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도 1학기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맨틱 아카이브 설계)
 
(같은 사용자에 의한 67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글상자
 
{{글상자
 
|color=#e0efb3
 
|color=#e0efb3
|text=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 2021년 1학기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을 수강한 '''김현승'''의 수업 노트입니다.
+
|text=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 2021년 1학기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을 수강한 '''김현승'''의 수업노트입니다.
 
}}
 
}}
  
7번째 줄: 7번째 줄:
  
 
<center>
 
<center>
<font size="6">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font><ref>이효지·한복려·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19.</ref><br/>
+
<font size="6">정해(丁亥)년 진찬(進饌)</font><br/>
 
</center>
 
</center>
  
==의궤==
+
==연향(宴享)==
의궤란 조선시대에 국가나 왕실에서 거행한 주요 행사를 기록과 그림으로 남긴 보고서 형식의 책이다. 의궤는 의식(儀式)과 궤범(軌範)을 합한 말로 의식의 모범이 되는 책이라는 뜻이다.<br/>
+
조선시대에 왕실에서 베풀어진 잔치를 연향(宴享)이라 하였다. ()은 악()을 뜻하고 향(享)은 헌(獻) 즉 봉상(奉上)한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신하나 빈객을 대접하였다.<ref>이효지·한복려·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조대비 만경전 팔순잔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11쪽.</ref><br/>
조선시대에는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 임시로 그 행사를 맡아 주관하는 임시 관사(官司)인 관청(官廳)을 두어 일을 거행하게 하고 끝난 후에는 다시 의궤청(儀軌廳)을 설치하여 일의 전말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국가에 중요한 행사가 있으면 선왕 때의 사례를 참고하여 거행하는 관례가 있었으므로 국가행사에 관계되는 기록을 의궤로 정리해 둠으로써 후대에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려 했던 것이다.<br/>
+
연향은 설행목적에 따라 나뉘고 종류에 따라 빈례(賓禮)와 가례(嘉禮)에 속하며,<ref>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민속원, 2018, 23쪽.</ref> 연향은 진풍정(進豊呈)·진연(進宴)·진찬(進饌)·진작(進爵) 등 다양하게 불렸다.<ref>김종수, 앞의 책(2018), 31쪽.</ref> 이 용어들은 동시에 같이 존재한 것이 아니었으며, 시차를 두고 생겨났고<ref>김종수, 앞의 책(2018), 43쪽. </ref> 시기에 따라 약간씩 개념이 달리 쓰였다.<ref>김종수, 앞의 책(2018), 370쪽.</ref> 사전적 정의로 보는 잔치의 규모는 진풍정이 가장 크고, 진연, 진찬, 진작의 순으로 작아진다.<ref>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177쪽.</ref><br/>
 +
연향은 또한 내·외연으로 구분된다. 외연은 실질적으로 정치를 주도하는 군신이 주축이 되는 연향으로 왕비나 명부 등 여성이 참여하는 경우가 없고, 내연은 대비·왕·왕비·왕세자·왕세자빈·공주를 포함한 왕실 가족과 봉호를 가진 여성인 명부가 주축이 되는 연향으로 종친·의빈·척신 등의 왕실 친인척까지 참여한다.<ref>김종수, 앞의 책(2018), 71쪽.</ref>
  
