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201C.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ynopsis) |
(→Synopsis)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현재 이 일대의 지형은 완전히 바뀌고 김상용 집의 여러 건물이 사라졌지만, 어느 주택 앞에 ‘백세청풍’(영원한 맑은 바람)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바위가 남아있다. | 현재 이 일대의 지형은 완전히 바뀌고 김상용 집의 여러 건물이 사라졌지만, 어느 주택 앞에 ‘백세청풍’(영원한 맑은 바람)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바위가 남아있다. | ||
− | 그러나 우리는 권신응이 그린 《청풍계》를 통해 김상용의 집을 세세하게 엿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작품 안에 건물의 이름과 바위에 새겨진 글자를 적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림의 맨 위 능선에는 ‘인왕산’이란 글씨가, 그 아래 바위엔 ‘백세청풍’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권신응의 그림을 보면, 백세청풍 바위 바로 아래 건물의 용마루 위엔 ‘선원영당’(仙源影堂)이란 글씨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선원은 김상용의 호이고, 영당은 ‘초상화(영정)를 모신 사당’이다. 다시 말해 이 건물엔 김상용의 초상화가 모셔져 있었던 것이다. 현재까지 전하는 바로 그 초상화인 듯하다. 이 선원영당의 마당쯤에 ‘늠연당’(凜然堂)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이것은 선원영당의 이름으로 옛 문헌엔 ‘늠연사’라고도 쓰여 있다. ‘늠연’이란 위엄이 있고 당당하다는 뜻이다. 병자호란 때인 1637년 왕족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란 갔다가 청군이 밀려오자 자결한 김상용의 꿋꿋한 정신을 기린 표현이다. 늠연당의 아래쪽 시냇가(청풍계) 오른쪽엔 짚으로 지붕을 올린 정자가 하나 서 있고, 그 지붕 위에 ‘태고정’(太古亭)이라고 적혀 있다. 태고정은 청풍계의 건물 가운데 가장 소박하지만, 김상용 집 전체의 중심 공간으로 김상용 집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 김상용 집은 조선 후기 서인의 중심 공간이었고, 그 집의 중심 공간이 태고정이다. 그래서 태고정에는 서인 노론 계열의 대신과 명사들만 방문할 수 있었다. | + | 그러나 우리는 권신응이 그린 《청풍계》를 통해 김상용의 집을 세세하게 엿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작품 안에 건물의 이름과 바위에 새겨진 글자를 적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림의 맨 위 능선에는 ‘인왕산’이란 글씨가, 그 아래 바위엔 ‘백세청풍’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권신응의 그림을 보면, 백세청풍 바위 바로 아래 건물의 용마루 위엔 ‘선원영당’(仙源影堂)이란 글씨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선원은 김상용의 호이고, 영당은 ‘초상화(영정)를 모신 사당’이다. 다시 말해 이 건물엔 김상용의 초상화가 모셔져 있었던 것이다. 현재까지 전하는 바로 그 초상화인 듯하다. 이 선원영당의 마당쯤에 ‘늠연당’(凜然堂)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이것은 선원영당의 이름으로 옛 문헌엔 ‘늠연사’라고도 쓰여 있다. ‘늠연’이란 위엄이 있고 당당하다는 뜻이다. 병자호란 때인 1637년 왕족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란 갔다가 청군이 밀려오자 자결한 김상용의 꿋꿋한 정신을 기린 표현이다. 늠연당의 아래쪽 시냇가(청풍계) 오른쪽엔 짚으로 지붕을 올린 정자가 하나 서 있고, 그 지붕 위에 ‘태고정’(太古亭)이라고 적혀 있다. 태고정은 청풍계의 건물 가운데 가장 소박하지만, 김상용 집 전체의 중심 공간으로 김상용 집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 김상용 집은 조선 후기 서인의 중심 공간이었고, 그 집의 중심 공간이 태고정이다. 그래서 태고정에는 서인 노론 계열의 대신과 명사들만 방문할 수 있었다. 정조(정조 14년 1790년 2월 28일), 순조(순조 28년 1828년 3월 13일)도 이곳을 찾았다. |
