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참고문헌 표기방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참고) 각주 및 참고문헌 표기 및 문서서식 설정<br/>==
+
==기본==
 
+
 
*한국학대학원 홈페이지:[[https://grad.aks.ac.kr/com/cmm/EgovContentView.do?menuNo=4010144000 한국학대학원_학위논문_작성_안내]]<br/>
 
*한국학대학원 홈페이지:[[https://grad.aks.ac.kr/com/cmm/EgovContentView.do?menuNo=4010144000 한국학대학원_학위논문_작성_안내]]<br/>
  
==1. 각주==
+
==1. 각주 및 참고문헌==
 
* 동양어 논저, 논문인 경우:<br/>  
 
* 동양어 논저, 논문인 경우:<br/>  
 
① 필자명, 논문제목, 게재지명, 권수, 호수, 발행처, 발행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br/>
 
① 필자명, 논문제목, 게재지명, 권수, 호수, 발행처, 발행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br/>
17번째 줄: 16번째 줄:
 
       홍길동, 「한국근대사와 여성」, 제20회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발표회,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12. 23, 34쪽.
 
       홍길동, 「한국근대사와 여성」, 제20회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발표회,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12. 23, 34쪽.
 
       홍길동, 「한국자본주의와 상인」,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1, 34쪽.
 
       홍길동, 「한국자본주의와 상인」,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1, 34쪽.
 +
      (*'''학위논문'''의 경우도 '''작은꺽쇠''' 사용/'''다른 곳에선''' 학위논문을 저서 기준으로 표기하기도 함)
 +
* 동양어 논저, 저서인 경우:<br/>
 +
① 저자명(편찬주제), 서명, 발행지, 발행처, 발표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br/>
 +
② 서명은 큰 꺽쇠 안에 표기<br/>
 +
③ 발행지는 국내일 경우 생략<br/>
 +
④ ‘p’, ‘pp’, ‘면’ 등은 모두 ‘쪽’으로 통일<br/>
 +
⑤ 두 개 이상의 다른 저서를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하며, 동일저자의 다른 저서라도 저자를 다시 명기<br/>
 +
⑥ 공동저자가 2인일 경우에는 저자를 모두 표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 저자의 이름을 모두 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 외> 로 표기<br/>
 +
      (예) 홍길동, 󰡔한국정치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2, 42쪽.
 +
          한국학중앙연구원(편), 󰡔한국근대화󰡕, 신진, 1988, 10~15쪽.
 +
⑦ 번역서일 경우,
 +
      그레고리 홍(저)/홍길동․김철수(역), 󰡔1950년대 미국사 연구󰡕, 신진, 2001, 32쪽.
 +
* 서양어 논저인 경우:<br/>
 +
① 논문은 “    ”, 게재지는 이탤릭체로 표기<br/>
 +
(예) Hong, Gildong, “History and the Issue of Korean Unifica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20, No. 2, 1991, pp. 40~50.
 +
② 저서는 서명을 이탤릭체로 표기<br/>
 +
(예) Hong, Gildong, Korean History, New York: Hill, 1984, p. 32.
 +
* 웹자료 ('''현재 대학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권장 표기사항과 학과 내의 권장 표기사항 다름!!''')<br/>
 +
① 각주에선 저자, ‘문서제목', 사이트 명칭, 편찬연도. (URL) 순으로 표기<br/>
 +
김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위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온톨로지의_이해)<br/>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파빌리온 제작 방법」, 인문정보학 위키, 2018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파빌리온_제작_방법)<br/>
 +
“傳曰, 劉都督差官上來東關王廟及楊經畧碑閣急急摘奸, 修理以待. 而凡接待等事, 着令該曹, 預爲議處.”(『光海君日記』(正草本) 10년(1618) 11월 18일 癸卯;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id/kob_11011018_003)
 +
② 참고문헌에선 저자(기관), ‘문서제목’(없으면 생략), 사이트(데이터베이스) 명칭, 편찬연도, URL 순으로 표기<br/>
 +
김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위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온톨로지의_이해
 +
③ 영문 웹문서 경우, 저자, ‘문서명’, 데이터베이스(사이트), url
 +
 +
==2. 문서서식 참고==
 +
① 국문 문장 시작할 경우(ex 국문초록 및 본문), 스페이스바 2번으로 들여쓰기(indentation)<br/>
 +
② 영문 문장(ex 영문초록) 시작할 경우, 1 Tab으로 들여쓰기(indentation)<br/>
 +
③ 참고문헌 문서서식 설정을 '''왼쪽여백 7/내어쓰기 40'''으로 하면 임의조정 필요없음<br/>

