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2019-B"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 Hop Network)
 
(같은 사용자에 의한 1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4번째 줄: 4번째 줄:
  
 
==큐레이션 개요==
 
==큐레이션 개요==
현대인들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 중의 하나가 바로 미용이다. 각종 매체를 통해 다양한 미용법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얼굴과 머리를 매만진다. 상황과 장소에 따라 미용은 달라지기도 하고 이를 살펴보면 사회문화를 접할 수 있다. 이 큐레이션은 과거를 살아갔던 사람들의 머리모양과 장식을 소개함으로써 당시 생활상의 일면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번 큐레이션에서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상대적으로 많은 조선시대로 범위를 특정하고 또한 미용에는 남녀의 구분이 없으나, 자료의 통일성을 위해 여성을 위주로 소개하기로 한다. 조선시대는 신분사회였기 때문에 신분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엄격히 구분지어 옷을 입고 머리를 꾸몄다. 이는 그림 속에도 그대로 남겨졌고, 우리는 이를 통해 신분에 따라 어떤 머리모양과 장식을 할 수 있었는지 살펴 볼 수 있다.
+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부분 중 하나로 미용을 꼽을 수 있다.
  
 +
지금도 각종 매체를 통해 다양한 미용법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꾸미고 가다듬는다.
  
* 상위계층의 의례행사와 서민들의 일상생활에서 볼 있는 머리모양과 장식의 차이
+
상황과 장소에 따라 모양새는 달라지기도 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그 사회문화의 한 측면을 접할 있다.
* 같은 상황 안에서도 지위와 나이에 따른 차이
+
 
* 당시 여성들은 주로 어떤 생활을 하였는지
+
이번 큐레이션은 과거를 살아갔던 사람들의 머리모양과 장식을 소개함으로써 당시 생활상의 일면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시각자료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회화작품을 가져와 보았으며, 그 중 가장 많은 비율의 작품 수를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화와 풍속화로 선정하였다.
 +
 
 +
그리고 미용에는 남녀의 구분이 없으나, 연구 자료의 통일성을 위해 여성을 위주로 소개한다.
 +
조선시대는 신분사회였고 그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엄격히 구분지어 옷을 입고 머리를 꾸몄다. 이는 그림 속에도 그대로 묘사되어 남겨졌고, 우리는 이를 통해 당시 사회에서는 누가 어디에서 어떤 머리모양과 장식을 할 수 있었는지 살펴 볼 수 있다.
  
 
==대상 유물==
 
==대상 유물==
114번째 줄: 118번째 줄:
 
<p><img src="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72/PS01001001017-003469-000-0001.jpg" height=60 /> <a h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169">숙종이 신하들에게 베푼 경로잔치를 그린 책 己亥耆社帖</a> </p>
 
<p><img src="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72/PS01001001017-003469-000-0001.jpg" height=60 /> <a href="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169">숙종이 신하들에게 베푼 경로잔치를 그린 책 己亥耆社帖</a> </p>
 
</html>
 
</html>
 +
 
<pre>
 
<pre>
 
select '<p><img src="'+iconUrl+'" height=60 />', '<a href="'+infoUrl+'">'+label+' '+hanja+'</a>', '</p>' from hskimData
 
select '<p><img src="'+iconUrl+'" height=60 />', '<a href="'+infoUrl+'">'+label+' '+hanja+'</a>', '</p>' from hskimData
119번째 줄: 124번째 줄:
 
</pre>
 
</pre>
  
==Query==
 
{{SemanticQuery | db=s_seung | project=khs | key=가리마}}
 
  
===2 Hop Network===
+
==Query1==
{{SemanticNetwork | db=s_seung | project=khs | key=큰머리}}
+
{{SemanticQuery | db=s_seung | project=khs | key=가리마}}
 
+
{{SemanticNetwork | db=s_seung | project=khs | key=족두리}}
+
  
 
==2 Hop Network==
 
==2 Hop Network==
{{SemanticNetwork2 | db=s_seung | project=khs | key=홍개}}
+
{{SemanticNetwork2 | db=s_seung | project=khs | key=광주리}}
  
 
==참고자료==
 
==참고자료==
143번째 줄: 144번째 줄:
 
* [http://210.95.200.119/100_ncktpa/400_Book/110812/15.pdf 편집부, 「『악학궤범』의 영조척 척도 환산자료]」, 『국악원논문집』 제15권, 국립국악원, 2003, 137-168쪽.]
 