태고정 오른쪽에는 3개의 네모난 연못이 있는데, 맨 위는 ‘조심지(照心池)’(마음을 비추는 연못), 그 아래는‘함벽지(涵璧池)’(옥을 적시는 연못)로, 인재를 가르치는 연못이라는 뜻이다. 맨 아래 ‘척금지(滌衿池)’는 ‘옷고름을 씻는 연못’으로, 새사람으로 만든다는 뜻이다.<ref>(이성현,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들녘)</ref> 이 세 연못의 오른쪽에 청풍지각(靑楓池閣 또는 淸風池閣)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있다. 권신응의 그림에도 이 건물 이름은 적혀 있지 않은데, 1766년 김양근이 지은 책 <풍계집승기>(楓溪集勝記)에서 함벽지 옆에 청풍지각이 있다고 한 것으로 미뤄 알 수 있다. <ref>최완수, 『겸재의 한양 진경』, 동아일보사</ref> 이 청풍지각은 김상용 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건물로 정선의 《청풍계도(淸風溪圖)》와 《청풍계지각(淸風溪池閣)》 등에 그려져 있다. | 태고정 오른쪽에는 3개의 네모난 연못이 있는데, 맨 위는 ‘조심지(照心池)’(마음을 비추는 연못), 그 아래는‘함벽지(涵璧池)’(옥을 적시는 연못)로, 인재를 가르치는 연못이라는 뜻이다. 맨 아래 ‘척금지(滌衿池)’는 ‘옷고름을 씻는 연못’으로, 새사람으로 만든다는 뜻이다.<ref>(이성현,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들녘)</ref> 이 세 연못의 오른쪽에 청풍지각(靑楓池閣 또는 淸風池閣)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있다. 권신응의 그림에도 이 건물 이름은 적혀 있지 않은데, 1766년 김양근이 지은 책 <풍계집승기>(楓溪集勝記)에서 함벽지 옆에 청풍지각이 있다고 한 것으로 미뤄 알 수 있다. <ref>최완수, 『겸재의 한양 진경』, 동아일보사</ref> 이 청풍지각은 김상용 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건물로 정선의 《청풍계도(淸風溪圖)》와 《청풍계지각(淸風溪池閣)》 등에 그려져 있다. |
2022년 4월 26일 (화) 13:52 판
#Links E0-201C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E0-201C 청풍계 hasContextualElement E0-201C 김상용_집터 hasContextualElement E0-201C 청풍계_백세청풍 hasContextualElement E0-201C 정선-청풍계도1 hasContextualElement E0-201C 정선-청풍계도2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맑은 바람이 부는 청풍계
Synopsis
현재 서울 종로구 청운동 52번지 일대인 청풍계는 조선 때 인왕산의 명승지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이 청풍계에는 김상용(金尙容)의 집터가 있다. 김상용과 그 동생 김상헌은 조선 후기의 최대 권력 가문인 장동 김씨(신안동 김씨 가운데 서울 서촌에 살았던 일파)의 시조이다. 김상용은 병자호란 때 결사항전을 주장하며 강화도에서 자결했고, 동생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은 남한산성에서 항복을 거부했다. 김상용의 자결은 인조실록(인조 15년 1637년 1월)에도 기술[1]되어 있을만큼 당시 최고의 충절을 보였고, 훗날 인조가 김상용을 충신으로 인정하면서 장동김씨의 가세는 강해졌다. 덕분에 청풍계는 (율곡학파) 노론(서인 중 송시열학파)의 성지가 되어 청풍계는 충절을 상징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공간이 되었다.