2022년 1월 24일 (월) 12:40 기준 최신판

기본

1. 각주 및 참고문헌

  • 동양어 논저, 논문인 경우:

① 필자명, 논문제목, 게재지명, 권수, 호수, 발행처, 발행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
② 논문은 「 」, 게재지는 큰 꺽쇠 안에 표기
③ 게재지의 ‘권’, ‘호’, ‘집’ 등을 표기
④ 출판사항은 출판지・출판사・출판연도 순.
⑤ ‘p’, ‘pp’, ‘면’ 등은 모두 ‘쪽’으로 통일
⑥ 두 개 이상의 다른 논문을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하며, 동일저자의 다른 논문이라도 저자를 다시 명기
⑦ 공동저자가 2인일 경우에는 저자를 모두 표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 저자의 이름을 모두 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 외> 로 표기
⑧ 미간행 논문 혹은 학술대회 발표 논문일 경우, 위의 논문 집필에 준하되 기관, 장소 및 날짜 기재

(예) 홍길동, 「한국학의 목록화와 전산정보화」, 󰡔정신문화연구󰡕, 제17권 제3호, 1994, 42~50쪽.
     홍길동, 「조선사의 이해」, 한국학중앙연구원(편), 󰡔근현대사의 이해󰡕, 신진, 1986, 52쪽.
     홍길동, 「한국근대사와 여성」, 제20회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술발표회,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12. 23, 34쪽.
     홍길동, 「한국자본주의와 상인」,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1, 34쪽.
     (*학위논문의 경우도 작은꺽쇠 사용/다른 곳에선 학위논문을 저서 기준으로 표기하기도 함)
  • 동양어 논저, 저서인 경우:

① 저자명(편찬주제), 서명, 발행지, 발행처, 발표연대, 쪽수 순으로 표기
② 서명은 큰 꺽쇠 안에 표기
③ 발행지는 국내일 경우 생략
④ ‘p’, ‘pp’, ‘면’ 등은 모두 ‘쪽’으로 통일
⑤ 두 개 이상의 다른 저서를 인용할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하며, 동일저자의 다른 저서라도 저자를 다시 명기
⑥ 공동저자가 2인일 경우에는 저자를 모두 표기하되, 3인 이상일 경우, 첫 번째 인용에서 저자의 이름을 모두 제시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는 <○○○ 외> 로 표기

     (예) 홍길동, 󰡔한국정치사󰡕, 한국학중앙연구원, 1992, 42쪽.
          한국학중앙연구원(편), 󰡔한국근대화󰡕, 신진, 1988, 10~15쪽.

⑦ 번역서일 경우,

      그레고리 홍(저)/홍길동․김철수(역), 󰡔1950년대 미국사 연구󰡕, 신진, 2001, 32쪽.
  • 서양어 논저인 경우:

① 논문은 “ ”, 게재지는 이탤릭체로 표기

(예) Hong, Gildong, “History and the Issue of Korean Unification,”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Vol. 20, No. 2, 1991, pp. 40~50.

② 저서는 서명을 이탤릭체로 표기

(예) Hong, Gildong, Korean History, New York: Hill, 1984, p. 32.
  • 웹자료 (현재 대학원 홈페이지에 올라온 권장 표기사항과 학과 내의 권장 표기사항 다름!!)

① 각주에선 저자, ‘문서제목', 사이트 명칭, 편찬연도. (URL) 순으로 표기

김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위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온톨로지의_이해)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파빌리온 제작 방법」, 인문정보학 위키, 2018 (http://dh.aks.ac.kr/Edu/wiki/index.php/파빌리온_제작_방법)
“傳曰, 劉都督差官上來東關王廟及楊經畧碑閣急急摘奸, 修理以待. 而凡接待等事, 着令該曹, 預爲議處.”(『光海君日記』(正草本) 10년(1618) 11월 18일 癸卯;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id/kob_11011018_003)

② 참고문헌에선 저자(기관), ‘문서제목’(없으면 생략), 사이트(데이터베이스) 명칭, 편찬연도, URL 순으로 표기

김현, ‘온톨로지의 이해’, 인문정보학 위키, http://dh.aks.ac.kr/Edu/wiki/index.php/온톨로지의_이해

③ 영문 웹문서 경우, 저자, ‘문서명’, 데이터베이스(사이트), url

2. 문서서식 참고

① 국문 문장 시작할 경우(ex 국문초록 및 본문), 스페이스바 2번으로 들여쓰기(indentation)
② 영문 문장(ex 영문초록) 시작할 경우, 1 Tab으로 들여쓰기(indentation)
③ 참고문헌 문서서식 설정을 왼쪽여백 7/내어쓰기 40으로 하면 임의조정 필요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