* [http://210.95.200.119/100_ncktpa/400_Book/110812/15.pdf 편집부, 「『악학궤범』의 영조척 척도 환산자료]」, 『국악원논문집』 제15권, 국립국악원, 2003, 137-168쪽.]
 
* [http://museum.dankook.ac.kr/web/museum/-28?p_p_id=Bbs_WAR_bbsportlet&p_p_lifecycle=2&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acheability=cacheLevelPage&p_p_col_id=column-2&p_p_col_count=1&_Bbs_WAR_bbsportlet_extFileId=107824 황진영,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한국복식』 제4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2018.]
 
* [http://museum.dankook.ac.kr/web/museum/-28?p_p_id=Bbs_WAR_bbsportlet&p_p_lifecycle=2&p_p_state=normal&p_p_mode=view&p_p_cacheability=cacheLevelPage&p_p_col_id=column-2&p_p_col_count=1&_Bbs_WAR_bbsportlet_extFileId=107824 황진영, 「조선후기 궁녀복식에 관한 고찰」, 『한국복식』 제40호,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2018.]
 +
 +
 +
[[분류:김현승]]

2024년 9월 3일 (화) 17:05 기준 최신판

풍속화에 그려진 머리 꾸밈

김현승, 인문정보학 전공

큐레이션 개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부분 중 하나로 미용을 꼽을 수 있다.

지금도 각종 매체를 통해 다양한 미용법이 공유되고 있고, 사람들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꾸미고 가다듬는다.

상황과 장소에 따라 모양새는 달라지기도 하는데 이를 살펴보면 그 사회문화의 한 측면을 접할 수 있다.

이번 큐레이션은 과거를 살아갔던 사람들의 머리모양과 장식을 소개함으로써 당시 생활상의 일면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한 시각자료로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회화작품을 가져와 보았으며, 그 중 가장 많은 비율의 작품 수를 가지고 있는 조선시대의 기록화와 풍속화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미용에는 남녀의 구분이 없으나, 연구 자료의 통일성을 위해 여성을 위주로 소개한다. 조선시대는 신분사회였고 그에 따라, 또는 상황에 따라 엄격히 구분지어 옷을 입고 머리를 꾸몄다. 이는 그림 속에도 그대로 묘사되어 남겨졌고, 우리는 이를 통해 당시 사회에서는 누가 어디에서 어떤 머리모양과 장식을 할 수 있었는지 살펴 볼 수 있다.

