 볼 수 있는 건 꼭 인베드 하기 외부 링크 넣어서 사극 하니까 역사적 배경 섹션 넣어보기 네이버나 유튜브 사극에 등장인물에 대한 역할적인 요소? 를 설명하는 부분 넣어보기

커피 브랜드와 브랜드 폰트 사용
브랜드 폰트이름 영어/한글 브랜드 평판 순위 (2025) 비고
스타벅스 스타벅스체 영어 1위 굿즈 사업 활용
빽다방 빽다방체 한글 2위 -
메가커피 메가커피체 영어/한글 3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