==연향과 의궤==
+
==의궤(儀軌)==
조선시대에 왕실에서 베풀어진 잔치를 연향(宴享)이라 하였다. ()은 악()을 뜻하고 향()은 헌() 즉 봉상(奉上)한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신하나 빈객을 대접하였다.<br/>
+
의궤(儀軌)란 조선시대에 국가나 왕실에서 거행한 주요 행사를 기록과 그림으로 남긴 보고서 형식의 책이다. 의궤는 의식(儀式)과 궤범(軌範)을 합한 말로 의식의 모범이 되는 책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 임시로 그 행사를 맡아 주관하는 임시 관사(官司)인 관청(官廳)을 두어 일을 거행하게 하고 끝난 후에는 다시 의궤청(儀軌廳)을 설치하여 일의 전말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국가에 중요한 행사가 있으면 선왕 때의 사례를 참고하여 거행하는 관례가 있었으므로 국가행사에 관계되는 기록을 의궤로 정리해 둠으로써 후대에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려 했던 것이다.<ref>이효지·한복려·정길자, 앞의 책(2009), 10쪽.</ref>
궁중에서 잔치가 열리면 먼저 진연도감이 설치되고 진연도감에서는 행사가 발의되는 과정, 치사와 전문의 시문, 연회 설행 때 소요되는 각종 물목과 연회 참석자의 명단, 악사들과 각 도에서 차출된 기생들의 명단과 이들의 소임에 이르는 제반사항을 상세하게 기록한 의궤를 작성하였다. 이러한 궁중연회는 규모와 내용에 따라 진연의궤·진찬의궤·진작의궤라는 명칭의 책으로 기록되었다. 그리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811 익종(1809~1830)]이 왕세자로 대리청정을 시작한 1827년 이후 1829년의 진찬부터 궁중잔치 의식은 계병(契屛)으로도 제작되었다. 제작된 병풍은 크기별로 따로 만들어 큰 것은 왕실에 바치고 작은 것은 의식에 참여한 관리들에게 포상 형식으로 지급하였다.
+
 
 +
==의궤와 궁중행사도==
 +
궁중행사도는 실제 거행된 의식이나 행사의 광경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19세기의 궁중행사도는 모두 병풍 형식이며, 주제는 궁중연향도와 진하도이다. 이들 도병은 대개 행사 주관처인 잔찬소나 진연청에서 만들었다.<br/>  
 +
의궤와 도병을 함께 살피면 왕실에서 치러진 행사의 전모를 알 수 있다. 글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을 도병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일의 경과나 경비 등 행사의 전말은 해당 의궤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의궤에도 도설과 반차도가 첨부되지만 반차도는 본래 후세의 참고자료로 쓰기 위하여 기록 보존한다는 기능보다는 행사의 준비과정에서 왕이 미리 검토하도록 제작되었던 시각적인 보고서 중의 하나였다.<ref>김소현, 앞의 책(2017), 180쪽.</ref> 따라서 의궤의 문자로 된 기록과 도설, 반차도, 그리고 도병 등을 모두 함께 비교 분석하며 보아야 행사의 전체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다.
 +
 