대상 유물

성협이 그린 풍속화첩 成夾 筆 風俗畵帖

동래부에 도착한 일본 사신 맞이 東萊府使接倭使圖

김홍도의 풍속화첩 風俗畫帖

사람의 일생 平生圖

효자도 鄭弘來筆孝子圖

운낭자상 雲娘子肖像

무신년의 궁중잔치 戊申年進饌圖

그네 타는 여인들 鞦韆圖

풍속화 風俗圖

농사와 누에치기 耕織圖

정조의 현륭원 행차 華城陵幸圖

NULL

NULL

NULL

NULL

NULL

연못가의 여인, 《여속도첩》 蓮塘女人, 《女俗圖帖》

거리의 판결,《행려풍속도병》 醉中訟事,《行旅風俗圖屛》

길가 대장간,《행려풍속도병》 路邊冶鑪,《行旅風俗圖屛》

어물장수,《행려풍속도병》 賣鹽婆行,《行旅風俗圖屛》

타작,《행려풍속도병》 打稻樂趣,《行旅風俗圖屛》

노상풍정,《행려풍속도병》 路上風情,《行旅風俗圖屛》

훔쳐보기,《행려풍속도병》 破鞍興趣,《行旅風俗圖屛》

무신년의 궁중 잔치 戊申進饌圖屛

풍속도 金弘道筆風俗圖

사람의 일생 平生圖

현명한 왕비들 李齊賢筆賢后實跡圖

어질고 현숙한 왕비들 列朝賢后圖

경직도 耕織圖

NULL

풍속화 成世昌筆風俗圖

곽분양의 즐거운 잔치 郭汾陽行樂圖

검을 차고 있는 아름다운 여인 佩劍美人圖

누숙경직도 樓璹耕織圖

서원에서의 아취 넘치는 모임 西園雅集圖

함경도 지방의 과거 시험 北塞宣恩圖

풍속도첩 風俗圖帖

숙종의 명으로 그린 농사짓기와 누에치기 肅宗御題蠶織圖

사람의 일생 平生圖

궁궐의 여인 仕女圖

모당 홍이상공의 일생 募堂洪履相公平生圖

대동강에서 벌어지고 있는 환영 잔치 月夜船遊圖

영조의 기로소에 들어감으 기념한 그림 耆社慶會帖

정해년의 궁중잔치 丁亥進饌圖

혼인 60주년 기념 잔치 回婚禮圖

신임 관리의 행차 安陵新迎圖

대쾌도 大快圖

서원에서의 아취 넘치는 모임 西園雅集圖

복사꽃마을 桃源洞天圖

다섯그루의 버드나무가 있는 집으로 돌아오다 五柳歸莊圖

기로소 친목모임 耆英會圖

봄날이여 영원하라 四時長春

임금의 궤장 하사를 기념하고 기로회를 축하하는 그림 賜几杖宴兼耆老會圖

기로회(耆老會)를 열고 모은 시 계첩(稧帖) 梨園耆老會契帖

호조낭관계회도 戶曹郎官契會圖

연정계회도 蓮亭契會圖

담와 홍계희의 일생 淡窩 洪啓禧 平生圖

풍속화 風俗圖

기축년의 궁중 잔치 純祖御極30年進饌圖

행실도 십곡 병풍 行實圖十曲屛風

NULL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52. 이시베 東海道五十三次-石部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54. 오츠 東海道五十三次-大津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17. 유이 東海道五十三次-由井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07. 후지사와 東海道五十三次-藤沢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20. 후츄 東海道五十三次-府中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51. 미나구치 東海道五十三次-水口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41. 나루미 東海道五十三次-鳴海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27. 카케가와 東海道五十三次-掛川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03. 가와사키 東海道五十三次-川崎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21. 마리코 東海道五十三次-鞠子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22. 오카베 東海道五十三次-岡部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28. 후쿠로이 東海道五十三次-袋井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14. 하라 東海道五十三次-原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34. 후타가와 東海道五十三次-二川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06. 토츠카 東海道五十三次-戶塚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30. 하마마츠 東海道五十三次-浜松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55. 게이시(도착지) 東海道五十三次-京師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37. 아카사카 東海道五十三次-赤阪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풍경 - 36. 고유 東海道五十三次-御油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32. 아라이 国貞, 東海道五十三對-《荒井》 旅日記を持つ女。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30. 하마마츠 国芳, 東海道五十三對-《浜松》 平重衡と池田の宿で伽に出る熊野侍従。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33. 시라스카 広重, 東海道五十三對-《白須賀》 女谷之伝。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16. 칸바라 国芳, 東海道五十三對-《蒲原》 六本松の古事。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28. 후쿠로이 国貞, 東海道五十三對-《袋井》 桜が池の由来。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29. 미츠케 国芳, 東海道五十三對-《見付》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37. 아카사카 広重, 東海道五十三對-《赤坂》 太政大臣・師長が弾く琵琶にあわせて唄う美女。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35. 요시다 国貞, 東海道五十三對-《吉田》 二階から旅人を招く宿の女。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34. 후타가와 広重, 東海道五十三對-《二川》 膝栗毛の弥二さん、北八さん。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22. 오카베 国芳, 東海道五十三對-《岡部》 老女に化けた老山猫。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42. 미야 国貞, 東海道五十三對-《宮》 反魂塚。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17. 유이 国芳, 東海道五十三對-《由井》 汐を汲み、鮑をとって生業とする賎の女。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04. 카나가와 国貞, 東海道五十三對-《神奈川》 浦島太郎の物語。

동해가도 53 경유지의 이야기 - 05. 호도가야 国芳, 東海道五十三對-《保土ヶ谷》 新田義興の謀殺を由良兵庫に報ずる篠塚八郎。

미인도 美人圖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화첩 源氏物語畫帖

궁중의 여인들 仕女圖

사녀도 仕女圖

미나모토 요시쓰네와 여덟 덴구를 만난 벤케이 歌川国芳筆 浮世繪

숙종이 신하들에게 베푼 경로잔치를 그린 책 己亥耆社帖

select '<p><img src="'+iconUrl+'" height=60 />', '<a href="'+infoUrl+'">'+label+' '+hanja+'</a>', '</p>' from hskimData
where class='MuseumObject'


Query1


2 Hop Network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