현재 이 일대의 지형은 완전히 바뀌고 김상용 집의 여러 건물이 사라졌지만, 어느 주택 앞에 ‘백세청풍’(영원한 맑은 바람)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바위가 남아있다. 그러나 우리는 권신응이 그린 《청풍계》를 통해 김상용의 집을 세세하게 엿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작품 안에 건물의 이름과 바위에 새겨진 글자를 적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림의 맨 위 능선에는 ‘인왕산’이란 글씨가, 그 아래 바위엔 ‘백세청풍’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권신응의 그림을 보면, 백세청풍 바위 바로 아래 건물의 용마루 위엔 ‘선원영당’(仙源影堂)이란 글씨가 희미하게 쓰여 있다. 선원은 김상용의 호이고, 영당은 ‘초상화(영정)를 모신 사당’이다. 다시 말해 이 건물엔 김상용의 초상화가 모셔져 있었던 것이다. 현재까지 전하는 바로 그 초상화인 듯하다. 이 선원영당의 마당쯤에 ‘늠연당’(凜然堂)이란 글씨가 적혀 있다. 이것은 선원영당의 이름으로 옛 문헌엔 ‘늠연사’라고도 쓰여 있다. ‘늠연’이란 위엄이 있고 당당하다는 뜻이다. 병자호란 때인 1637년 왕족을 모시고 강화도로 피란 갔다가 청군이 밀려오자 자결한 김상용의 꿋꿋한 정신을 기린 표현이다. 늠연당의 아래쪽 시냇가(청풍계) 오른쪽엔 짚으로 지붕을 올린 정자가 하나 서 있고, 그 지붕 위에 ‘태고정’(太古亭)이라고 적혀 있다. 태고정은 청풍계의 건물 가운데 가장 소박하지만, 김상용 집 전체의 중심 공간으로 김상용 집 자체를 말하기도 한다. 김상용 집은 조선 후기 서인의 중심 공간이었고, 그 집의 중심 공간이 태고정이다. 그래서 태고정에는 서인 노론 계열의 대신과 명사들만 방문할 수 있었다. 정조(정조 14년 1790년 2월 28일), 순조(순조 28년 1828년 3월 13일)도 이곳을 찾았다.
태고정 오른쪽에는 3개의 네모난 연못이 있는데, 맨 위는 ‘조심지(照心池)’(마음을 비추는 연못), 그 아래는‘함벽지(涵璧池)’(옥을 적시는 연못)로, 인재를 가르치는 연못이라는 뜻이다. 맨 아래 ‘척금지(滌衿池)’는 ‘옷고름을 씻는 연못’으로, 새사람으로 만든다는 뜻이다.[2] 이 세 연못의 오른쪽에 청풍지각(靑楓池閣 또는 淸風池閣)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있다. 권신응의 그림에도 이 건물 이름은 적혀 있지 않은데, 1766년 김양근이 지은 책 <풍계집승기>(楓溪集勝記)에서 함벽지 옆에 청풍지각이 있다고 한 것으로 미뤄 알 수 있다. [3] 이 청풍지각은 김상용 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건물로 정선의 《청풍계도(淸風溪圖)》와 《청풍계지각(淸風溪池閣)》 등에 그려져 있다.
Storytelling Network
주석
- 이동 ↑ 전 의정부 우의정 김상용(金尙容)이 죽었다. 난리 초기에 김상용이 상(上)의 분부에 따라 먼저 강도(江都)에 들어갔다가 적의 형세가 이미 급박해지자 분사(分司)에 들어가 자결하려고 하였다. 그리고는 성의 남문루(南門樓)에 올라가 앞에 화약(火藥)을 장치한 뒤 좌우를 물러가게 하고 불 속에 뛰어들어 타죽었는데, 그의 손자 한 명과 노복 한 명이 따라 죽었다.(前議政府右議政金尙容死之。 亂初, 尙容因上敎, 先入江都. 及賊勢已迫, 入分司, 將欲自決, 仍上城南門樓, 前置火藥, 麾左右使去, 投火自燒. 其一孫、一僕從死)
- 이동 ↑ (이성현, 『노론의 화가, 겸재 정선』, 들녘)
- 이동 ↑ 최완수, 『겸재의 한양 진경』, 동아일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