 +
==《정해진찬도병(丁亥進饌圖屛)》==
 +
[[파일:정해진찬도병(전체)-국립중앙박물관.jpg|500px]]<br/>
 +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56 《정해진찬도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br/>
 +
<br/>
 +
《정해진찬도병》은 1887년(고종 24) 1월 왕대비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366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잔치를 기념하여 경복궁 근정전의 진하와 만경전의 내진찬 등을 그린 것으로 총 10폭으로 구성되어 있다.<ref>이하 도병에 관한 설명은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 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209-213쪽.' 내용을 인용함.</ref>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
 +
|style="width:50px; text-align:center"| '''구성''' ||style="width:110px; text-align:center"| '''장면''' ||style="text-align:center"| '''내용'''
 +
|-
 +
| 제1·2폭 || <center>[[파일:정해진찬도병-제1·2폭-국립중앙박물관.jpg|120px]]<br/>근정전 진하</center> ||
 +
1887년 1월 1일 근정전 진하례를 기록한 것이다.<br/>
 +
근정전을 중심으로 전내 북벽에 남면한 어좌와 승지, 사관 등을 비롯하여 월대 위의 호위관원, 월대 아래 전정에는 대형 돗자리 위에 종친과 문무관원들이 열지어 앉아있고 바깥 좌우와 근정전 문 안쪽으로 시위의장이 호위하고 있다.
 +
|-
 +
| 제3·4폭 || <center>[[파일:정해진찬도병-제3·4폭-국립중앙박물관.jpg|120px]]<br/>만경전 내진찬</center> ||
 +
1월 27일 거행된 만경전 내진찬으로 전내 남면한 조대비의 어좌를 중심으로 서쪽에는 왕비와 세자빈의 자리가 배치되었다. 국왕과 왕세자의 위차는 전 밖에 설치된 덧 마루 동편에 각각 설치되었고, 여성중심의 내진찬이므로 행사에 초대받은 내외명부의 자리는 전 앞에 설치하되 돗자리로 상징화하였다. 종진, 의빈, 척신, 진찬소 당랑들의 자리는 문밖에 별도로 설치하였다.
 +
|-
 +
| 제5·6폭 || <center>[[파일:정해진찬도병-제5·6폭-국립중앙박물관.jpg|120px]]<br/>만경전 야진찬</center> || 만경전 야진찬으로 기본적인 구도는 낮에 행한 진찬연과 동일하나 주인공이 고종과 왕세자이므로 왕대비를 비롯하여 왕비, 세자빈, 내외명부의 자리는 철거된 상태이다. 그러나 여성무용수들은 참여하고 있는 관계로 여전히 외부의 남성악공 등이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발을 철거하지 않았다.
 +
|-
 +
| 제7·8폭 || <center>[[파일:정해진찬도병-제7·8폭-국립중앙박물관.jpg|120px]]<br/>만경전 익일회작</center> || 익일회작연을 기록한 것으로 내외명부의 자리를 덧 마루 서편에 설치하고 진찬소(進饌所) 당랑(堂郞)들의 자리는 문 밖에 설치하였다.  
 +
|-
 +
| 제9폭 || <center>[[파일:정해진찬도병-제9폭-국립중앙박물관.jpg|55px]]<br/>만경전 익일재회작</center> || 익일재회작 모습으로 악사의 수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
|-
 +
| 제10폭 || <center>[[파일:정해진찬도병-제10폭-국립중앙박물관.jpg|55px]]<br/>좌목</center> || 진찬소 당랑 11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
|-
 +
|}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진찬의궤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는 고종 24년(1887년, 정해) 1월 익종비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신정왕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 조대비의 8순을 기념하기 위해 경복궁의 만경전(萬慶殿)에서 열린 궁중연회를 기록한 진찬의궤이다.<br/>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정해진찬의궤 『정해진찬의궤』]는 1887년(고종 24) 1월 익종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기념하여 경복궁 근정전의 진하와 만경전의 내진찬 등 궁중연회를 기록한 진찬의궤이다. 의궤는 전 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은 아래와 같다.<ref>이하 의궤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효지·한복려·정길자, 앞의 책(2019), 18-28쪽.' 내용을 인용함.</ref>
의궤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
  
