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02 김은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lickable button|[[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
{{clickable button|[[R1887-01-03B|고종정해진찬의궤_呈才樂章]]}}
  
  
 
+
<center><font size=6>丁亥進饌 樂歌舞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樂章</font size=6></center>
'''<center><font size=6>丁亥進饌 樂歌舞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樂章</font size=6>'''
+
  
  
17번째 줄: 17번째 줄:
 
악장자체의 문헌적 이해에는 각 창사의 번역과 주석(의궤-樂章, 致詞, 箋文 참고)을 비롯하여 고려사악지 및 세종실록악보 등의 고악보와 악학궤범 등 고문헌의 정재관련자료를 포함하며 , 공연적 이해에는 공연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의궤의 전반(의궤-圖式, 儀註, 工伶 참고)과 문헌 및 영상자료 등을 통하여 정재악장_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도하고 이와 함께 정해진찬 정재관련 다른 데이터베이스-정재 공연자체의 데이터베이스나 악기와 공연자(악공 및 여령)중심의 데이터베이스 등과 연계하여 보다 정밀한 정재 공연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악장자체의 문헌적 이해에는 각 창사의 번역과 주석(의궤-樂章, 致詞, 箋文 참고)을 비롯하여 고려사악지 및 세종실록악보 등의 고악보와 악학궤범 등 고문헌의 정재관련자료를 포함하며 , 공연적 이해에는 공연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의궤의 전반(의궤-圖式, 儀註, 工伶 참고)과 문헌 및 영상자료 등을 통하여 정재악장_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도하고 이와 함께 정해진찬 정재관련 다른 데이터베이스-정재 공연자체의 데이터베이스나 악기와 공연자(악공 및 여령)중심의 데이터베이스 등과 연계하여 보다 정밀한 정재 공연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clickable button|[[R1887-01-03B|고종정해진찬의궤_呈才樂章]]}}
 
  
 +
 +
=Semantic Network Graph=
 +
 +
==고종정해진찬의궤_권일_樂章==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ook&project=jhcz&key=정재악장"></iframe>
 +
<br/><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soook&project=jhcz&key=정해진찬의궤'">
 +
</html>
  
  
  
 
[[분류: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분류: 김은숙]]
 
[[분류: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분류: 김은숙]]

2021년 6월 19일 (토) 19:04 기준 최신판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고종정해진찬의궤_呈才樂章


丁亥進饌 樂歌舞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樂章



고종정해진찬의궤_樂章에서 사용되고 있는 呈才는 총 21편으로 이 가운데 헌선도(獻仙桃), 오양선(五羊仙), 연화대(蓮花臺), 수연장(壽延長), 포구락(抛毬樂)등의 정재는 고려시대 송에서부터 들어온 唐樂呈才로서 정재 가운데 그 연원이 깊고, 다른 대다수의 작품은 '기축년 세자가 지은것( 己丑睿製)' 혹은 '戊申御製' 등으로 소개되는 후대의 작품이다.

그런데 고종정해진찬에서 사용된 樂章_獻仙桃(이하 정해진찬_헌선도)를 살펴보면 그 편성된 唱詞에 있어서 고려사악지에서 보여지는 獻仙桃(이하 고려사악지_헌선도)나 악학궤범의 헌선도(악학궤범_헌선도)와 차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이 고려말-조선초-조선후기 등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시대적 변화인지, 혹은 원래 呈才자체의 성격상 정재가 사용된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지 의문이 생긴다. 이를 위해서는 정해진찬시기와 근접한 시기의 용례를 더 수집하여 살펴보는 것이 우선이 될 것이다. 또한 악장 자체와 정재에 대한 원천적인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와 같은 의문과 요구를 위하여 정해진찬 악장자체의 문헌 및 공연적 이해악장에 사용된 창사와 악곡의 문헌적 비교를 진행하여 이를 토대로 한 데이터베이스구축을 시도하고자 한다.
악장자체의 문헌적 이해에는 각 창사의 번역과 주석(의궤-樂章, 致詞, 箋文 참고)을 비롯하여 고려사악지 및 세종실록악보 등의 고악보와 악학궤범 등 고문헌의 정재관련자료를 포함하며 , 공연적 이해에는 공연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의궤의 전반(의궤-圖式, 儀註, 工伶 참고)과 문헌 및 영상자료 등을 통하여 정재악장_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도하고 이와 함께 정해진찬 정재관련 다른 데이터베이스-정재 공연자체의 데이터베이스나 악기와 공연자(악공 및 여령)중심의 데이터베이스 등과 연계하여 보다 정밀한 정재 공연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기를 기대한다.


Semantic Network Graph

고종정해진찬의궤_권일_樂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