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이한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 3번째 줄: | 3번째 줄: | ||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
** 온톨로지 설계  | ** 온톨로지 설계  | ||
| + | |||
| + | |||
* 데이터 소스  | * 데이터 소스  | ||
** 권수    | ** 권수    | ||
***연향 시 행사 광경, 공연된 각종 정재의 모습 (무대연출 포함), 반주음악, 사용된 악기, 정재에 쓰인 의장, 전악, 악공, 여령의 복식  | ***연향 시 행사 광경, 공연된 각종 정재의 모습 (무대연출 포함), 반주음악, 사용된 악기, 정재에 쓰인 의장, 전악, 악공, 여령의 복식  | ||
| − | |||
** 권일    | ** 권일    | ||
*** 의주 : 대왕대비전이 주빈인 정월 17일의 내진찬과 야진찬, 왕이 주빈인 정월 28일의 회작과 야연, 왕세자가 주빈인 정월 29일의 회작과 야연의 의식 절차와 그에 수반되는 악곡과 정재  | *** 의주 : 대왕대비전이 주빈인 정월 17일의 내진찬과 야진찬, 왕이 주빈인 정월 28일의 회작과 야연, 왕세자가 주빈인 정월 29일의 회작과 야연의 의식 절차와 그에 수반되는 악곡과 정재  | ||
| 14번째 줄: | 15번째 줄: | ||
|color=#DCECEC  | |color=#DCECEC  | ||
|text=    | |text=    | ||
| − | *'''1887년(고종24) 정월 27일 내진찬에서 절차에 따른 음악과 정재에서 정재가 추어지는 순서'''  | + | *'''1887년(고종24) 정월 27일 내진찬에서 절차에 따른 음악과 정재에서 정재가 추어지는 순서 일부'''  | 
| − | [[파일:1887년정월27일내진찬의_1.JPG]]  | + | [[파일:1887년정월27일내진찬의_1.JPG|500픽셀|섬네일|가운데]]  | 
}}  | }}  | ||
| 22번째 줄: | 23번째 줄: | ||
|color=#DCECEC  | |color=#DCECEC  | ||
|text=    | |text=    | ||
| − | + | '''정재목록'''  | |
| − | + | * 장생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 |
| − | + | * 금척(金尺)  | |
| − | + | * 헌선도(獻仙桃)  | |
| − | + | * 수연장(壽延長)  | |
| − | + | * 향령(響鈴)  | |
| − | + | * 아박(牙拍)  | |
| − | + | * 보상무(寶相舞)  | |
| − | + | *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  | |
| − | + | * 연백복지무(演百福之舞)  | |
| − | + | * 무산향(舞山香)  | |
| − | + | * 무고(舞皷)  | |
| − | + | * 포구락(抛毬樂)  | |
| − | + | * 오양선(五羊仙)  | |
| − | + | * 하황은(荷皇恩)  | |
| − | + | * 춘앵전(春鶯囀)  | |
| − | + | * 향발(響鈸)  | |
| − | + | * 연화대무(蓮花臺舞)  | |
| − | + | * 첨수무(尖袖舞)  | |
| − | + | * 선유락(船遊樂)  | |
| − | + | * 검기무(劍器舞)  | |
| − | + | * 학무(鶴舞)  | |
| − | + | '''의식 절차에는 없고, 여흥을 위해 정해년진찬에서 추어진 춤'''  | |
** 향장무  | ** 향장무  | ||
** 사자무    | ** 사자무    | ||
}}  | }}  | ||
| − | |||
| − | |||
| − | |||
** 권삼  | ** 권삼  | ||
*** 공령 : 정재 종목 및 악기 편성  | *** 공령 : 정재 종목 및 악기 편성  | ||
*** 악기풍물 : 악기와 정재 도구  | *** 악기풍물 : 악기와 정재 도구  | ||
| − |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
| + | |||
| + | |||
= 온톨로지 설계 =  | = 온톨로지 설계 =  | ||
2021년 5월 14일 (금) 02:01 판
정재 : 의식 요소로서의 정재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  정해년진찬에서 행해진 정재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 관련 위키페이지 구성
 - 온톨로지 설계
 
 
-  데이터 소스
-  권수 
- 연향 시 행사 광경, 공연된 각종 정재의 모습 (무대연출 포함), 반주음악, 사용된 악기, 정재에 쓰인 의장, 전악, 악공, 여령의 복식
 
 -  권일 
- 의주 : 대왕대비전이 주빈인 정월 17일의 내진찬과 야진찬, 왕이 주빈인 정월 28일의 회작과 야연, 왕세자가 주빈인 정월 29일의 회작과 야연의 의식 절차와 그에 수반되는 악곡과 정재
 
 
 -  권수 
 
| *1887년(고종24) 정월 27일 내진찬에서 절차에 따른 음악과 정재에서 정재가 추어지는 순서 일부 | 
 정재목록
 의식 절차에는 없고, 여흥을 위해 정해년진찬에서 추어진 춤 
  | 
-  권삼
- 공령 : 정재 종목 및 악기 편성
 - 악기풍물 : 악기와 정재 도구
 
 - 국립국악원 재현 공연 영상 자료
 
-  권삼
 
온톨로지 설계
-  의식으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절차, 음악, 정재의 시계열적 시퀀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존 네트워크와 별개의 Process 네트워크 설계
 - 상위 개념 (Story) - 중간 개념 (Topic) - 하위 개념 (Episode)를 수직-수평으로 연결 (피라미드 형태로 시각화)
 - 각 노드들은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노드와 연결
 
 -  종합예술로서의 정재 온톨로지 설계
- 정재 별 여령 구성, 정재에 따른 특징적인 물품 & 도열 & 창사 (있는 경우), 모든 정재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물품 & 도열 등
 - 복식, 음악, 악장 등의 타 연구 내용과 연결