 
===권수(卷首)===
 
===권수(卷首)===
54번째 줄: 84번째 줄: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713&ref=y&categoryId=62869 문안제신(問安諸臣)]: 진찬에 참연한 여러 신하들의 명단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713&ref=y&categoryId=62869 문안제신(問安諸臣)]: 진찬에 참연한 여러 신하들의 명단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704&ref=y&categoryId=62869 공령(工伶)]: 악공·악사·차비·정재여령·무희 등의 명단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704&ref=y&categoryId=62869 공령(工伶)]: 악공·악사·차비·정재여령·무희 등의 명단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697&ref=y&categoryId=62869 악기풍물(樂器風物)]: 본소에서 새로 마련하거나 수리, 보수하는 악기의 이름, 가격 등의 내용과 악공들의 복색, 의장과 각종 선(扇)에 대한 기록
+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697&ref=y&categoryId=62869 악기풍물 부 정재의물(樂器風物 附 呈才儀物)]: 본소에서 새로 마련하거나 수리, 보수하는 악기의 이름, 가격 등의 내용과 악공들의 복색, 의장과 각종 선(扇)에 대한 기록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695&ref=y&categoryId=62869 상전(賞典)]: 진찬때 당상, 악기를 만들 때 감독 등에게 상을 내리는데 그 명단과 내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695&ref=y&categoryId=62869 상전(賞典)]: 진찬때 당상, 악기를 만들 때 감독 등에게 상을 내리는데 그 명단과 내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703&ref=y&categoryId=62869 재용(財用)]: 연회에 사용된 총 경비의 지출과 한도액을 밝힌 내용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62869&docId=5678703&ref=y&categoryId=62869 재용(財用)]: 연회에 사용된 총 경비의 지출과 한도액을 밝힌 내용
 +
 +
 +
==『정해진찬의궤』 URL 목록==
 +
※ 의궤의 원문은 국립고궁박물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PDF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을 제공하고 있으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는 별도의 뷰어를 통해 원문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아래의 표에 URL 목록 정리)<br/>
 +
번역본은 보고사에서 2008년에 발행한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013551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2009년에 발행한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79768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가 있으며,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발행한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내용은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list.naver?cid=62869&categoryId=62869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에서도 볼 수 있다.
 +
 +
{| class="wikitable" style="width:80%"
 +
|style="width:5%; text-align:center"| '''no''' ||style="text-align:center"| '''소장처''' ||style="text-align:center"| '''유물번호/청구기호''' ||style="text-align:center"| '''서명''' ||style="text-align:center"| '''url'''
 +
|-
 +
| 1 || 국립고궁박물관 || 고궁2759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s://www.gogung.go.kr/joseonRecordsHeritageView.do?bbsSeq=6022
 +
|-
 +
| 2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K2-2876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6
 +
|-
 +
| 3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K2-2877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7
 +
|-
 +
| 4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04-v.1-3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4_00
 +
|-
 +
| 5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05-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5_00
 +
|-
 +
| 6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06-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6_00
 +
|-
 +
| 7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07-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7_00
 +
|-
 +
| 8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08-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8_00
 +
|-
 +
| 9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09-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9_00
 +
|-
 +
| 10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0-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0_00
 +
|-
 +
| 11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1-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1_00
 +
|-
 +
| 12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2-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2_00
 +
|-
 +
| 13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3-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3_00
 +
|-
 +
| 14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4-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4_00
 +
|-
 +
| 15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5-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5_00
 +
|-
 +
| 16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6-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6_00
 +
|-
 +
| 17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7-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7_00
 +
|-
 +
| 18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8-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8_00
 +
|-
 +
| 19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19-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9_00
 +
|-
 +
| 20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0-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0_00
 +
|-
 +
| 21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1-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1_00
 +
|-
 +
| 22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2-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2_00
 +
|-
 +
| 23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3-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3_00
 +
|-
 +
| 24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4-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4_00
 +
|-
 +
| 25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5-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5_00
 +
|-
 +
| 26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6-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6_00
 +
|-
 +
| 27 ||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奎14427-v.1-4 ||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7_00
 +
|-
 +
|}
  
 
==시맨틱 아카이브 설계==
 
==시맨틱 아카이브 설계==
72번째 줄: 166번째 줄:
 
</html>
 
</html>
  
===정해년진찬 정재여령 복장 지식 관계망===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편찬항목:김현승 편찬항목:김현승]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복식_3D_Model_List 복식 3D Model List]
 +
*[http://dh.aks.ac.kr/hanyang/wiki/index.php/복식_3D_Model_제작과정 복식 3D Model 제작과정]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현승]]
 +
*[[정해진찬의궤 복식.lst]]
 +
 
 +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복식.lst}}
 +
 
 +
===연습===
 +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설계
 
<html>
 
<html>
<iframe width="96%" height="8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3&project=hanyang&key=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iframe>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_설계.lst&direction=UD'">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hanyang3&project=hanyang&key=정해년진찬_정재여령복장'">  
+
 
</html>
 
</html>
 +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_설계.lst]]
 +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_설계.lst | direction=UD}}
  
  
----
+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
<html>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cgi-bin/wikiGraph2.py?account=edu&script=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direction=UD'">
 +
</html>
 +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
{{NetworkGraph | title=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 direction=UD}}
  
 +
==참고문헌==
 
<references/>
 
<references/>
 +
 +
[[분류:김현승]]

2022년 3월 3일 (목) 09:13 기준 최신판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과정 2021년 1학기 수업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을 수강한 김현승의 수업노트입니다.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김현승

정해(丁亥)년 진찬(進饌)

연향(宴享)

조선시대에 왕실에서 베풀어진 잔치를 연향(宴享)이라 하였다. 연(宴)은 악(樂)을 뜻하고 향(享)은 헌(獻) 즉 봉상(奉上)한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준비하고 풍악을 울려 신하나 빈객을 대접하였다.[1]
연향은 설행목적에 따라 나뉘고 종류에 따라 빈례(賓禮)와 가례(嘉禮)에 속하며,[2] 연향은 진풍정(進豊呈)·진연(進宴)·진찬(進饌)·진작(進爵) 등 다양하게 불렸다.[3] 이 용어들은 동시에 같이 존재한 것이 아니었으며, 시차를 두고 생겨났고[4] 시기에 따라 약간씩 개념이 달리 쓰였다.[5] 사전적 정의로 보는 잔치의 규모는 진풍정이 가장 크고, 진연, 진찬, 진작의 순으로 작아진다.[6]
연향은 또한 내·외연으로 구분된다. 외연은 실질적으로 정치를 주도하는 군신이 주축이 되는 연향으로 왕비나 명부 등 여성이 참여하는 경우가 없고, 내연은 대비·왕·왕비·왕세자·왕세자빈·공주를 포함한 왕실 가족과 봉호를 가진 여성인 명부가 주축이 되는 연향으로 종친·의빈·척신 등의 왕실 친인척까지 참여한다.[7]

의궤(儀軌)

의궤(儀軌)란 조선시대에 국가나 왕실에서 거행한 주요 행사를 기록과 그림으로 남긴 보고서 형식의 책이다. 의궤는 의식(儀式)과 궤범(軌範)을 합한 말로 의식의 모범이 되는 책이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는 나라에 큰 일이 있을 때 임시로 그 행사를 맡아 주관하는 임시 관사(官司)인 관청(官廳)을 두어 일을 거행하게 하고 끝난 후에는 다시 의궤청(儀軌廳)을 설치하여 일의 전말을 자세히 기록하였다. 국가에 중요한 행사가 있으면 선왕 때의 사례를 참고하여 거행하는 관례가 있었으므로 국가행사에 관계되는 기록을 의궤로 정리해 둠으로써 후대에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려 했던 것이다.[8]

의궤와 궁중행사도

궁중행사도는 실제 거행된 의식이나 행사의 광경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다. 현재 남아있는 19세기의 궁중행사도는 모두 병풍 형식이며, 주제는 궁중연향도와 진하도이다. 이들 도병은 대개 행사 주관처인 잔찬소나 진연청에서 만들었다.
의궤와 도병을 함께 살피면 왕실에서 치러진 행사의 전모를 알 수 있다. 글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을 도병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일의 경과나 경비 등 행사의 전말은 해당 의궤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의궤에도 도설과 반차도가 첨부되지만 반차도는 본래 후세의 참고자료로 쓰기 위하여 기록 보존한다는 기능보다는 행사의 준비과정에서 왕이 미리 검토하도록 제작되었던 시각적인 보고서 중의 하나였다.[9] 따라서 의궤의 문자로 된 기록과 도설, 반차도, 그리고 도병 등을 모두 함께 비교 분석하며 보아야 행사의 전체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정해진찬도병(丁亥進饌圖屛)》

정해진찬도병(전체)-국립중앙박물관.jpg
《정해진찬도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해진찬도병》은 1887년(고종 24) 1월 왕대비인 신정왕후(1808~1890)의 팔순잔치를 기념하여 경복궁 근정전의 진하와 만경전의 내진찬 등을 그린 것으로 총 10폭으로 구성되어 있다.[10]

구성 장면 내용
제1·2폭
정해진찬도병-제1·2폭-국립중앙박물관.jpg
근정전 진하

1887년 1월 1일 근정전 진하례를 기록한 것이다.
근정전을 중심으로 전내 북벽에 남면한 어좌와 승지, 사관 등을 비롯하여 월대 위의 호위관원, 월대 아래 전정에는 대형 돗자리 위에 종친과 문무관원들이 열지어 앉아있고 바깥 좌우와 근정전 문 안쪽으로 시위의장이 호위하고 있다.

제3·4폭
정해진찬도병-제3·4폭-국립중앙박물관.jpg
만경전 내진찬

1월 27일 거행된 만경전 내진찬으로 전내 남면한 조대비의 어좌를 중심으로 서쪽에는 왕비와 세자빈의 자리가 배치되었다. 국왕과 왕세자의 위차는 전 밖에 설치된 덧 마루 동편에 각각 설치되었고, 여성중심의 내진찬이므로 행사에 초대받은 내외명부의 자리는 전 앞에 설치하되 돗자리로 상징화하였다. 종진, 의빈, 척신, 진찬소 당랑들의 자리는 문밖에 별도로 설치하였다.

제5·6폭
정해진찬도병-제5·6폭-국립중앙박물관.jpg
만경전 야진찬
만경전 야진찬으로 기본적인 구도는 낮에 행한 진찬연과 동일하나 주인공이 고종과 왕세자이므로 왕대비를 비롯하여 왕비, 세자빈, 내외명부의 자리는 철거된 상태이다. 그러나 여성무용수들은 참여하고 있는 관계로 여전히 외부의 남성악공 등이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도록 발을 철거하지 않았다.
제7·8폭
정해진찬도병-제7·8폭-국립중앙박물관.jpg
만경전 익일회작
익일회작연을 기록한 것으로 내외명부의 자리를 덧 마루 서편에 설치하고 진찬소(進饌所) 당랑(堂郞)들의 자리는 문 밖에 설치하였다.
제9폭
정해진찬도병-제9폭-국립중앙박물관.jpg
만경전 익일재회작
익일재회작 모습으로 악사의 수가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제10폭
정해진찬도병-제10폭-국립중앙박물관.jpg
좌목
진찬소 당랑 11명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정해진찬의궤』는 1887년(고종 24) 1월 익종비 신정왕후의 팔순을 기념하여 경복궁 근정전의 진하와 만경전의 내진찬 등 궁중연회를 기록한 진찬의궤이다. 의궤는 전 4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은 아래와 같다.[11]

권수(卷首)

  • 택일(擇日): 연회일을 정함
  • 좌목(座目): 연회행사의 총지휘관을 비롯한 각급 지휘관과 말단의 사령까지의 명단
  • 도식(圖式): 연회의 순서와 참가자들의 위치를 그린 진찬 반차도, 노래와 춤을 즐기며 술을 마시는 순서를 그린 회작 반차도, 밤에 열린 잔치를 그린 야연 반차도, 노래하고 춤추는 모습을 그린 진찬도, 회작도·야연도·정재도·채화도·악기도·복식도 등을 그린 것

권1(卷一)

  • 전교(傳敎): 왕의 명령이나 의사의 전달
  • 연설(筵說): 연회의 준비과정에 대한 왕의 여러 가지 물음과 신하들의 대답
  • 악장(樂章): 연회석에서 연주하는 음악의 가사
  • 치사(致詞): 왕·왕비·왕세자·종친·의빈·척신·당상관 등이 경사를 칭송하여 올린 글
  • 전문(箋文): 왕과 왕세자 등이 연회의 주인공의 수(壽)하심을 축하하여 올리는 글
  • 의주(儀註): 연회의 전례(典禮)에 관한 구성·배치·진행절차 등을 자세히 주해(註解)하여 기록한 것
  • 사목(事目): 연회의 주관부서들이 담당한 업무를 밝힌 규정
  • 계목(啓目): 왕에게 보여 드리는 각종 물자·찬품·그릇 등을 밝힌 목록
  • 계사(啓辭): 연회 주무기관의 지휘관인 당상관들이 왕에게 올리는 글
  • 이문(移文): 직급이 비슷한 관아 사이에 왕래하는 공문서
  • 내관(來關): 경향 각지의 관찰사 등 상급 또는 동급 관청으로부터 진연청에 보내온 공문

권2(卷二)

  • 품목(稟目): 행사 준비를 위하여 품신한 글, 주로 행사에 쓴 물자와 비용을 용도별로 자세히 기록함
  • 감결(甘結): 진연청에서 하급 관청에 보낸 글
  • 찬품(饌品): 정일 진찬·야진찬·익일 회작 등 대연회 때의 식단과 그밖의 종사원들에게 제공된 식단 기록(채화(綵花)도 부록하였다.)
  • 기용(器用): 연회에 사용된 각종 그릇과 비품

권3(卷三)

  • 수리(修理): 연회를 설행하는 장소의 수리 내역과 숙설소 설치 등에 대한 기록
  • 배설(排設): 연회에 사용되는 모든 장식과 비품을 어디에 어떻게 설치하였는가를 밝힌 것
  • 의장(儀仗): 의식을 갖추어 나갈 때 쓰는 연회용 의장도구
  • 의위(儀衛): 의식을 장엄하게 하기 위하여 참연하는 상궁·집사·상의·상관·상식·사찬·차비 등 정해진 복색을 하고 호위하는 남녀인원
  • 내외빈(內外賓): 진찬에 참연하는 내빈과 외빈의 명단
  • 문안제신(問安諸臣): 진찬에 참연한 여러 신하들의 명단
  • 공령(工伶): 악공·악사·차비·정재여령·무희 등의 명단
  • 악기풍물 부 정재의물(樂器風物 附 呈才儀物): 본소에서 새로 마련하거나 수리, 보수하는 악기의 이름, 가격 등의 내용과 악공들의 복색, 의장과 각종 선(扇)에 대한 기록
  • 상전(賞典): 진찬때 당상, 악기를 만들 때 감독 등에게 상을 내리는데 그 명단과 내용
  • 재용(財用): 연회에 사용된 총 경비의 지출과 한도액을 밝힌 내용


『정해진찬의궤』 URL 목록

※ 의궤의 원문은 국립고궁박물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PDF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을 제공하고 있으며,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서는 별도의 뷰어를 통해 원문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아래의 표에 URL 목록 정리)
번역본은 보고사에서 2008년에 발행한 『국역 고종정해진찬의궤』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2009년에 발행한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가 있으며,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발행한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내용은 Naver 지식백과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에서도 볼 수 있다.

no 소장처 유물번호/청구기호 서명 url
1 국립고궁박물관 고궁2759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s://www.gogung.go.kr/joseonRecordsHeritageView.do?bbsSeq=6022
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76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6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877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jsg.aks.ac.kr/dir/view?catePath=&dataId=JSG_K2-2877
4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04-v.1-3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4_00
5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05-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5_00
6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06-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6_00
7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07-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7_00
8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08-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8_00
9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09-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09_00
1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0-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0_00
11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1-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1_00
12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2-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2_00
13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3-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3_00
14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4-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4_00
15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5-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5_00
16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6-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6_00
17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7-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7_00
18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8-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8_00
19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19-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19_00
20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0-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0_00
21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1-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1_00
22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2-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2_00
23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3-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3_00
24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4-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4_00
25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5-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5_00
26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6-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6_00
27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奎14427-v.1-4 (정해)진찬의궤 (丁亥)進饌儀軌 http://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427_00

시맨틱 아카이브 설계

한양도성 타임머신 지식 관계망

한양도성 타임머신 온톨로지 설계

정해년진찬 지식 관계망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연습

  •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설계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_설계.lst


  • 정해진찬의궤에 나타난 여관·차비·여령 지식관계망

정해진찬의궤_여관_차비_여령.lst


참고문헌

  1. 이효지·한복려·정길자, 『고종 정해년 진찬의궤: 조대비 만경전 팔순잔치』,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9, 11쪽.
  2. 김종수,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본질과 여악제도의 변천』, 민속원, 2018, 23쪽.
  3. 김종수, 앞의 책(2018), 31쪽.
  4. 김종수, 앞의 책(2018), 43쪽.
  5. 김종수, 앞의 책(2018), 370쪽.
  6. 김소현,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2017, 177쪽.
  7. 김종수, 앞의 책(2018), 71쪽.
  8. 이효지·한복려·정길자, 앞의 책(2009), 10쪽.
  9. 김소현, 앞의 책(2017), 180쪽.
  10. 이하 도병에 관한 설명은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 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209-213쪽.' 내용을 인용함.
  11. 이하 의궤 구성에 관한 설명은 '이효지·한복려·정길자, 앞의 책(2019), 18-28쪽.' 내용을 인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